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현대 중국화가 이무홍(李撫虹)의 <서림사후원(西林寺後園)> 경편(鏡片) (設色紙本, 69×41cm)
中郞有女能傳業 伯道无兒可保家
偶到匡山曾住處 幾行衰淚落烟霞
(중랑유녀능전업 백도무아가보가
우도광산증주처 기행쇠루락연하)
채옹에게 딸이 있어 가업을 전할 수 있었고
백도에게 아들이 없었으나 집안을 보존했네
일찍이 여산의 거처에 우연히 이르러
안개와 노을을 보며 늙은이의 눈물 얼마나 흘렸는지
☞ 한유(韓愈/唐), <유서림사제소이형낭중구당(游西林寺題蕭二兄郎中舊堂)>
- 中郞: 전국시대(戰國時代)∼한(漢)나라 때까지 있었던 관명(官名). 여기서는 후한 때의 학자 채옹(蔡邕). 채옹에게 염(琰/文姬)라는 딸이 있어 부친의 문학을 이었다.
- 衰淚: 노루(老淚).
- 匡山: 여산(廬山).
- 烟霞: 안개와 노을. 산수(山水). 속세(紅塵).
- 伯道: 진(晉)나라 때 사람인 등유(鄧攸)의 자(字).
중국 진(晉)나라 때 사람인 등유(鄧攸)는 자(字)가 백도(伯道)로 하동(河東)의 태수(太守)를 지냈다.
영가(永嘉) 말년에 석륵(石勒)의 난이 일어나자 아내와 어린 아들, 조카를 데리고 피난길에 올랐다.
그러나 곧 적을 만나 자식과 죽은 아우의 동생인 조카 가운데 하나를 버리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을 맞았다.
이에 등유는 처에게 말하기를 "내 동생이 일찍 죽어 오직 이 아이 하나만 남았으니 이치를 버릴 수 없소. 그러니 우리의 아이를 버릴 수밖에 없소. 다행히 우리가 목숨을 건진다면 훗날 다시 아이를 얻을 수 있지 않겠소?"라 하니 처가 울면서 등유의 뜻을 따랐다.
그러나 나중에 부부가 온갖 방법을 다해 후사(後嗣)를 얻고자 했으나 얻지 못하니 당시 사람들이 이 일을 의롭게 여기면서 슬퍼하여 말하기를 "하늘은 무심도 하구나 등백도로 하여금 자식이 없게 하다니"라고 했다(☞ ≪진서(晉書)≫ <등유(鄧攸)>전).
전체적인 맥락은 비슷하지만 내용구성이 약간 다른 이야기도 있다.
등유가 피난길에 배로 강을 건너는데 배가 가라앉으려 하자 죽은 아우의 자식을 두고 자기 자식을 물에 던져 무게를 덜었다.
아내와 함께 눈물로 의(義)를 지키고 훗날 다시 자식 볼 것을 기약했으나 소실까지 두고도 끝내 자식을 얻지 못했다.
세인들이 이를 애달프게 여겨 하늘(天道)의 무심함을 한탄하니 일컬어 백도무아(伯道無兒)라 했다는 것이다.
백도가 근심 끝에 후사(後嗣)를 얻지 못하고 죽으니 후세 사람들이 백도와 같은 무사(無嗣)의 처지를 일컬어 백도지우(伯道之憂)라 하기도 했다.
◇ 근현대 중국화가 하경관(夏敬觀) 등의 <십가민국명현(十家民國名賢)> 선면집금(扇面集錦) (設色紙本)
'♣ 미술(美術) 마당 ♣ > [중국화-시와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수의화개여수류(隨意花開與水流) (0) | 2018.04.25 |
---|---|
[스크랩] 편주일도춘풍온(扁舟一棹春風穩) (0) | 2018.04.24 |
[스크랩] 권군갱진일배주(勸君更盡一杯酒) (0) | 2018.04.19 |
[스크랩] 항주춘망(杭州春望) (0) | 2018.04.19 |
[스크랩] 임축상유난(任逐桑楡煖) (0) | 2018.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