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절하 겹치며 中 수출시장 경쟁력 약화도 우려
원/달러 환율 1000원 붕괴 가능성이 제시됨에 따라 원화강세로 인한 한국 수출기업 타격이 우려된다. 여기에 중국 위안화 마저 올해 하락세를 보이면서 대중 수출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0일 보고서에서 원/엔 환율 100엔 당 1000원선이 무너진 데 이어 원/달러 환율도 1000원 붕괴 가시권에 진입했다고 전망했다. 9일 원/달러 환율은 5년10개월 내 최저인 1016원대로 떨어졌고 10일에도 장중 1015원대까지 하락했다.
자본거래 측면에서도 외국인은 당시(2006~2007년) 국내 주식과 채권을 순매도 했지만 지난해와 올해 첫 4개월간은 각각 45조2000억원, 9조원을 순매수했다. 여기에 우리나라의 양호한 경제 펀더멘털로 향후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해 글로벌 자금이 신흥국에서 선진국으로 회귀해도 주요 신흥국과 차별화되면서 자금 유입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미국 재무부가 한국의 막대한 경상수지 흑자와 외환보유고를 언급하면서 향후 외환시장 개입 자제를 주문, 외환 정책 폭마저 제한될 것으로 관측된다.
선진국 통화 약세에 중국 위안화마저 절상 흐름을 멈추며 우리나라의 수출경쟁력이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LG경제연구원은 같은날 보고서에서 위안화 절하로 바뀐 대중 수출환경이 변하면서 대중 수출비중이 높은 기업의 수익성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위안/달러 환율은 1월 1달러당 6.04위안까지 하락했다가 4월 말 6.26위안까지 상승(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 하락)했다. 위안화가 관리변동환율제 안에서 움직이는 화폐라는 점을 감안할 때 3개월 남짓한 기간 동안 3.5%의 절하는 이례적으로 빠른 움직임이다. 최근 평가절하가 다소 급격했고 금리자유화 같은 자본유입요인으로 위안화 평가절상이 되풀이될 여지는 있지만 절상 속도와 폭은 과거에 비해 크게 제한적일 것이란 관측이다.
LG경제연구원은 "위안화는 과거와 같은 일방적 강세보다 등락을 거듭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 원화는 GDP의 7%에 가까운 경상수지,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 등에 강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며 "수출은 늘지 않으면서 가격경쟁력마저 떨어질 이중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 자료 출처: 머니투데이 권다희 기자 > |
'♣ 좋은 글 모음♣ > 경제,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간기획- 2020년 인구절벽 위기 온다 <1회> ① ( 머니 투데이) (0) | 2014.06.19 |
---|---|
<세계경제> 셰일가스가 바꾸는 세계 경제지도-The New York Times (0) | 2014.06.17 |
중국 경제가 수상하다[중앙일보] 입력 2014.06.10 00:37 / 수정 2014.06.10 09:54 (0) | 2014.06.11 |
아폴로 신드롬 (Apollo Syndrome) (0) | 2013.12.09 |
린 스타트 업(lean start-up) (0) | 2013.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