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조광조의 시신을 수습, 매장한 인물]양팽손(梁彭孫)

Bawoo 2020. 9. 1. 22:13

 

양팽손(梁彭孫, 1488년(성종 19년) ~ 1545년(인종 1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화가이다.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대춘(大春), 호는 학포(學圃)이다.

1510년(중종 5)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생원시에 합격하고, 1516년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했다. 현량과(賢良科)에 발탁되어 정언(正言)·전랑·수찬(修撰)·교리(校理) 등의 관직을 역임했으며, 호당(湖堂)에 뽑혀 사가독서(賜暇讀書)하기도 하였다. 정언으로 재직할 때 이성언(李誠言)을 탄핵한 일로 인해 대신들의 의계(議啓)로써 직책이 갈렸지만, 조광조·김정(金淨) 등 신진 사류들로부터는 언론을 보호한 인물로 평가받기도 하였다.

1519년 10월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조광조·김정 등을 위해 소두(疏頭)로서 항소하였다. 이 일로 인해 삭직되어 고향인 전라도 능주(綾州)로 돌아와 중조산(中條山) 아래 쌍봉리(雙鳳里)에 작은 집을 지어 학포당(學圃堂)이라 이름하고 독서로 소일하였다. 이 무렵 기준(奇遵)·박세희(朴世熹)·최산두(崔山斗) 등의 기묘명현들과 친교를 맺었다. 특히, 능주로 유배되어온 조광조와는 매일 경론을 탐구하며 지냈다. 1544년 용담현령(龍潭縣令)를 지냈다.

글씨와 산수화에 뛰어났는데 그의 산수화는 중종 때의 산수화풍을 대표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의 작품으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산수도>(山水圖)가 있는데 묘사가 정확하고 필치가 고답한 북종화풍의 회화로 알려진다. 개인 소장의 <춘강계칙도>도 그의 작품으로 전해지며, 한편 일본 히로시마현(廣島縣)의 다이겐사(大願寺)에 있는 <소상팔경>(瀟湘八景)도 그의 필법과 매우 흡사하여 주목된다. 조광조가 그의 친구였다. 조광조가 기묘사화로 화를 당하자 묘를 이장해주었다. 조광조 사후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위키백과]

-------------------------------------------------------------------------

[같이 보기]

조선의 대표적인 문인화가, 양팽손

(朝鮮의 代表的인 文人 畵家, 梁彭孫)

[양팽손의 삶과 사회적 배경 : 기묘사화와 문인화가의 길] 호남의 대표적 문인화가로는 조선 후기의 윤두서(尹斗緖)[1668~1715]와 조선 말기의 허련(許鍊)[1808~1893]을 꼽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앞선 시기인 조선 전기의 화가로는 중종 때 문장과 서화...[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조광조와 양팽손의 지란지교[2017.04.09. 30101]

조광조와 양팽손의 지란지교 -화순지역답사4 기묘사화(己卯士禍)로 능주에 도착한지 한달 다새만에 사약을 받은 정암(靜菴) 조광조 (趙光祖, 1482~1519)의 시신을 거둬...

cafe.daum.net/ghtntrktnlaxj/VIM/6367 호숫가쉼터

--------------------------------------------------------------------

양팽손 불천위 제례 梁彭孫 不遷位 祭禮

[개설] 양팽손 불천위 제례를 ‘부조묘 제사’, ‘학포 선생 제사’, ‘큰할아버지 제사’라 부른다. 매년 음력 8월 18일 오전 11시부터 12시에 모신다. 30여 년 전에는 제일 새벽에 모셨으나 제례를 문중이 주도하면서 시간을 변경하여 모시고 있다. 제례 비용은 문중에서 전적으로 부담하고 있는데, 매년 100여만 원이...

분야 : 종교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양팽손 문집』 梁彭孫 文集

    [저자] 양팽손(梁彭孫)[1488~1545]의 자는 대춘(大春), 호는 학포(學圃)이다. 중종 대의 문신으로 조광조(趙光祖)[1482~1519]가 유배되었을 때 곁에서 함께했다. 조광조가 타계하자 학포는 조광조의 사신(捨身)을 수습하였다. 송흠(宋欽)[1459~1547] 문하에서 수학했고, 1519년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관직이...

    분야 : 역사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용강서원

    1985년 2월 25일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21호로 지정되었다. 1821년(순조 21) 학포 양팽손과 장춘 양신용을 추모하기 위하여 지방 유림이 창건하였다. 처음에는 용두면 중흥리(지금의 해룡면 중흥리)에 사우를 창건하였으나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70년 지금의 자리로 이건·복원...

    위치 : 전라남도 순천시 공마당1길 64 (금곡동) 문화재 지정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21호(1985.02.25 지정)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용강서원 龍岡書院

    개설 1821년(순조 21)에 향중 유림들이 혜강공(惠康公) 양팽손(梁彭孫, 1488∼1545)과 그의 증손인 장춘(長春) 양신용(梁信容)의 학덕을 기려 위패를 봉안하고 세운 사우이다. 1985년 2월 25일에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21호로 지정되었다. 역사적 변천 1821년에 양팽손과 양신용을 배향하기 위해 지방 유림이 창건...

    시대 : 조선후기 문화재 지정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21호 건립시기 : 1821년(순조 21) 성격 : 서원 유형 : 유적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금곡동 251-1, 전라남도 순천시 공마당1길 64 (금곡동) 분야 : 교육/교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죽수서원

    1986년 9월 29일 전라남도문화재자료 제130호로 지정되었다. 이 서원은 조광조(趙光祖)와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을 배향하고 있다. 1570년(선조 3)에 능성현령 조시중(趙時中)의 협조로 지금의 자리에 서원을 짓고, 죽수(竹樹)라는 사액을 받았다. 조광조는 1519년(중종 14)에 일어난 기묘사화(己卯士禍)로 능성현에...

    위치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학포로 1786-45 문화재 지정 : [죽수서원]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30호(1986.09.29 지정)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태그 문화재

  • 심곡서원 深谷書院

    부족하여 모현면에 있는 정몽주(鄭夢周) 제향의 충렬서원(忠烈書院)에 입향하였다가 위패를 옮겨오게 되었다. 설립과 동시에 ‘심곡’이라고 사액되었으며, 양팽손(梁彭孫)을 추가 배향하였다. 대원군의 서원철폐 당시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로서, 선현 제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왔다. 경내...

    시대 : 조선 문화재 지정 :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재 제7호 건립시기 : 1650년(효종 1) 성격 : 서원, 교육시설 유형 : 유적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심곡로 16-9(상현1동 203-2) 분야 : 교육/교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태그 조선 , 유적 , 교육

  • 심곡서원

    부족하여 모현면에 있는 정몽주(鄭夢周) 제향의 충렬서원(忠烈書院)에 입향하였다가 위패를 옮겨오게 되었다. 설립과 동시에 ‘심곡’이라고 사액되었으며, 양팽손(梁彭孫)을 추가 배향하였다. 대원군의 서원철폐 당시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로서, 선현 제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왔다. 경내...

    위치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심곡로 16-9 (상현동) 문화재 지정 : [심곡서원]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호(1972.05.04 지정)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정보]책- 다시보는 임진왜란

 

양성현 지음 | 책공장 | 2020.4.15.

 

[참고]위 책에는 양팽손(梁彭孫) 선생보다는 아들인 양응정 [공섭(公燮), 梁應鼎]선생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개설: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공섭(公燮), 호는 송천(松川). 양담(梁湛)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양이하(梁以河)이고, 아버지는 교리 양팽손(梁彭孫)이다. 어머니는 금산김씨(錦山金氏)로, 김화(金話)의 딸이다. 동래부사 양응태(梁應台)의 아우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40년(중종 35)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하고...

시대 : 조선 출생 : 1519년(중종 14) 사망 : 1581년(선조 14) 경력 : 공조좌랑, 진주목사, 공조참판, 대사성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송천집, 용성창수록(龍城唱酬錄) 성별 : 남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제주(濟州)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태그 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