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도서관 ♣/- 경제, 사회

[아세안 국가]포스트 차이나, 아세안을 가다 - 아세안 문화의 이해와 비즈니스 진출

Bawoo 2018. 1. 11. 22:27

 

포스트 차이나, 아세안을 가다 - 아세안 문화의 이해와 비즈니스 진출

 

 

포스트 차이나, 아세안을 가다

 

[소감] 관심 가는 내용만 발췌해서 읽은 케이스에 해당하는 책. 중국 시장의 대안으로 떠오른 아세안 국가들에 대한 특정 분야별 전문적 내용이 담겨 있다. 관심 분야가 아닌 내용-이를테면, 사회문화 이야기, 한류 이야기 등-이 있어서다. 책 내용 자체가 부실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충실하고 심도가 깊다. 아세안 나라들의 현장에서 직접 발로 뛰는 분들한테는 유용할 수도 있는 책이란 느낌이 들었다.] 

   

[책소개]

 

한류에 미치다, 아세안 시장을 선점하라

오늘날 대한민국은 또 한 번의 경제 위기, 금융 위기에 놓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혹자는 1990년대 후반에 터진 IMF 금융위기보다 더 심각한 상황에 있다고 말한다. 풀리지 않는 내수경제와 늘어만 가는 가계부채. 게다가 국내 수출입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는 중국, 미국과의 관계도 위태롭다. 언제 터질지 모르는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미사일 도발에 맞선 미국의 강경 대응, 한반도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보복으로 제조업, 생산업, 관광업 등 대한민국의 경제는 일촉즉발의 위기에 몰려 있는 상태다. 이러한 변수들에 휘둘리지 않고 수출업 시장이 발전하기 위해서 국내 기업은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

[포스트 차이나, 아세안을 가다]는 중국보다 더 큰 잠재성을 가진 아세안 시장의 선점 전략을 이야기한다. 책은 총 2장으로 나뉘어 아세안 문화와 시장수요, 개인과 집단 간의 전통적인 관계, 저축성향의 차이 등을 아울러 살펴본다. 제1장에서는 동남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부분별로 알기 쉽게 설명한다. 제2장에서는 제조업, 서비스업, 금융업, 마케팅을 중점으로 한국 기업의 동남아 진출 사례와 전략 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서는 실패한 사례와 성공한 사례를 비교하며 어떻게 하면 성공적인 동남아 진출을 이룰 수 있는지 알려준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아세안이 무엇인지, 아세안 진출을 위한 우선순위가 무엇이며 그간 성공한 기업들이 주목한 것이 무엇인지 배울 것이다. 더욱이 아세안 진출을 계획하는 기업에 훌륭한 지침서가 되어줄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저자 : 이충열
저자 이충열은 현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공공정책대학 경제통계학부 교수 및 공공정책대학장.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 경제학 박사. 한국금융연구원 부연구위원, 한국동남아학회 부회장, 한국동남아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지급결제학회 회장 등 역임
주요논저 : “Financial Accessibility and Economic Growth with Myagmarsuren Boldbaatar”(2015), “Assessing the Financial Landscape for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Economic Community”(2015), “ASEAN 선도 3개국의 경기변동 요인과 위기 극복 정책 : 동아시아 금융위기 이후와 이전의 비교 분석”(2014), “아세안 경제공동체 탄생에 대한 기대와 현실”(2014), “필리핀 방사모로 이슬람 자치지역의 경제 현황과 미래 개발정책수립을 위한 제언”(2014), “동아시아 금융협력의 현황과 과제”(2013), “기후변화를 고려한 논 농업의 다원적 기능 가치”(2012) 등

저자 : 이영수
저자 이영수는 현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한국항공대 경영연구소 소장.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박사. 미국 워싱턴 주립대학 경제학과 교환교수, 한국산업경제학회 편집위원, 한국수출입은행 경영자문위원회 위원 역임
주요 논저 : “Does the Strengthening of IPRs widen the Growth gap?”(2015), “Technological Change and Service Industry Market”(2013), “The determinants of export market performance on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service industries”(2012) 등

저자 : 홍석준
저자 홍석준은 현 목포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역사문화학회 편집위원장,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편집위원장.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졸업, 동 대학원 문학 석사, 인류학 박사. (사)한국동남아연구소 소장, 한국동남아학회 부회장 및 연구위원장, 한국문화인류학회 이사 및 기획위원장, 역사문화학회 부회장 및 연구위원장 등 역임.
주요 논저 : 《한-아세안 관계: 우호와 협력의 25년》(2016, 공편저), 《베트남 전쟁의 유령들》(2016, 공역), 《ASEAN-Korea Relations: 25 Years of Partnership and Friendship》(2015, co-editor), 《맨발의 학자들: 동남아시아 지역전문가 6인의 현지조사 경험》(2014), 《글로벌 시대의 문화인류학》(2013, 공역), 《Southeast Asian Perceptions of Korea》(2011, co-author), 《동남아의 한국에 대한 인식》(2010, 공저), “How are we Teaching Anthropological Research Methods?
Practices in Anthropological Fieldwork Courses at Mokpo Nationa lUniversity”(2010), 《동아시아의 문화와 문화적 정체성》(2009, 공저) 등

저자 : 심두보
저자 심두보는 현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사학과 졸업, 위스콘신대학교 언론학 석·박사. 한국소통학회 부회장, 한국언론학회 연구이사, 한국동남아연구소 연구부장, 한국동남아학회 국제이사, 미국 듀크대학 아시아학과 visiting professor 등 역임
주요논저 : 《미디어의 이해》(역) (2014), “케이팝(K-pop)에 관한 소고: 한류, 아이돌, 그리고 근대성” (2013), “대중문화 허브로서 서울의 부상: 최근 한국 대중문화 속 “동남아 현상”과 관련하여” (2012), “Whither the Korean Film Industry?”(2011), 《Pop Culture Formations across East Asia》 (2010), “아세안(ASEAN) 3개국 언론의 사회적 갈등이슈 보도에 대한 비교연구” (2010), “싱가포르의 한류와 디아스포라적 TV 드라마 수용”(2006), “Hybridity and the rise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Asia”(2006) 등

저자 : 이종하
저자 이종하는 현 조선대학교 무역학과 조교수.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동 대학원 경제학 석·박사. IBK경제연구소 연구위원, 고려대학교 BK21 연구교수, 말레이시아 국제전략연구소(ISIS Malaysia) 초청연구원, 동남아시아연구 편집위원, 등 역임.
주요논저 : 《조세제도의 고용 효과 연구》(2016, 공저), “중국의 금융변동과 경기변동 : 31개 성별 자료의 실증분석”(2016), “외국인직접투자의 유형별 결정요인 분석”(2015), “Women's Education and the Timing and Level of Fertility”(2014), 《동아시아 공동체 : 동향과 전망》(2014, 공저), “Financial Deepening and Business Cycle Volatility in Korea”(2013), “Panel SVAR Model of Women’s Employment, Fertility, and Economic Growth: A Comparative Study of East Asian and EU Countries”(2012), “동아시아 국가의 환율변동 요인 분석”(2012) 등

목차

제1장 동남아의 이해: 정치/경제/사회/문화
제1절 아세안과 동남아에 대한 이해
제2절 동남아 사회·문화의 개요
제3절 동남아 이슬람과 이슬람 경제
제4절 동남아의 한류

제2장 우리 기업의 동남아 진출
제1절 동남아로의 제조업 진출
제2절 동남아로의 서비스업 진출
제3절 동남아로의 금융 진출
제4절 동남아에서의 마케팅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