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말근대 누신호(樓辛壺)의 <등산임수(登山臨水)> (1936年作, 設色紙本, 68×32cm)
一年年覺此身衰 一日日知前事非
詠月嘲風先要減 登山臨水亦宜稀
子平嫁娶貧中畢 元亮田園醉裏歸
爲報阿連寒食下 與吾釀酒掃柴扉
(일년년각차신쇠 일일일지전사비
영월조풍선요감 등산임수역의희
자평가취빈중필 원량전원취리귀
위보아연한식하 여오양주소시비)
한해한해 이 몸 쇠약해짐 깨닫고
하루하루 옛일 그르친 줄 알겠네
음풍영월 먼저 줄여야 하고
등산임수 또한 드물게 해야 하리
서자평은 가난해도 자식 모두 출가시켰고
도연명은 전원으로 취하여 돌아갔지
사혜련에게 전해 주시게 한식이 되면
나와 더불어 술 담그고 사립문 쓸자고
☞ 백거이(白居易/唐), <장귀위촌선기사제(將歸渭村先寄舍弟)>
- 前事: 지난 일. 예전의 일.
- 詠月嘲風: 밝은 달을 읊고 맑은 바람을 노래함(吟風詠月).
- 登山臨水: 높은 산을 오르고 흐르는 물을 찾음.
- 子平: 서자평(徐子平). 오대(五代)∼북송(北宋) 시기에 명리학(命理學)을 체계화하고 집대성했다는 전설적인 인물.
- 嫁娶: 여식을 시집보내고(嫁女), 장가들임(聚婦).
- 元亮: 동진(東晉) 때의 전원시인 도연명(陶淵明)의 자(字).
- 阿連: 남북조시대 남조 유송(劉宋) 시인 사령운(謝靈運)의 종제(從弟) 사혜련(謝惠連).
謝靈運과 `大謝·小謝`로 병칭되었다. 어려서부터 문재(文才)가 뛰어나 주위로부터 칭송을 받았다.
◇ 근현대 장대천(張大千)의 <登山臨水> 경심(鏡心) (1948年作, 設色紙本, 67.5cm×33.5cm)
◇ 장대천(張大千)의 <登山臨水> 鏡心 (1948年作, 設色紙本, 106×53.5cm)
◇ 장대천(張大千)의 <登山臨水> 鏡心 (1951年作, 設色紙本, 97×48.5cm)
◇ 장대천(張大千)의 <登山臨水> (1970年作, 設色紙本, 69×39cm)
◇ 장대천(張大千)의 <登山臨水> 경편(鏡片) (紙本, 137×66cm)
◇ 장대천(張大千)의 <登山臨水> (設色紙本, 68.5×35.5cm)
'♣ 미술(美術) 마당 ♣ > [중국화-시와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반산모옥유인주(半山茅屋幽人住) (0) | 2018.11.10 |
---|---|
[스크랩] 지허동리로국지(只許東籬老菊知) (0) | 2018.11.10 |
[스크랩] 일구능소만고수(一句能銷萬古愁) (0) | 2018.10.15 |
[스크랩] 추량여수일등청(秋凉如水一燈靑) (0) | 2018.10.12 |
[스크랩] 박부주지중(拍浮酒池中) (0) | 2018.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