♣ 역사(歷史) 마당 ♣/- 평설, 문화

[스크랩] 조선후기 여성의 삶과 시집살이 서사 - <망실안인윤씨행장>, <삼한습유>, <복선화음가>의 경우

Bawoo 2017. 10. 27. 10:01

.




조선후기 여성의 삶과 시집살이 서사

- <망실안인윤씨행장>, <삼한습유>, <복선화음가>의 경우


김 석 회(인하대)



1


18세기 京鄕分岐가 한층 공고해진 이후로 여성들의 삶과 문학 또한 이러한 신분과 재력의 계층적 편차를 따라 다기한 양상을 보인 것으로 추정된다. 거칠지만 이를 도식적인 형태로 유형화한다면 경화벌열 가문의 여성, 향촌사족층 가정의 여성, 일반평민여성으로 대별해 볼 수 있을 듯하다.


경화벌열의 경우는 그 물적인 토대를 권력에 두고 있었던 관계로 여성들의 관심 또한 권력의 향배에 민감했고 그것이 장편 대하 가문소설의 향유 형태로 발현된 것으로 보인다. 향촌사족층의 경우는 권력은 물론 관직 임용 자체가 원천적으로 봉쇄되어 가는 추세 속에서 그 물적 기반 자체가 근본적으로 동요하는 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신분적 교양의 유지와 생계적 기반의 안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쫓아야만 하는 형국에 놓여 있었고, 여성들의 삶과 관심 또한 이 둘을 동시에 뒷받침해 내는 데 두어지게 된 연유로 그들이 향유 전승해 온 문학은 女範을 축으로 삼고 도는 여성가사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평민층의 경우는 신분적 강제에 얽매인 정도를 따라 천차만별의 차별상을 드러내고 있어 일률로 말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생존 번영의 물적 토대를 오직 자신들의 몸과 노동력에 두고 있었기 때문에 남녀를 막론하고 착취없는 세상을 꿈꾸며 ‘정당한 몸값’을 요구하였고, 그것이 여성적 관심의 형태로 드러난 것이 서사민요 시집살이노래였다고 할 수 있다.


조선후기 여성의 삶과 문학을 집중적으로 조명코자 하는 고전여성문학회의 이번 학술대회 취지를 살려 필자는 이 자리에서 주로 향촌사족층 여성의 삶과 문학에 초점을 두어 살피고자 한다.


중심이 되는 대상자료는 여성가사 중 하나인 <福善禍淫歌>인데, 이 작품이 산출되어 나온 사회사적인 맥락과 주제적 관심의 토대인 ‘의견의 풍토’를 살피기 위해 <亡室安人尹氏行狀>과 <三韓拾遺>를 아울러 검토해 보기로 한다.

<亡室安人尹氏行狀>은 18세기 초반의 여성행장 가운데 하나로서 巍巖 李柬(1677-1727)이 40에 早死한 아내 윤씨의 행적을 기록한 것이고, <三韓拾遺>는 19세기 초반 竹溪 金紹行(1765-1859)이 그 유명한 향랑전설을 토대로 창작한 한문소설이다.

그러면 <亡室安人尹氏行狀>과 <三韓拾遺>를 차례로 살핀 후에 <福善禍淫歌>를 검토하고 이를 종합하여 매듭을 짓기로 한다.



2


<亡室安人尹氏行狀>은 京師의 부유한 벌열가 가운데 하나였던 坡平尹氏의 따님이 호서의 대표적인 산림학자였던 이간에게 시집을 와서 20년 결혼생활 동안 온갖 고생을 무릅쓰고 살다 간 사연과 행적을 남편 이간이 애처롭게 여겨 기록한 것이다.


처음에는 격식을 따라 의례적으로 가계를 적은 다음 곧바로 이어 아내의 시집살이 노고를 적었다.


" 안인은 어려서부터 단중하여 그 부모와 여러 형들이 享福安德의 그릇이라고 기대하였다. 좀 자라매 여공이며 음식조리에 정통하지 않음이 없었고, 16세에 어머니가 오랜 병고 끝에 돌아가시매 근심하고 슬퍼함이 지극하여 보는 이마다 감탄하였다.

이십에 시집을 오매 舅姑가 자녀 없이 늦게사 조카를 얻어 후사를 삼은 경우여서 며느리된 자가 설사 어질지 못할지라도 舅姑의 사랑하고 감싸심을 입었으련만 안인의 깊은 사랑과 지극한 정성은 性分에서 나온 것이어서 좌우에 承順하고 변함없이 敬謹하여 舅姑께서 깊이 愛重하셨다.


그러나 그 남편된 자가 본디 혹독하게 가난한 데다 성품 또한 우활하여서 가사에는 일찍이 한번도 마음 쓴 적이 없었기에, 무릇 제사며 노친 봉양, 가정사의 자질구레한 모든 일들까지 안인이 실로 혼자 스스로 담당하여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밤낮으로 수고롭고 곤하였다.

곤고함의 극에서 혹 때로 슬피 탄식하는 말도 있었으나 그 마음은 늘 가정 일의 자질구레한 일이나 세간의 속된 일들이 남편의 뜻을 방해하여 빼앗지 못하도록 하는 데 있었기에 늘 남편의 미간을 살펴 근심이 있는가 싶으면 문득 위로하여 해명하기를 “있고 없고 주리고 부른 것은 오직 내게 달린 일이니 장부께서 간여하실 일이 아닙니다”라고 말하였다.


이에 제사엔 豊潔함엔 다다르지는 못할지라도 廢闕하는 지경에는 이르지 않았고 노친 봉양엔 甘溫에까지 다다르지는 못했어도 얼고 주리는 데에까지 이르지는 않았으니 모두가 안인의 힘이었다.

그러나 그 늘 이르는 말은 “제사하되 豊潔에 다다르지 못하니 廢闕함과 무엇이 다르며, 봉양하되 甘溫에 다다르지 못하니 얼고 주리게 함과 무엇이 다르랴!” 하였다.

남편이 해지지 않은 온전한 옷 한 벌이 없을지라도 부끄러워하지 않았고, 어린 것이 병들어 맛있는 것을 먹이지 못할지라도 근심하지 않았으며, 자기 몸은 겨울에 솜옷을 입지 못하고 여름에 갈옷을 입지 못하며, 먹음에 든든치 못하고 잠자리에 침구를 갖추지 못하며, 머리에 다리를 얹지 못하고 발에 신이 없어 나들이를 못할 지경이었지만 터럭만큼도 괴로워하지 않고 이른 아침 늦은 밤 늘 급급하여 노친의 안색에 주린 빛이 있음을 至恨으로 여겨 아침 저녁 드릴 것이 있으면 저윽이 안도하였지만 그렇지 못하면 방과 뜰에서 골머리를 앓으며 동동거리면서 스스로 용납할 곳이 없는 것만 같이 하였다.

이같이 조심조심 20년을 하루 같이 하다가 안인은 급거히 사라졌나니, 아아 슬프도다! 어찌 그리 궁핍했던고! " 1]


1]李柬, <亡室安人尹氏行狀>, 巍巖遺稿 권16, 한국역대문집총간 190, 520-521면.



이상을 통해 보면 윤씨의 시집살이에 관여된 몇 가지 곤경을 가늠할 수가 있다. 첫째는 산림학자의 입지로 인한 남편 이간의 사회경제적인 소외 문제이고, 둘째는 경화벌열가의 일원인 친가와 향촌한사층으로 편입되어가는 시가 사이 생활수준의 큰 낙차 문제이며, 셋째는 舅姑 세대와 자기 세대 사이 윤리적 기대지평의 편차 문제이다.


첫째의 문제는 자의에 의한 것이기도 하고 타의에 의한 것이기도 하지만, 어쨌든 산림학자의 길은 이 당시 지식인에게 주어진 코스의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이간은 송시열의 적통을 이은 수암 권상하의 수제자 가운데 하나로 강문팔학사의 하나였다. 과거에는 눈길도 주지 않고 생계 문제에도 신경을 꺼 두고 오직 성리학의 깊은 경지를 개척해 들어가는 것이 이들에게 주어진 코스였다.

여기서 명망을 얻어 산림으로서의 지도적 지위를 얻게 되면 여러 가지 명예직을 얻거나 실직에 나아가는 경우도 있었고, 수많은 정치지도자들을 거느리거나 길러낼 수가 있었다. 이러한 코스를 인정하고 또 기대했기에 윤씨는 현실적 노고의 극점에서도 남편의 心志를 빼앗지 않으려고 초인적인 노력을 기울였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인용 대목에 후속하여 남편의 과거 응시를 스스로 만류하는 것도 그러한 연유의 하나였을 것으로 보인다. 어쨌든 이토록 궁핍의 문제가 발등의 불로 다가왔음에도 불구하고 벼슬길로도 나아가지 않고 영농이나 다른 생계수단의 강구에도 눈을 감고 있어야만 하는 ‘기로에 선 知識人 家長의 문제’는 이 당시 수많은 班家 婦女들이 직면하고 있었던 사회문제의 하나임을 알게 해 준다.


둘째의 문제는 좀더 특수한 경우지만, 이를 身分과 財富 사이의 편차 문제로 일반화한다면 이 당시 양반층 일반의 보편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간의 서술대로만 이해한다면 윤씨는 天性[性分] 자체가 어질어서 이 가난이 큰 문제가 아니었던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 이면을 따라가 본다면, 豊潔을 결한 제사나 甘溫을 다하지 못하는 봉양을 내심에 늘 불안해하는 것이나, 飢寒에 떠는 老親들을 차마 보지 못하고 좌불안석하는 상태는 친가에서의 기준이 시가에서도 그대로 적용되는 현상으로서, 아마도 이런 미흡에 대한 불만은 겉으로 발현되지 않는 대신 내심의 깊은 우울로 침전되어 갔을 것으로 보인다. 이간은 후속하여 아내 윤씨가 富裕 奢侈한 친가의 일족들과 어울리면서도 끝내 검박을 지키며 의연했던 사실을 다소 장황하게 특기하고 있지만, 늘 받기만 하고 갚지 못함을 한스럽게 여겨 “구천지하에 응당 負累之鬼가 되고 말겠구나!” 2]하고 깊이 탄식했다는 기록을 통해 보면 평생 윤씨의 내심에 쌓인 수모와 고통이 어떠했으리라는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가 있다.

경사의 벌열가에서 산림학자의 淸名을 택하여 혼인이 이루어진 경우이겠지만, 빈부의 격차가 시집살이를 어떻게 규정해 주고 있는가의 생생한 한 실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2] 위 책 522면.

“凡人有所贈遺 不計多少 輒懷愁歎曰 平生未嘗遺人 而每受人遺 是豈人心之所安者 如是寒乞無償還之日 則九地之下 當爲負累之鬼矣 其心痛楚 不啻若疾疢 噫 其狷介潔濯 有如此者 而安人之今亡矣”



셋째의 문제는 문면에는 잘 드러나 있지 않은 것이지만, 윤씨가 이토록 舅姑 섬김에 자신의 최선을 다하고자 했던 것은 세대간의 윤리적 기대지평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이간이 말하고 있는 바와 같이 윤씨의 효성이란 천성에서 말미암는 측면이 배제될 수는 없겠지만 이 시대 대부분의 부녀행장이 드러내고 있는 바와 같이 이전 세대에서 공고하게 규정된 윤리적 관습이란 측면이 더욱 컸던 것으로 보인다.

무릇 바람직한 윤리란 시대가 달라지고 문명적 조건이나 물적인 토대가 변하는 것을 따라 경우에 맞게 조정되어야 하는데, 이 시대 班家 一般의 풍토는 상하 귀천 빈부를 막론하고 전시대의 규범을 묵수하는 것을 최상의 미덕으로 알고 융통의 여지를 두지 않았기 때문에 윤씨의 고통과 불행은 더욱 가중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젊은 윤씨가 죽고 나서도 舅姑는 버젓이 좋은 세월을 누리고 있음을 보아서도 이 시대 윤리의 姑息性은 그 矛盾의 斷面을 드러내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이상과 같은 곤경의 딜렘마 속에서 윤씨는 多産의 후유증으로 늘 병치레를 하면서도 하루도 누워보지를 못하고 졸연히 세상을 뜨고 말았으며, 남편 이간은 이러한 참혹한 현실인식 앞에서 비로소 다음과 같이 비탄을 터뜨리는 것이다.


"안인의 사라짐에 그 남편은 슬퍼 탄식하여 이르기를 “先民의 말씀에 善人은 반드시 복을 받고 仁人은 반드시 장수한다 하였으나, 이제 우리 안인 같은 이는 그 뜻과 행실이 어질고 착하지 않음이 없음에도 어려서 그 어머니를 잃었고 멀리서 그 아비를 곡했으며, 舅姑 있음에도 그 봉양을 충분히 할 수가 없었고 남편이란 게 있어도 심히 어리석어 해로치를 못했으며, 늦게사 자녀를 두어 큰 애도 行禮를 치루지를 못했고 어린 것은 젖을 떼지 못한 채로 궁핍히 주리기를 스무 해, 쇠하기도 전에 문득 아침이슬의 신세가 되었으니 福이란 과연 어떤 물건이며 壽란 과연 어디에 있단 말인가! " 3]

3] 위의 책, 522-523면.


이상에서 개괄해 본 바와 같이 윤씨의 시집생활과 그 종말은 도덕적 당위에 입각한 허다한 찬사에도 불구하고 다분히 비극적이라고 하지 않을 수가 없다. 이는 신분적 교양의 유지와 생계적 기반의 안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쫓아야만 하는 향촌사족층의 며느리가 된다는 것이 실제적으로 얼마나 곤고하고도 지난한 일인가를 드러내 주는 전형적인 한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3


<삼한습유>는 1814년에 창작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4] 이 해는 작가 김소행이 50세가 되는 해이다. 이 작품은 <육미당기>와 더불어 작가가 분명히 밝혀져 있는 지식인 소설로서 익명의 미궁 속을 헤매야 하는 조선후기 소설사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그런 연유로 우리 소설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1980년대 중반 이래로 꾸준히 그 작품론이 이루어져 왔는데, 관심의 초점은 주로 주제로서의 ‘열’에 관한 문제와 기법으로서의 ‘허구화’와 관련한 문제였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제반 문제들은 박일용, 조혜란, 장효현의 논의를 거치면서 충분히 분석 정리된 바가 있다. 5]


본고에서는 초점을 달리하여 작품의 초두에 논쟁적인 형태로 길게 전개되고 있는 擇壻談論과 그 因果的 歸結이라 할 수 있는 시집살이의 실제에 초점을 맞추어 혼인의 문제와 관련한 작가의식의 실체를 구명해 보고자 한다. 작가 김소행은 벌열가문의 하나인 안동김씨로 文才가 뛰어나고 기골이 장대한 호남자였지만, 庶孫이란 멍에에 묶여 청풍의 능강동에 묻혀 살았고 평생을 강호를 주유하며 문장으로 세상을 조롱했던 것으로 보인다. 6]


특히 가난의 문제에 대한 자의식이나 콤플렉스가 컸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의 나이 50세는 자녀들의 혼사 및 결혼생활과 관련하여 한층 더 이 가난의 문제를 뼈저리게 느끼지 않으면 안되었던 때였을 것으로 보인다. 7]


삼한습유를 통해서 첨예하게 다뤄지고 있는 가난의 문제는 아마도 작가 자신의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의식과 맞닿아 있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저작의 변이라 할 수 있는 작품 말미의 <誌作記>에도 이 擇壻와 관련한 빈부의 문제는 글 전체의 절반에 걸쳐 진지하게 거론되고 있다. 그는 결혼생활의 성패 문제를 남자의 賢否에 달린 것으로 보고 “嫁女必擇賢者”를 못 박은 후에 후속하여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


4]박일용, 삼한습유를 통해서 본 김소행의 작가의식, 한국학보, 제42집, 1986 봄.

5]박일용, 삼한습유를 통해서 본 김소행의 작가의식, 한국학보, 제42집, 1986 봄./ 조혜란, 삼한습유 연구, 이화여대 박사논문, 1993./ 장효현, 삼한습유에 나타난 열녀의 형상, 조선시대의 열녀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월인, 2002.6.

6]道軒 金雲淳(1798-1870)의 문집인 道軒遺稿에 그의 三從祖였던 金紹行에 관한 일화와 행적이 간략히 소개되어 있으며, 그의 글 <山中閒話幷序>가 실려 있다. 여기에는 그의 호가 竹溪가 아닌 石溪로 되어 있는데 행적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석계공께서 늦게 사람의 간청에 못 이겨 향랑전이라 하는 소설 한 권을 지으셨는데 반 나절에 붓을 들고 부르며 지어쓰셨다. 그 당시 조야를 막론하고 선비들이 이 저서를 큰 문장이라 일컬었으며, 마침 중국에 가는 사신이 이 저서를 가지고 가서 중국 사람에게 보이니 중국에서 이렇다 하는 문장 대가들이 보고는 천하 문장이라 경탄하면서 은전 300량을 주고 사 갔다. 수는 구십 오세를 사셨으니 天爵이라고 하는 수는 받았으나 평생 가난하게 사셨다. 선생께서는 부모에게 효행은 물론이요, 도에도 돈독하셨다. 해어진 베옷에 추한 신을 신고 세상을 떠돌며 부귀영화에 얽매여 사는 자들을 조롱하셨으되 누구 하나 감히 상대를 하지 못하고 모두 그 비난하는 말에 복종하였다. 육십여 세가 되어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않고 바위틈 굴 속에서 세상을 마치셨다. 내 나이 열 둘에 마침 선생께서 오시어 뵙게 되었는데 지금 생각하면 신장이 8척 남짓 되고 비범하게 생기셨으며 소리 또한 웅장하셨다. 집안 어른들게 듣자오면 용맹과 힘이 뛰어나 누구도 그 힘을 알지 못했다고 한다.” 7]이와 관련하여 도헌유고의 후속 언급도 참고가 된다.

“지금 선생께서 지으신 서문을 보니 선생의 배위이신 삼종조모께서도 정숙한 덕과 억양 반복하고 변화무쌍한 법도와 행실이 선생과 같아 군자와 숙녀의 어진 배필이시다. 그런데 이름이 묻히고 전해지지 못했으며, 자손도 번성하지 못하고 가난하여 높으신 덕을 계승하지 못했으니 애석한 일이다. 내 느끼는 바가 있어 그 서문을 베껴다 이 책에 기록하여 후손에게 보여주어 선조의 이러하신 분이 있었다 함을 알게 하고 또 본받게 하는 것이다.”



"대개 천하에 不賢者가 많은데 富란 천하가 다 흠모하는 것이요 貧이란 천하가 다 혐오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공자께서도 “가난해도 즐거워하고 부해지더라도 예를 좋아하거라” 말씀하셨지만, 예로부터 이제까지 능히 이리 할 수 있는 자가 그 몇이나 되겠는가? 대저 부자란 淫逸에 습관이 되어버려 늘 먹고 입는 것으로써 남을 무시하고 사람의 도리가 있는 것을 아지 못한다.

대저 색을 기뻐하고 돈을 좋아하는 마음으로써 그 勢가 족히 널리 구하여 그 適意하기를 힘쓰니 골짜기나 큰 구렁이라도 메울 지경이다. 대저 사람의 도리를 아지 못하고 욕심 채우기만을 마음을 써서 한 지어미에게 갖추 구한다면 비록 莊姜의 아름다움, 班姬의 어짐이라도 보존키가 어려울 터인데 하물며 그보다 못한 자랴! 古人이 이르시기를 “가난하면 아내를 가리지 않는다” 또는 “어미가 친히 물긷고 절구질할 정도면 아내를 고르지 않고 얻는다” 하였으니 그 형세가 그런 것이다. 형세의 어떠함에 따라 그 실정도 달라지는 법이다. 인심이 제각기 다르니 내가 감히 부자는 모두 淫하고 빈자는 모두 材라 할 수는 없지만, 부부가 서로 등져 떨어지는 일은 부자들에게 많고 빈자들에겐 드무니 그 형세가 시키는 바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논한 후에 그는 다음과 같이 딸 가진 부모들을 警戒시키고 있다.


"향랑의 부모가 이 義를 알지 못하여 그 남편이 과연 不禮했으니 이 이치의 일정함이 괴이할 바 없음이요, 향랑이 부모의 뜻을 중히 여김으로 그 明智賢哲함에도 불구하고 침몰되어 빠져 죽음을 면치 못했으니 비탄할 일이다. 후에 부모된 자들로서 이를 거울 삼아 경계하지 못하고 억지로 꼭 시집을 보내려는 자들은 일찌감치 물귀신을 찾음만 같지 못할 것이다."


이와 같이 <지작기>의 택서담론은 부자 사위를 강력히 배격하고 현자 사위를 얻어야 한다는 것을 首尾雙關의 수사적 장치까지 동원해가며 시종일관 강조하고 있다. 그는 이것을 ‘此義’ ‘此理’로 지칭해 가면서 확고부동의 기준이나 원리처럼 계속하여 반복적으로 환기하고 있다.

이로 볼 때 <삼한습유>의 가장 중요한 창작 동기 가운데 하나는 擇壻訓의 제시라 할 수 있겠고, 이는 김소행으로 대표되는 향촌 한사층의 현실인식의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는 셈이다. 혐오에 가까울 정도의 富에 대한 부정적 인식, 양반 지식인으로소의 교양이며 예, 덕성, 재능 등에 관한 꼿꼿한 자존심; 이것이 이 작품에서 ‘향랑’이라는 여주인공을 통하여 김소행이 형상적으로 드러내 보이는 내심의 실체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러 논자들이 거듭 지적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삼한습유>의 향랑은 1702년 선산에서 오태강 물에 투신했던 양인 박자갑의 딸이 아니다. <삼한습유>의 향랑은, 비록 넉넉지 못한 형편에 어려운 곡절을 많이 겪어 나온 가정이긴 하지만 그래도 班家의 교양과 체통이 반듯하게 서 있는 집안에서 모든 범절과 행실을 익힌 비범한 규수로 설정이 되어 있다. 가난하지만 높은 자긍심을 가지고 살았던 일대의 선비 김소행 자신이 애지중지 길러낸 따님에 다름 아닌 그런 형상이다. 재덕과 교양에 용모까지를 겸비하고 ‘富淫한 夫家’를 여지없이 공박하고 성토하는 향랑은 ‘벙어리 삼년 귀머거리 삼년’이라는 새며느리 형상에서는 까마득히 멀고, 오히려 <지작기>의 택서담론을 대변하는 辯士에 가깝다. <삼한습유>의 텍스트 속에 구현된 그 대변의 실상부터 우선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才者와 富者 사이에서 擇壻를 망설이는 아비가 자신의 의견을 물었을 때 향랑은 몹시 부끄럽고 황송해 하면서도 다음과 같이 또렷한 주장을 펴고 있다.


"부모님의 남은 가르침을 받들어 經史에 조금이나마 통하니 거칠게나마 대의를 아나이다. 부녀된 사람은 남에게 복종하여 사나니 집에서는 아버지를 좇고 집을 떠나서는 남편을 따른답니다. 대인께서 내리 물어 주시니 어찌 일시적인 부끄러움 때문에 제 한 몸의 大計를 그르칠 수가 있겠습니까? 대저 夫婦가 있은 연후에 父子가 있나니 부부란 萬化의 근원이요 生民의 처음입니다. 그러기에 乾道는 남자를 이루고 坤道는 여자를 이루어서 덮어 기름과 받들어 따름으로 家道가 정해진다 하였고, 주역에도 雷風恒의 괘가 있으니 恒이란 것은 博厚하고 悠久함으로 成始하고 成終한다 하였습니다. 사람의 賢否란 貧富에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德輝의 擧案齊眉와 少君의 提甕出汲을 세상이 일컫기를 어진 배필엔 가난을 염려할 것이 없다 한 것입니다. 혼인에 靜好之樂을 구함은 다복을 스스로 구하는 데 있나니 실로 절행이 없이 가축처럼 길리운다면 시종 스스로 보존하기도 어려울 뿐더러 남들도 다 천히 여깁니다. 남편이 不才함은 여자의 불행이니 終風의 시가 거울이 될 만합니다."


經史의 典故들에 근거를 두고 부자 신랑을 거부하고 어진 신랑을 취하려는 논리를 분명히 하고 있다. 8] 이는 이미 그 어미가 장장 400여자에 달하는 변론을 통해 어진 신랑이란 허울뿐이기 쉽고 재물이 있어야만 된다는 경험적 현실논리를 설파한 후의 應對여서 더욱 놀라운 바가 있다. 9] 이러한 불꽃튀는 논쟁판의 분위기로 인하여 사회자의 입장에 있는 가장은 아내와 딸 사이 극한대립의 와중에 속수무책이 되고 만다. 딸의 정연한 반박논리 앞에서 당황한 아비가 “愀然變色 熟視其母”했다는 묘사는 이러한 곤경을 여실히 드러내 주고 있다. 그 어미는 당황하고 화를 내면서 ‘네가 부모를 잘 만나서…’ 로 화두를 잡아 다시 290여자의 재반론을 편다. ‘배가 고파도 밥을 얻을 수가 없고 살이 에일지라도 걸칠 옷이 없는’ 절대빈곤의 지경에서는 모든 관념적인 禮며 愛情이 설 자리가 없음을 통박하는 이 어미의 호소는 체험적 진정성이 배어 있는 듯 날카롭고도 절실한 데가 있다. 마침내 이 어미는 자기 진정을 이해하지 못하고 물불 속으로 뛰어 들려는 딸에게 모녀의 의를 끊자고 최후통첩을 한후 ‘椎胸大哭’ 신세자탄을 한다. 이 ‘아이고댁 신세자탄’에 밀려 향랑은 어미를 위로하면서 자기주장을 굽히고 만다.10]


이렇게 우려 속에 시발된 혼인은 신랑의 무례와 시어미의 질시 모욕 속에서 점점 더 꼬여만 간다.

시어미는 첫대면에서 복식이며 기명이 없음을 이유로 노기를 띠고 사당 참배를 시키지 않은 채, ‘신부의 이름(새애기)’으로 호칭하지를 않고 ‘貧家女(가난뱅이집 딸내미)’라 부른다.

“내 집의 이만한 부라면 어디서 아리따운 며느리를 얻지 못하겠는가? 폐백을 이리 터무니없이 하여 큰 챙피를 끼치다니 진작에 이럴 줄을 알았으면 누가 인물만 보고 취했겠는가?”

공언하고 있는 것은 시어미의 가치관이 어디에 있는가를 단적으로 증언해 주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친정어미의 ‘羨富 低姿勢’와 시어미의 ‘恃富 高姿勢’가 기묘하게 맞물려 있는 양상을 보게 된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작가 김소행 자신의 擇壻論을 위한 전략적 배치로 이해될 수가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김소행 당대의 부녀들 사이에 번지고 있는 물질적 가치관의 현주소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현상으로도 이해된다.

그리고 이 양자는 동떨어진 별개였다기보다는 작가의 의식 속에서 자연스럽게 오우랩되면서 산출되어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 동원되고 있는 부녀들의 말씨나 행태가 비록 한문으로 표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천연 그대로의 생생한 육성과 실경으로 다가오고 있다는 점이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기 때문이다. 11]

 아마도 김소행 자신이 갈수록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는 자기 계층 아내들의 행태를 일상의 현실로 수용할 수밖에는 없는 단계에 들어서고 있는 징표라 할 수 있겠다.


이렇게 삐걱거리며 출발한 富家 시집살이는 향랑이 아무리 禮로서 몸을 가누고 행동거지를 바로 해도 도리어 혐오와 반목의 골을 깊게 할 뿐 개선의 계기를 얻지 못한다. 12] 그러다가 하루는 남편이 대낮에 술이 취해서 狂悖히 내당으로 들어와 동침을 요구했을 때 향랑은 이를 단호히 거부하며 바른 말, 쌓인 말을 쏟아 놓는다.

이에 사내는 격분하고 시어미가 맞장구를 쳐서 며느리를 성토하고 숨겨온 情人이 있는 것이라 모함까지 하여 막다른 골목으로 몬다. 이 때에 이루어지는 시어미와 향랑 사이의 대거리가 매우 흥미롭게 그려져 있고, 여기서 우리는 향랑의 인물형상이 지니는 사회사적인 의미를 더욱 분명하게 포착해 낼 수가 있다. 입에 게거품을 물고 눈에 불을 쓰며 지팡이를 탕탕 쳐 대는 시어미에게 보이는 향랑의 반응을 먼저 보기로 한다.


" 그녀는 물러나와 뜰에 서서 참아 똑바로 마주 보지를 못하고, 시어미의 기세가 점점 더 급박해지는 것을 괴로이 지켜 보다가 말하지 않을 수 없어 몸은 대문을 향하고 얼굴만 돌려서 한숨을 쉬고 웃으며 이르기를 “죄를 덮어 씌우시려면 무슨 말인들 못하시겠어요? 가난이 죄라면 전들 어쩌겠어요? 그 實情 밖의 말씀은 규중 여자로서 감히 들을 수도 없으니, 鄘風에 읊었듯이 ‘이르려 들면 도리어 말이 추해지고, 되뇌인다면 오히려 말이 욕되다’는 격이네요. 죽음이 있을 따름 어찌 감히 非禮之言으로 제 혀를 더럽히겠어요?”"


한 수 아래의 사람을 지도하거나 훈계하는 투에 가깝다. 이 광란의 와중에서도 흐트러지지 않은 모습으로 조리정연하게 따지고 드는 며느리는 마침내 이 단순한 시어미를 광란의 지경으로 몰고 간다.


"시어미 더욱 화가 나서 기둥을 차고는 고꾸라지며 느린 소리로 ‘아아…’ 빠른 소리로 ‘호오…!’ 짧은 소리로 ‘으윽…!’ 긴 소리로 ‘우우…’ 하니, 목소리가 언 듯 미끌어지다가 혓소리가 선뜻 나오며 중언부언하다가는 소리가 얽혔다 풀렸다 하면서 곰이 포효하듯 여우가 울듯,

 “이년! 이년! 시에미를 능멸하고 남편을 속이는 년이 예의를 들먹이다니 네 필시 저자 거리에 어울하게 매달린 숙손통의 후신이렸다! 내 네년 볼 때마다 심장과 간담이 땅에 떨어진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오늘 이처럼 내게 무례하니, 천한 여편네가 어찌 감히 禮도 알고 義도 알고 주둥이 날카롭고 혓바닥 긴 傾國 傾城의 艶妻 哲婦의 시어미 노릇을 한단 말이냐!” 하고는 즉시 아들을 명하여 가마를 메워 돌려 보내라 일렀다."


이렇게 모질게 내침을 당하지만 향랑은 堂에 올라 그 실성한 시어미 앞에 再拜를 하고 온유한 음성으로 정중한 하직 인사와 축원의 말까지를 다 갖추고 비로소 가마에 오른다.

박절하게 내침을 당한다는 점에서는 최초의 향랑전이나 여타의 향랑전과 다름이 없지만 쫒겨가는 향랑의 형상은 판이하게 다름을 알 수 있다. 여기서의 향랑은 돈만 알고 예와 덕을 모르는 시어미와 그 아들을 도덕적으로 심판하고 징치하는 위치에 있고, 모든 부딛침에서 항상 한 수 위의 경지를 표상하고 있다.

그리하여 문면에 명시된 것은 없지만, 향랑의 가문은 문한의 전통이 이어져 온 전통사족에 가까워 보이고 媤家의 경우는 부를 토대로 신분상승을 이룬 겨우인 것처럼 보이기까지 한다. 이는 아마도 재부와 신분 사이, 재물과 덕성 사이, 衣食과 교양 사이에서 신분, 덕성, 교양의 쪽을 더 중시하는 김소행의 관점이 서술의 실제를 지배하고 있기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그런 측면에서 본다면 <삼한습유>의 향랑은 작가 김소행 자신의 택서담론을 입증해 내기 위한 리트머스 시험지로서 富裕한 媤家에 투입되었다가 다시 귀환시킨 존재라 할 수 있을 듯하다.


8]특히 이 대목에서 주역의 恒卦를 거론하고 있는 것은 김소행 자신의 <산중한화병서> 내용과 서로 통하는 바가 있어 주목된다.

“나는 삼십에 장가를들어 아내를 둔다고 공자가 하신 말씀이 꼭 예에 맞는다고 본다. 만약 그렇지 못하면 골격이 튼튼하게 이루지 못하고 심지가 확고히 서지 못하며 학업도 넓이 성취하지 못하고 물리도 밝지 못하여 건곤천지의 도가 부족하다. 그러므로 강유의 덕이 순하지 못하며 주역에서 말한 咸恒의 의에 밝지 못하여 사람의 기강이 서지 못하고 가도가 이루지 못한다. 그리하여 부부 간에 욕심이 발동하여 지켜야 할 부부유별의 의리를 상실하고 그저 정으로만 살게 된다.”

9]어미는 開口 劈頭에 “天下之惡 莫甚於貧”이라 전제를 해두고 조목 조목 그 이유를 열거하고 있는데, 체험적 실감이 배어있는 현실주의 논리라 할 수 있다. 그는 가난 때문에 수모를 당한 수많은 역사인물들을 열거하고, 子路와 太史公의 말을 이끌어 어질다는 東家之子의 곤경과 한계를 西家之子의 富가 줄 수 있는 현실적인 가능성에 비겨 논한 후에, ‘어질기만 하면 후일에 부귀케 될 수도 있다’ 는 것이 헛된 기대일 뿐임을 강조하고 딸을 결코 ‘弱國之大夫’ 신세로 만들 수 없다고 완강히 배수진을 치고 있다. 이는 가난에 찌들리고 가난살이에 물리고 가난고생에 데어버린 향촌사족층 아내의 뼈저린 외침일 것으로 보인다.

10]明日 당장 富家 쪽으로 통첩하기로 결정이 된 그 불면의 밤에 향랑은 병풍의 원앙을 보면서 고시 한 편을 짓는데, 특히 그 마지막 두 구절 “豈有他故兮 哀余時之不當, 假毛羽於丹靑兮 羨禽鳥之翶翔”이 눈물겨운 바가 있다. 모든 것을 때를 만나지 못한 운명에 돌리고 병풍의 새처럼 날개를 얻어 도피해 버리고 싶다고 하소연하고 있는데, 원치 않는 시집으로 내몰리는 처녀의 심정이 대개 이와 같으리라 여겨진다.

11]이러한 특징은 조혜란이 적실히 잘 잡아 지적한 바 있다.[조혜란, 삼한습유 연구(이화여대 박사논문, 1993), 160-172면. “향랑의 어머니와 시어머니에 대한 묘사와 그들의 대사는 마치 말을 옮겨 적어 놓은 듯이 자연스럽고도 실감나게 표현되고 있다.” [161면]

12] 그 구체적인 서술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다만 공경히 婦道 지키기를 마음에 두고, 쓰설이며 난방 살피기를 거르지 않고, 좋은 음식 극히 맛있게 만들어 내기를 날로 더욱 힘써 세월을 보내매, 참을 인자를 살 길로 여기며 몇 개월을 보냈으나, 남편은 狂悖함이 더욱 심해지고 시어미까지 그것을 북돋워서 두 사람의 怒가 번갈아 공격하더니 危辱이 한꺼번에 이르러 부엌 일마저 간여치 못하게 하고…”



4


<복선화음가>는 <계녀가>의 변형 가운데서도 그 변형의 정도가 가장 먼 지점에까지 나아간 여성가사의 하나로서 다양한 이본군을 거느리고 있는 작품이다. <계녀가>의 일반적인 전형은 序詞에 이어 사구고-사군자-목친척-봉제사-접빈객-태교-육아-어노비-치산-출입-항심의 11항목을 차례로 서술하고 結詞를 두어 마치는 구조임에 비해, <복선화음가>의 경우는 제9항목에 해당하는 치산만을 따로 떼어 도드라지게 확대하고 여기에 초점을 두어 딸을 훈계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대개가 京華閥閱로 추정이 되는 김익주의 손녀로 설정된 여인이 江湖寒士 집에 출가하여 겪는 시집살이의 간고함을 서술한 뒤에 發奮하여 치산에 힘써 성공한 행적을 서술하고 이후에 시집갈 딸을 붙들고 시집살이 고생을 잘 감내하라 당부하는 내용이다.


이 작품의 구조는 서영숙에 의해 치밀하게 살펴져 액자구조의 형태에 따라 戒女型과 傳記型으로 대별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13] 최근 이본현상을 중심으로 이 작품의 소통실태를 집중적으로 살핀 바 있는 한 연구자에 의하여 좀더 정치한 유형론의 필요성이 제기된 바가 있긴 하지만, 14] 서영숙의 이 구도는 <복선화음가> 이본현상의 두 극점을 현상하고 있는 것이어서 <계녀가>변형의 프론티어를 파악하는 데에는 여전히 중요한 기준이 되어 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작품의 주제나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둘러싸고는 크게 두 가지 견해가 맞서 있는 형국이다. 하나는 이 작품이 여성들의 도덕성에 낭만적인 보상을 안기는 형태일 뿐 가부장제적 유가이념의 강고한 틀을 그대로 강제하고 있다는 면에서 여전히 여성억압적으로 작용한 것임을 강조하는 견해가 있다. 15]

 그리고 다른 하나는 가사의 장르운동에 비추어 이 작품의 진보적 의의를 인정하거나, 16] 계녀가의 전통윤리를 外皮化해 두고 텍스트의 내부나 이면이나 행간 속에 여성들 자신의 욕망이나 꿈을 다양하게 내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진보적인 의의를 찾는 견해이다. 17]

 그리고 최근에는 이 작품의 대중적인 소통에 따른 교양물화 양상을 주목하고 “<계녀가>류 가사는 이념적 세뇌 기능을 수행했다는 혐의를 받기 쉽지만 작품소통의 실질은 이와 달리 고난을 헤쳐 나온 여성의 자긍이나 올바른 행실에 관한 품위있는 교양의식이 잔잔하게 깔려 있다”고 다소 중립적인 견해를 제출하는 연구자도 있다.18]


13]서영숙, 복선화음가류 가사의 서술구조와 의미, 한국여성가사연구, 국학자료원, 1996.

14]성무경, 복선화음가류 가사의 이본현황과 텍스트 소통, 신발굴 자료를 통해 본 가사문학의 재인식(2002년 민족문학사학회 공개학술발표회 자료집), 2002.12.

15]장정수, 복선화음가 연구-여성형상과 치산의 의미를 중심으로, 19세기 시가문학의 탐구, 고려대학교 고전문학 한문학 연구회, 집문당, 1995.

16]서영숙, 복선화음가류 가사의 서술구조와 의미, 한국여성가사연구, 국학자료원, 1996.

17]이동연, 조선후기 여성치산과 <복선화음가>,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4집, 2002.6.

18]성무경, 복선화음가류 가사의 이본현황과 텍스트 소통, 신발굴 자료를 통해 본 가사문학의 재인식(2002년 민족문학사학회 공개학술발표회 자료집), 2002.12.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를 존중하면서 방향을 좀 달리하여 이 작품의 초기적 산출이라 할 수 있는 계녀형으로부터 좀더 변형 발전된 형태로서의 전기형에 이르기까지 이 작품의 산출 변형에 관여하는 근본적인 추동력이 무엇인가의 문제를 짚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모든 이본군들에 공통으로 들어 있는 김부인 자신의 시집살이 서사에 관련된 대목을 집중적으로 검토해 보기로 한다. 우선 서두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어화 世上 사람들아 이내 말쌈 들어보오

2 不幸하다 이내 몸이 女子가 되어 나서

3 김익주의 孫女 되어 班閥도 좋거니와

4 金玉 같이 貴히 길너 五六歲 자란 후에

5 女工을 배와 내니 재주도 非凡하다

6 月下에 수 놓기난 姮娥의 手法이요

7 月支에의 깁 짜기난 織女의 솜씨로다

8 烈女傳 孝經篇을 十歲에 외와 내니

9 行動擧止 處身凡節 뉘 아니 稱讚하리

10 錦衣玉食 쌓였으니 飢寒을 어찌 알리

11 百花芳草 花園上에 春景도 구경하고

12 淸風明月 玉閨 中에 달빛도 구경하고

13 新新別味 茶啖床도 입맛 없어 못다 먹고

14 鴛鴦衾枕 紅閨 중에 冊子도 구경하고


이상과 같이 친정에서의 생활은 화려할 정도로 유복하게 그려져 있다. 그러나 반벌을 가려 강호로 출가한 이후 시집살이의 고생은 가난의 문제와 겹쳐 매우 극난하게 묘사되어 있다. 이본에 따라 항목의 가감이 있지만 대략 다음과 같은 내용이다.



35 見舅姑 三日 후에 廚下로 들어가니

36 甘旨의 父母供養 무엇으로 하잔 말가

37 銀竹節 전당잡혀 쌀을 팔고 반찬 사고

38 四五日 지낸 후에 이식이 장식이라

39 婚需한 것 많건마는 글로 어이 支撑하며

40 親家의 약간 구제 글로 어이 지탱하리

41 天皇씨 서방님은 글 외에 무얼 알며

42 年晩하신 媤父母난 다만 妄靈 뿐이로다

43 암상한 시누의는 없는 謀害 무삼일고

44 듣고도 못 듣는 체 보고도 못 보난 체

45 말 못하난 벙어린 체 노음 없는 병신인 체

46 無罪코 애매한 말 고개 숙여 잠잠 들어

47 年晩하신 父母 마암 행여 혹시 거사릴까

48 親庭 생각 하난 마암 어대 가 辭色하며

49 舅姑 앞에 웃난 낯이 저 즐거워 그러할까

50 저 개떡 보리 죽을 耽耽하야 甘食하며

51 六升木 四升布를 가느니 곱다 하며

52 기울고 푸른 사발 눈에 들어 곱다 할가

53 일곱 되 팔아온 쌀 꾸어 온 콩 두어 되를

54 조심하야 받아놓고 뜻을 순케 하오며

55 破器皿 추슬키난 媤家 尊重 하옴이라

56 날고 기난 개 닭인들 어룬 앞에 감히 치며

57 婦人의 音聲이 門밖에 감히 나며

58 해가 저 黃昏되면 罪아니 지은 것이 多幸이며

59 닭이 울어 새벽 되면 오날 해를 어찌하리

60 兢兢戰戰 하난 마암 시각인들 잊을손가

61 행여나 눈에 날까 조심도 무궁하다

62 親家의 書辭에도 서러운 事緣 부질없다

63 신신찮은 달란 소리 한번 두 번 아니여든

64 번번히 어찌하리 자식 된 이내 마암

65 父母를 조르기난 뉘 죄라 하잔말가

66 雪梅를 급히 불러 동녘 집에 보냈더니

67 돌아와 하난 말이 먼저 꾼 쌀 아니 갚고

68 廉恥없이 또 왔나냐 두말 말고 바삐 가라



衣食의 문제조차 해결할 수 없는 이 극한상황 속에서 김씨부인은 체면을 벗어던지고 치산에 발을 벗고 나선다. 여기도 항목의 가감은 이본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대략 다음과 같은 내용이다.



69 한심하다 이내 몸이 錦衣玉食 쌓였을 제

70 錢穀을 몰랐더니 一朝에 貧賤하니

71 이대도록 되얐난가 耳目口鼻 같이 있고

72 手足이 성성하니 제 힘써 治産하면

73 어내 누가 是非하리 저런 욕을 免하리라

74 분한 마암 깨쳐 먹고 治産凡節 힘쓰리라

75 金富者 李富者난 씨가 근본 부자리요

76 밤낮없이 힘써 벌면 낸들 아니 그러할까

77 五色唐絲 五色 실을 줄줄이 자아 내여

78 육황기 큰 베틀에 匹匹히 끊어 내니

79 翰林 注書 朝服이며 兵使 水使 戎服이며

80 綠衣紅裳 處女治粧 靑絲幅巾 少年 衣服

81 어린 아해 色옷이며 팔십 노인 핫옷이며

82 鴛鴦衾 繡놓기와 鳳凰緞 紋采 놓기

83 낮이면 두 匹이요 밤이면 다섯 가지

84 뽕을 따 누에치며 田畓 얻어 농사하기

85 때를 좇아 힘써 하니 家産이 稍成이라

86 고은 衣服 던져두고 몽당치마 둘러 입고

87 가지 외 굵게 길러 東市에 팔라 하며

88 닭을 치며 개를 쳐서 市場에 팔아 오며

89 저녁에 불을 써서 새벽밥을 이워 하고

90 알알이 하여 먹고 푼푼이 모아 내니

91 兩이 모여 관이 되며 관이 모여 백이 된다

92 앞들에 논을 사고 뒷들에 밭을 사고

93 울을 헐고 담을 싸며 띠를 걷고 기와이고

94 가마솥이 죽죽이요 廚廳하님 雙雙이라

95 안팎 中間 소슬 大門 노새 나구 버려 섰고

96 오려 타작 一白石은 天字庫에 쌓아 두고

97 늦벼 타작 三百石은 地字庫에 쌓아 두고

98 돈도 거의 千餘兩은 要用所致 餘足하다

99 시집온지 十年만에 家産이 十萬이라

100 때때로 소를 잡아 父母를 奉養하고

101 綾羅錦繡 옷을 지어 철철이 갈아입고

102 떠난 사람 옷을 주며 주린 사람 밥을 주며

103 婚姻 葬事 못 지내면 돈을 주어 救濟하고

104 窮交 貧族 못 사난 이 내 힘대로 救濟하고

105 가간하다 하는 要用 日用이 百金이라

106 아들 兄弟 及第하야 벼슬도 爀爀하다

107 內外 偕老 富貴하니 팔자도 거룩하다

108 딸을 길너 出嫁할 제 손을 잡고 이른 말이



대개 이와 같이 영농이나 길쌈 중심의 치산을 통해 경제적인 기반을 마련한 후에 구제도 하고 자식 공부를 시키고 이본에 따라서는 잔치나 풍류를 거창하게 벌이는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절정의 끝에서 딸의 출가 문제를 등장시키고 있다. 이후의 구도는 참으로 다양하여 1차 계녀훈으로 매듭을 짓는 경우에서 1차 계녀훈 뒤에 괴똥어미 사적을 덧붙이고 다시 2차 계녀훈을 첨가하는 경우, 계녀훈 없이 바로 괴똥어미 사적을 자신의 행적에 덧붙이어 병렬하고 나서 마지막에 계녀훈을 두는 경우 등등 편차가 심하다.

마지막에 붙는 계녀사의 끝은 대개 울먹이는 어조에 가까울 정도로 교술로부터 서정으로 급한 경사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244 딸아 딸아 아기 딸아 시집살이 조심하라

245 어미 行實 본을 받아 괴똥어미 警戒하라

246 딸아 딸아 아기 딸아 어미 마음 심란하다

247 女子의 有行에 父母兄弟 멀었으니

248 明春 三月 봄이 되면 너를 다시 만나리라



이본에 따라서는 ‘딸아 딸아 아기 딸아’를 세 번 이상 반복하여 서글픔을 더욱 강조한 경우도 있다. 이러한 구도를 종합해 본다면 자신의 낙차가 컸던 출가 경험을 어린 딸에게 들려 줌으로써 그 용기를 북돋우고, 경우에 따라서는 치산의 주역이 되어야 할 것도 일깨우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복선화음가>는 강호처사 향촌사족층 가정의 며느리 노릇을 형상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어느 작품보다도 계층적인 귀속성이 분명한 작품이다. 물론 20세기로 들어서면서 향촌사족층을 특별한 신분 개념으로 따로 규정하기 어려워진 시대에 이르러 이 작품이 대중적인 독서물로서 유전되는 경우가 많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런 경우는 따로 구분하여 살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어쨌든 18세기 이후 향촌 고착이 운명처럼 되어버린 이들 향촌사족층의 경우 <복선화음가>에 드러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신분적 교양이나 체면의 유지와 더불어 그 경제적인 기반을 아울러 확보한다는 것이 매우 절박한 과제로 다가와 있었던 것이다. 소극적 치산을 규정하고 있는 전형 <계녀가>나 적극적인 치산을 강조하고 있는 이 <복선화음가>의 현실적 요청은 향촌사족층의 이러한 사회경제적 여건에 부응하고 있는 것이었다.19]


따라서 <복선화음가>는 향촌사족층의 사회경제적인 지위나 처지의 추이를 따라서 이해할 필요가 있고, 이 점에서 이 작품은 <초당문답가>의 <치산편>이나 <농가월령가>와 더불어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남성들에게 <초당문답가>의 <치산편>이 요청되었던 것과 같이 여성들에게는 <복선화음가>가 요청된 것이라 할 수가 있고, <농가월령가>의 경우는 남녀 모두에게 함께 통용된 것이라 할 수 있는 셈이다. 20]


19]갓 시집온 며느리에게 家傳 <우암선생계녀서>를 베껴 주고 誦習을 명했던 宋秉珣(1839-1912)의 경우가 특할 만하다. 그는 1891년 3월 자부를 맞으면서 손수 이 계녀서를 베껴서 주고 가문의 구규를 준수할 것을 명했다하는데[宋曾憲, 後菴文集(한국역대문집총서 449, 경인문화사) 卷之十 <皇考府君行狀>, 327면.

“辛卯正月 行不肖冠禮 三月 子婦于歸 先君手抄文正公戒女書 授子婦曰 誦習此訓 毋失吾家舊規“], 이 경우 경제적인 빈궁으로 말미암아 班家의 며느리 노릇 아내 노릇이 더욱더 어려워지고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상동, 342면. ”家甚貧寠 備嘗酸寒 爲供賓客 至鬻銀環 不使夫子知之 先君嘗曰 吾之安貧讀書 得於內助者多“]

20]권순회에 의하면 <초당문답가>의 경우도 초기 이본인 <오륜행록>의 경우 대화의 짝을 이루는 <백발편>, <역대편>, <지기편>, <붕우편>, <개몽편>, <경신편>, <낙지편> 등이 빠져 있는 것으로 보아, <초당문답가>는 다른 교훈류 가사와 같이 명령형 서술형태에서 점차 문답구조로 발전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고 밝히고 있다.[권순회, 초당문답가의 이본양상과 주제적 의미, 19세기 시가문학의 탐구, 고려대학교 고전문학 한문학 연구회, 집문당, 1995. 353면.]

백발노인은 초당주인에게 자신을 비웃지 말라고 하며 자신도 본래는 양반으로 의식 걱정을 안해도 될 처지였으나 청춘시절을 허랑하게 보낸 결과 수신제가에 실패하여 오늘과 같이 비참한 꼴이 되었다고 자탄하면서 전편에 걸쳐 헛된 공명의식을 멀리하고 자신의 분수를 지키는 자족의 삶을 강조하고 있다고 한다.

헛된 공명의식은 부질없는 것이니 가정을 조정같이 여기고 수신제가에 힘쓸 것을 당부하는데, 이에 맞게 오륜 중 사군, 붕우는 극도로 축소되고, 부자와 부부가 확장되어 있으며 특히 <치산편>은 여타 교훈류 가사의 그것에 비해 분량이 훨씬 길뿐만 아니라 내용도 구체적이고 자세하다.

“유구즉 필식허고/ 유식즉 필현이라/ 예절도 의식이요/ 셰도 의식이요/ 친구도 의식이요/ 공명도 의식이요/ 의식이 유족허면/ 식 나셔 글 일키고…” 등의 구절을 보면 예절이나 교양 등 일체의 관념을 후차적인 것으로 돌려 버리면서 의식이 해결된 연후에야 나머지가 가능한 것임을 거듭 거듭 반복하여 강조하고 있다.

특히 “선빈천 후부귀을/ 남의 불음 더욱 죠며/ 선부귀 후빈천은/ 남의 우슘 더욱 슬타…”하는 구절, 즉 빈천화냐 부귀화냐의 문제를 대비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은 ‘선빈천 후부귀’의 사례와 ‘선부귀 후빈천’의 사례를 병립시킨 <복선화음가>의 구도를 떠올리게 한다. 두 작품 모두가 동일한 의식, 동일한 가치관을 지니고 있는 同根異枝的 산출로서, 이 시대 의견의 풍토를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농가월령가>의 경우도 훈민 이데올로기나 중농 이데올로기의 관점에서 파악하기에 앞서 다산의 후속 세대 사대부들의 귀농추이와 관련하여 파악해 둘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5


이상에서 경향분기가 고착되어 가는 18세기 이후의 향촌사족층 가정, 여성의 삶을 그리고 있는 <망실안인윤씨행장>, <삼한습유>, <복선화음가>의 경우를 살폈다. 윤씨의 경우는 경화의 벌열가에서 태어나 호서의 산림학자 외암 이간에게 시집을 와서 가사 노역과 함께 생계 운영까지를 전담하다가 고생 끝에 죽은 경우고, <삼한습유>의 향랑은 돈만 알고 유가적 교양은 크게 결핍되어 있는 부자집에 시집을 가서 파경을 맞은 경우이며, <복선화음가>의 김씨부인은 역시 경화벌열 가문에서 산림처사의 집에 시집을 와서 적극적인 치산을 통해 가문을 크게 일으킨 경우라 할 수 있다. 첫째의 경우만이 사실이고 나머지 둘은 허구로 그려 보인 구도다. 초점은 <복선화음가>와 같은 여성가사를 이해하는 데 두어져 있는데, 본고의 잠정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복선화음가>는 문면 그대로 향촌사족층 가정의 경제적 곤경 타개에 두어져 있는 것으로서, <초당문답가>의 <치산편>이나 <농가월령가> 등과 그 궤도를 같이 하는 작품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가부장제적 이데올로기 비판에 앞서 향촌사족층 내부의 관심과 화두를 좇아 작품의 주제적 관심을 충실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경화벌열의 문학이나 평민일반의 문학과는 차원을 분리해 두고 이해하는 것이 우선 필요하기 때문이다.


산업화 되기 이전의 인류의 삶이란 양의 동서를 막론하고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육체노동을 거의 전적으로 사람 자신이 감당해야만 했고, 생명보위며 건강관리의 불침번 활동을 어떤 사람인가가 떠맡아야만 했다. 노비들이 이러한 노역의 대부분을 감당할 수 있는 閥閱 富家가 아닌 경우 이러한 행위들의 대부분은 여성들의 몫이었다. 그런데 실제로 농경사회 대가족적 질서 속에서 이들 노역이 집중된 곳은 며느리의 자리였다. 이들 노역이야 모든 여성 가족원들에게 공동으로 지워진 몫이었지만, 신참자이면서도 가장 노동력이 왕성한 며느리는 해도 해도 끝이 없는 이 모든 노역의 최종책무자가 될 수밖에 없었다.


조선후기의 여성가사를 이해하는 시발점은 바로 여기에 있다고 생각된다. 가부장제 대가족 질서의 밑바닥을 떠받쳐야 되는 이 며느리의 삶을 선험적으로 규정하거나 체험적으로 형상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이들 가사군이기 때문이다. 여성가사의 내용은 이러한 노역들을 어떻게 감내해야 하는가의 자세에서부터 그 구체적인 시행세칙을 다루고, 혹은 그 성공 및 실패의 사례를 다루기도 하는 것들이었다.


전형적인 계녀가가 만들어지기 시작하던 17세기 우암 송시열의 당대에는 班家의 남성들 대부분은 대개 수기치인의 길을 닦으며 강호가도를 구가할 수가 있었고, 여인들 또한 이들 <계녀가>가 규정하고 있는 바와 같은 御奴婢를 잘하고 勤儉節約하는 소극적 치산으로 살아갈 수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출세의 길이 봉쇄되어 버린 학문 수양에 매달리는 동안 이들 향촌사족층은 점차로 중소지주에서 영세지주로, 영세지주에서 마침내는 자작농이나 무전농으로까지 떨어질 수밖에는 없는 사회사적인 흐름 속에 있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이들 모두에게 가장 확실한 구원의 끈은 ‘노동’을 통한 생업 종사였다. 가물에 콩 나듯이 예외적인 경우가 더러는 있었겠지만 이들이 관직으로 진출하는 길은 거의 막혀 가는 추세였다. 남녀 모두를 막론하고 체면을 벗어 던지고 영농에 종사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지극히 당연한 이러한 사실은 신분과 체통에 구애되어 있던 그들에게 좀처럼 쉬운 일이 아니었다. 사대부 양반적인 타성과 身分에 대한 鄕愁는 마니에리즘적인 형태로 더욱 강화되기 쉬웠기 때문이다. <복선화음가>며 <치산가>는 일차적으로는 이러한 미망을 깨기 위하여 고안된 노래들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6


지금 우리가 전통시대 여성의 삶과 문화를 살피는 이유는 오늘 우리의 삶을 반성적으로 조명해 보기 위함이다. 본고에서 살핀 <복선화음가> 며느리의 형상은 동시대 사대부 남성들이 이상으로 제시한 인물형상과도 다르고 평민여성들이 시집살이 노래를 통해서 그리고 있는 인물형상과도 판연히 다르다. 이는 조선후기 향촌사족층 가문의 벽에 부딪친 삶의 조건 속에서 어느 것이 가장 현실적인 타개책일 수 있는가를 진지하게 모색하고 실험해 나온 班家 여성 나름의 경험적 현실주의가 탄생시킨 인물형이었다. 성리학적 이념에 강박되어 있는 사대부 남성들에 앞서 성장하는 평민층의 가치관을 수용하여 ‘제3의 길’을 찾아낸 것이었다고도 할 수 있는 셈이다.


당대의 가부장제가 문명사의 어떤 단계에서 어떤 역할을 한 것인가는 좀더 깊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것을 단순히 여성 억압으로만 해석하여 唾棄해 버리고 마는 것은 또다른 이성적 야만이다. 우선은 당대의 실상 그대로 그것을 이해하고, 그러한 삶의 틀 속에서 어느 것이 왜 최선이었는가, 어떤 선택과 조처가 문명사의 추이에 따른 옳은 방향이었는가의 그 時宜適切性 여부를 진지하게 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오늘의 우리 삶에 남아있는 가부장제적 유습의 장처와 단처, 가능성과 한계를 평정한 심정으로 따져야 될 것이다. 21]


21]그런 측면에서 최근 발표된 김탁환의 <몸>은 가부장제와 관련하여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우리 시대의 가족소설이다. 시아버지의 생일 만찬에 남편의 몸을 불고기로 올리는 며느리를 그리고 있는 이 소설은 괴기적인 구석이 있지만, 구원의 끈 하나 없이 해체 상태에 이른 핵가족의 문제와 더불어 불발 시한폭탄처럼 도사리고 있는 가부장제적 유산의 어두운 구석을 섬찟하게 묘파해 내고 있다.



< 참고문헌 >


魏伯珪, 『存齋集』22권 11책(규장각), <家中四時會 戒辭>.

, 『存齋全書』 25권 상 하 2질(경인문화사 영인본), <自悔歌>

<紅閨勸獎歌>를 비롯한 <복선화음가> 이본들.

李柬, <亡室安人尹氏行狀>, 巍巖遺稿 권16, 한국역대문집총간 190.

金紹行, <三韓拾遺>, (필사본, 서울대도서관 소장본).

金紹行, <山中閒話幷序>, 道軒遺稿[金雲淳 저, 김석진 역, 대전, 1996) 수록.

宋曾憲, 後菴文集(한국역대문집총서 449, 경인문화사) 卷之十 <皇考府君行狀>.

김탁환, 몸, 문학마당, 창간호, 2002 겨울.

강진옥, 여성 서사민요 화자의 존재양상과 창자집단의 향유의식,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4집, 2002.6.

권순회, 초당문답가의 이본양상과 주제적 의미, 19세기 시가문학의 탐구, 고려대학교 고전문학 한문학 연구회, 집문당, 1995.

김석회, 존재 위백규 문학 연구, 이회문화사, 1995.

박일용, 삼한습유를 통해서 본 김소행의 작가의식, 한국학보, 제42집, 1986 봄.

박일용, 조선후기 전과 소설을 통해서 본 사실과 허구, 그리고 소설적 진실, 중국소설논총, 13집, 중국소설학회, 2001.12.

서영숙, 복선화음가류 가사의 서술구조와 의미, 한국여성가사연구, 국학자료원, 1996.

성무경, 복선화음가류 가사의 이본현황과 텍스트 소통, 신발굴 자료를 통해 본 가사문학의 재인식(2002년 민족문학사학회 공개학술발표회 자료집), 2002.12.

이동연, 조선후기 여성치산과 <복선화음가>,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4집, 2002.6.

이상경, 근대소설과 구여성, 민족문학사연구, 제19호, 민족문학사학회, 2001.12.

장정수, 복선화음가 연구-여성형상과 치산의 의미를 중심으로, 19세기 시가문학의 탐구, 고려대학교 고전문학 한문학 연구회, 집문당, 1995.

장효현, 삼한습유에 나타난 열녀의 형상, 조선시대의 열녀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월인, 2002.6.

정출헌, <향랑전>을 통해 본 열녀 탄생의 메카니즘, 조선시대의 열녀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월인, 2002.6.

조혜란, 삼한습유 연구, 이화여대 박사논문, 1993.















출처 : 마음의 정원
글쓴이 : 마음의 정원 원글보기
메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