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행(權幸, 생몰년 미상)은 고려(高麗)의 공신(公申)이자 안동 권씨(安東 權氏)의 시조이다. 고려사(高麗史)에는 흔행(昕幸)으로 기록되어 있다.[1]
생애
930년 고려 태조(高麗 太祖 13년)에 고창군(古昌郡)에서 왕건(王建)이 후백제왕(後百濟王) 견훤(甄萱)과 전투를 벌였을 때 고을 사람 김선평(金宣平) 장길(張吉)과 함께 태조 왕건(太祖 王建)을 도와 전공을 세우면서 대상(大相)으로 임명되었다.
각주
----------------------------------------------------------------------------
안동 권씨의 시조로 후삼국시대 및 고려시대의 인물이다. 원래 신라 왕실의 후예였으며 본명은 김행(金幸)이었다.
2. 생애
'안동권씨대동백계도'의 기록에 의하면 927년(경순왕 1년) 후백제의 견훤이 신라에 침입하여 포석정에서 경애왕을 주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던 당시 고창군[1]에서 별장을 지내고 있었다고 한다.
930년(경순왕 4) 고려 태조가 견훤과 고창에서 싸울 때, 태조를 도와 후백제군을 함께 물리쳐 승리하자, 태조가 이를 기뻐하고 "능히 기미에 밝고 권도에 통달하다"라 하고 권씨의 성과 '삼한벽상아부공신 삼중대광 태사'라는 벼슬에 제수, 고창군을 식읍으로 하사하였다고 한다.
권행의 묘.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 소재 |
안동 권태사 신도비.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 소재 |
--------------------------------------------------------------------
2018.01.31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는 안동권씨의 시조 태사 권행의 묘소다. 선계는 신라의 왕성인 경주김씨이며 시조인 김알지의 27대손이나 28대손으로 이야기하기도 하나...
blog.naver.com/hyugy1000/221181214796 積善之家 必有餘慶 不積善之家 必有餘殃
---------------------------------------------------------------------------------------------
[참고 자료]안동 권씨 - 나무위키 2020.08.22.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된 인구를 기준으로 한다. 안동 권씨(安東 權氏) 관향 경상북도 안동시 시조 권행(權幸) 집성촌 서울특별시 강서구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전광역시 서구·중구 울산광역시 울주군 세종...
[정보] 책 - 조상의 눈 아래에서(양장본 HardCover)
마르티나 도이힐러 지음 | 김우영 옮김 | 너머북스 | 2018.11.27.
'♣ 역사(歷史) 마당 ♣ > - 인물, 단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헌 홍대용 선생의 스승]김원행(金元行) (0) | 2020.10.27 |
---|---|
[조광조의 시신을 수습, 매장한 인물]양팽손(梁彭孫) (0) | 2020.09.01 |
[퇴계 제자 중 도산서원에 배향된 유일한 인물]조목(趙穆) (0) | 2020.08.27 |
[정유재란- 노량해전에서 이순신 장군 사망 후 대신 지휘했다고 알려진 인물]이문욱(李文彧) 혹은 손문욱(孫文彧) (0) | 2020.08.20 |
[조선 후기 -우리나라 최초의 필리핀어 통역사]문순득[文順得] (0) | 202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