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터넷 교보문고
이 책이 주목하고 있는 시기는 이른바 일본의 '전후'이다. 이 혼돈의 시기는 기존의 질서와 관념을 공고히 지배하던 여러 법칙성의 체계가 뒤흔들리고 균열이 일어나던 시기로, 그로 인해 새로운 주체가 탄생하거나 가치 전환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시기였던 것이다. 이 책에서는 누구보다도 민감하게 패전이란 사건을 혹은 전후라는 시간에 감응했을 작가들의 작품 5편을 선별했다. 한 일본인 청년을 거세된 전후 일본의 상징으로 등장시켜 전후 일본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는 오에 겐자부로의 소설 <갈채> 등이 실려 있다.
목차
『 전후 일본 단편소설선』을 엮으며
* 포드ㆍ1927년:그리움의 거부 - 고바야시 마사루
[작가는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나 패전 뒤 쫒겨가기 전 사춘기 시절까지 살았다. 이 당시의 체험담이다. 식민지 조선인의 나라 잃은 서러움을 새삼 느낄 수 있다.] 포드 1927는 터키인이 가지고 온 자동차이다.]
[내용 발췌분]순기의 눈은 한층 가늘어졌고, 이제는 넓은 이마에 피로한 주름이 희미하게 새겨져 있었다. 그녀의 가슴은 놀랄 정도로 빈약해져 있었다. 무엇인가가 순기에게서 청춘을 영원히 빼앗아 간 것은 틀림없었다. 그리고 그 무엇인가는 순기의 청춘만을 빼앗은 게 아니었다. -41쪽]
고바야시 마사루는 경상남도 진주농림학교의 생물 교사로 재직 중이던 아버지 고바야시 도키히로의 셋째 아들로 진주에서 태어났다. 1944년 대구중학교 4학년을 수료하고 1945년 3월 육군항공사관학교에 입학하지만 8월 일본의 패전으로 귀향했다. 1950년 레드 퍼지 반대 투쟁을 지도하여 정학 처분을 당하고 다음 해에 와세다대학교를 중퇴했다. 1953년 도쿄 스기나미 진료소에 근무하며 공산당원으로 지역 활동을 하는 한편 소설 공부를 시작했다. 이듬해에는 잡지 '문학의 벗' 편집위원이, 1955년에는 잡지 '생활과 문학'의 편집위원이 되었다. 1957년 유망한 작가로 주목받으면서 <일본인 중학교> <태백산맥> <붉은 민둥산>을 발표하고 첫 번째 창작집 <포드1927년>을 간행했다. 1960년 잡지 '문학계' 7월호에 발표한 <가교>는 아쿠타가와상 후보작에 올랐다. 이후 오랫동안 괴롭혀 온 폐결핵 때문에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는 가운데 1970년 <쪽발이>를 간행했다.
* 메뚜기 - 체험의 무게, 재현의 가벼움 :다무라 다이지로
[일본 군인의 입을 통한 위안부의 목소리를 들을 수도 있다. 강제로 끌려간 위안부란 내용은 없다. ]
* 성욕이 있는 풍경 - 종전, 소가 생각나다 :가지야마 도시유키
* 갈채 - 갈채받을 수 없는 청년 :오에 겐자부로
[패전 후 외국인을 상대로 하는 창부 야스코와 대학생 나쓰오를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 나쓰오가 자신에게 존재하지 않는 남성성을 인정하고 동성연애를 시작하는 과정은 일본이 미국에 굴복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소설은 전후 일본에 대한 조소도 잊지 않는다. 나쓰오에게 일시적으로 남성성을 회복시키는 창부 야스코는 결국 나쓰오가 굴욕을 참고 여성성을 연출하도록 한다. 겐자부로는 이러한 중간자를 통해 미국과 일본의 관계가 중간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허구적인 것임을, 일회성의 관계에 불과하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나는” 그는 눈물을 보인 채로 미소 지었다. “나는 내가 여자와 잘 수 없는 인간이라고 굳게 믿고 있었어. 꽤 오랫동안 그렇게 믿고 있었어.”
“할 수 있어. 우리 아가도.” 야스코는 낮은 목소리로 속삭였다.
“아가도 정말 훌륭하게 할 수 있었잖아. 넌 남자야.”
“나는 남자다.” 나쓰오는 자신 안에 희미하게 남아있는 두려움과 망설임의 싹을 잘라 버리기 위해 일부러 되뇌며 말했다. “나는 남자다운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알게 되어 다행이지? 축하해.” 야스코가 말했다.
“박수갈채다.” 야스코의 땀에 젖은 뜨거운 가슴에 한쪽 뺨을 묻으며 나쓰오는 행복하게 말했다. -207쪽 ]
오에 겐자부로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郞)는 1935년 일본 에히메현(愛媛縣)에서 출생했고, 도쿄 대학 불문학과를 졸업했다. 사르트르, 카뮈 등의 영향을 받아 대학 재학 중에 소설을 발표했고, '사육'으로 아쿠타가와상을 수상했다. 1950년대 후반에서부터 이시하라 신타로와 함께 젊은 세대를 대표하는 작가로 급부상했다. 1960년에는 일본의 젊은 작가를 대표하여 마오쩌둥을 만났고 그것은 오에가 정치적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차츰 신좌익 사상에 경사되었다. 지적 장애아 아들이 태어난 충격으로 그는 '개인적인 체험'을 발표했으며, 여기에서 기형아 출산을 주제로 삼아 인권을 유린당한 전후세대의 문제를 파헤쳤다. 한편, '만엔 원년의 풋볼'에서는 오래된 공동체를 역사적, 민속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취했다. 1970년대에는 '핀치런너 조서', '동시대 게임'을 발표했다. 그리고 '히로시마 노트', '핵시대의 상상력'등을 통해 반전과 장애아 보호를 주장했다. 1980년에 '레인 트리를 듣는 여자들', '어떻게 나무를 죽일까?', 'M/T와 숲의 이상한 이야기', '새로운 사람아, 눈을 떠라', '치료탑'등을 발표.
* K 공동묘지 사망자 명부 - 끝나지 않을 전후 : 오시로 사다토시
오키나와의 공동묘지가 있는 한 마을을 배경으로 한 작품. 미군 병원에서 죽어 나온 사람들을 매장하고 명부를 작성하는 일을 자발적으로 해 온 아버지와 큰 아버지 그리고 어머니가 죽자 그 뒤를 이어 주인공이 하면서 그동안 일어난 이야기를 60이 다 된 나이에 회고하는 식으로 써넣었다. 오키나와라는 지역의 비참함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역자 소개
출판사서평
무너진 프로파간다의 흔적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했을 때, 일본이 전쟁에 질 거라고 생각한 사람은 얼마나 될까. 일본의 패전은 일본인들의 마음에게 원폭의 흔적으로 남았다. 영원한 태양 아래 살 것 같았던 일본인에게 패전이란 ‘대동아공영’, ‘내선일체’ 같은 프로파간다의 붕괴를 낳았다. 일본 신도(神道)가 일본인의 정신을 지배했듯, 전쟁 슬로건을 내면화했던 일본인들은 허황된 꿈에서 벗어나 새로운 현실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새삼스레 일본의 전후를 이야기하는 것은 시기가 지난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일본이 스스로 전후의 기억을 ‘희생의 과거’로 포장하고 ‘아름다운 나라’라는 황금빛으로 칠하는 이 시점에 전후를 탐구하는 것은 의미 없다고 할 수 없다. 이 책은 이러한 기획에서 출발했다.
이 책은 전후 패전이라는 사건, 그리고 전후에 반응했던 작가들의 작품 5편을 엮었다. 부산과 경남 일대의 한국문학과 일본문학 전공자들로 구성된 ‘한일 전후문학 세미나’팀은 기존의 일본의 문학이나 역사적 시각에서 벗어나 전후 일본의 단편소설들을 통해 전후라는 시간이 남긴 흔적을 추적하고 있다.
일본이 숨기고자 하는 것
전후 일본에 대한 역사적 서술은 거대한 정치와 사회의 흐름이겠지만, 이와는 달리 소설은 하나의 미시사(史)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미시사 역시 사회적 상황과 맞닿아 있다. 가령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오에 겐자부로의 ?갈채?는 패전 후 외국인을 상대로 하는 창부 야스코와 대학생 나쓰오를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 나쓰오가 자신에게 존재하지 않는 남성성을 인정하고 동성연애를 시작하는 과정은 일본이 미국에 굴복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소설은 전후 일본에 대한 조소도 잊지 않는다. 나쓰오에게 일시적으로 남성성을 회복시키는 창부 야스코는 결국 나쓰오가 굴욕을 참고 여성성을 연출하도록 한다. 겐자부로는 이러한 중간자를 통해 미국과 일본의 관계가 중간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허구적인 것임을, 일회성의 관계에 불과하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허구같은 현실을 벗어나현실같은 허구를 꿈꾸던 일본인들
이 책에 소개된 소설들은 일본의 전쟁에 대한 사죄나 피해의식을 토로하지 않는다. 대신 기존에 가진 신념이 붕괴되면서 생긴 균열을 들여다본다. 여기에는 오에 겐자부로 외에도 고바야시 마사루, 가지야마 도시유키, 다무라 다이지로, 오시로 사다토시와 같은 문학자들의 소설이 수록되어 있다. 이 작가들은 조선에서 태어나고 자랐거나 중국에서 육군으로 종군했던 경험을 했던 이들이다. 특히 다무라 다이지로의 메뚜기를 통해 일본 군인의 입을 통한 위안부의 목소리를 들을 수도 있다.
이외에도 "포드1927년"을 통해 조선인과 일본인 학생들의 모습을, "성욕이 있는 풍경"을 통해 원폭 투하 후 남은 일본인들의 모습을, "K공동묘지 사망자 명부"를 통해 전쟁과 그 이후 죽은 자들과 남은 자들의 모습을 살필 수 있다
'♣ 책 도서관 ♣ > - 문학(文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단편소설 모음집]포맷하시겠습니까 :꿈꿀 수 없는 사회에 대한 여덟 가지 이야기 (0) | 2019.11.05 |
---|---|
[우리 장편소설] 끝나지 않는 노래 - 최진영 (0) | 2019.11.01 |
[우리 장편소설] 황토 - 조정래 (0) | 2019.10.23 |
[우리 장편소설] 마지막 인사 - 이건영 (0) | 2019.10.02 |
[우리 장편소설] 사이공 나이트 - 정민 (0) | 2019.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