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사건, 제도

병자호란 다시 읽기 - 한명기 명지대 교수[서울신문]

Bawoo 2015. 12. 14. 23:19

 

[병자호란 다시 읽기] (104 끝) 조선을 알았던 청, 청을 몰랐던 조선  [서울신문] 2008.12.31 (수) 조선이 병자호란을 맞아 일방적으로 몰리고 항복할 수밖에 없었던 까닭은 무엇일까? 우선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당시 청군이 조선이 상대하기에는 너무 버거운 강적이었다는 점이다.청군은 병력의 수,무기 체계,전략과 전술,사기 등 모든 면에서 조선군을 압도했다.그들은 교전 경험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읽기] (103) 환향녀의 슬픔, 안추원과 안단의 비극  [서울신문] 2008.12.24 (수) 속환이나 도망을 통해 천신만고 끝에 조선으로 돌아온 여인들(還鄕女) 앞에는 또 다른 난관이 기다리고 있었다.사족(士族) 부녀자들은 ‘오랑캐에게 실절(失節)한 여자’라는 따가운 시선 때문에 고통받아야 했다.일부 신료들은 ‘속환되어온 며느리에게 조상의 제사를 받들게 할 수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102) 포로들의 고통과 슬픔 ③  [서울신문] 2008.12.17 (수) 당시 포로들을 속환해 오는 방식은 몸값을 누가 마련하느냐에 따라 크게 사속(私贖)과 공속(公贖)으로 나눠지고 있었다.사속이란 일반 사민(士民)들이 스스로 마련한 몸값을 갖고 심양에 들어가 혈육을 데려오는 방식이었다.공속은 국가가 몸값을 대고 포로들을 데려오는 것이었다.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101) 포로들의 고통과 슬픔 ②  [서울신문] 2008.12.10 (수) 병자호란 직후 청으로 끌려간 수많은 포로들은 어떤 고통을 겪었을까? 한마디로 그들 피로인(被擄人)들은 시종일관 끔찍한 고난 속에서 살아가야 했다.그들의 고통은 청군에게 사로잡히는 순간부터 시작되어,심양으로 끌려가는 과정에서,심양에 도착한 이후에도,도망이나 속환(贖還)을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100) 포로들의 고통과 슬픔 ①  [서울신문] 2008.12.03 (수) ‘우리가 끌고 가는 조선인 포로들 가운데 압록강을 건너기 전에 탈출에 성공하는 자는 불문에 부친다.하지만 일단 강을 건너 한 발짝이라도 청나라 땅을 밟은 다음에 도망치는 자는 조선이 도로 잡아 보내야 한다.’청 태종 홍타이지가 1637년 1월,항복을 받을 당시 조선 조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99) 조선,혼돈 속 청의 번국 되다  [서울신문] 2008.11.26 (수)  청군의 철수가 막바지에 이르렀을 무렵,조정에서는 또 다른 논란이 벌어지고 있었다.그것은 전란을 불러온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놓고 불거졌다.인조는 그 책임을 온전히 척화파들에게 돌렸다.‘그들이 명분만 앞세워 경거망동하는 바람에 임금과 종사(宗社)를 불측한 지경으로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읽기] (98) 인조, 백성에 사죄하다  [서울신문] 2008.11.19 (수) 전란은 끝났지만 인조 정권 앞에는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었다. 당장 도성 안팎에 버려져 있는 시신들을 치우고, 하나 둘씩 모여드는 생존자들을 구휼(救恤)하는 문제가 시급했다. 또 전쟁을 불러오고, 임금으로 하여금 일찍이 없던 치욕을 겪게 만들었던 책임 소재를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읽기] (97) 가도의 동강진 무너지다  [서울신문] 2008.11.12 (수) 청은 병자호란을 통해 여러 가지를 얻었다. 우선 자신들을 끝까지 인정하려 들지 않았던 조선을 굴복시킴으로써 대외적으로 ‘제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었다. 다른 측면의 소득도 짭짤했다. 망해가고 있던 명에게 조선은 가장 충성스러운 번국(藩國)이었다. 그런데 청이 조선마저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96) 처참한 나날들  [서울신문] 2008.11.05 (수) 인조가 항복의 예를 마치고 환궁함으로써 공식적으로 전쟁은 끝났다. 하지만 그것은 끝이 아니었다. 청군은 아직 철수하지 않았고, 그들은 조선 조정에 이런 저런 요구들을 쏟아냈다. 용골대와 마부대는 말을 탄 채 대궐을 무시로 들락거렸다. 그들은 홍타이지를 전송하는 데 예를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95) 三學士의 최후  [서울신문] 2008.10.29 (수) 인조의 삼배구고두(三拜九叩頭)로 상징되는 치욕적인 항복과 함께 전쟁은 끝났다. 하지만 귀천을 막론하고 조선 사람들의 참혹한 고통은 이제 막 시작되고 있었다. 인조를 대신해 볼모로 끌려가는 소현세자와 봉림대군, 화친을 방해하여 전쟁을 불러왔다는 ‘죄목’으로 연행되는 삼학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94) 해가 빛이 없다  [서울신문] 2008.10.22 (수) 1637년(인조 15) 음력 1월30일, 인조는 남한산성에서 나가 청 태종 홍타이지에게 항복했다. 일찍부터 여진족을 ‘오랑캐’이자 ‘발가락 사이의 무좀(疥癬)’ 정도로 멸시해 왔던 조선 지식인들에게 그것은 ‘차라리 꿈이었으면 좋았을’ 기막힌 장면이었다. 인조와 신료들은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읽기] (93) 파국의 전야  [서울신문] 2008.10.15 (수) 강화도가 함락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뒤 인조는 남한산성에서 나가기로 결정했다. 마지막 보루가 무너지고, 왕실과 대신의 가족들이 모두 포로가 되어버린 상황은 ‘절망’ 그 자체였다. 하지만 출성(出城)을 받아들인다고 해서 문제가 끝난 것은 아니었다. 최악의 경우, 홍타이지가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92) 조선,항복하기로 결정하다  [서울신문] 2008.10.08 (수) 1637년 1월22일 강화도가 함락되었지만, 남한산성의 조정은 그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조정은 이 때 청군이 또 다른 조건으로 제시한 척화신(斥和臣)을 잡아 보내는 문제를 놓고 논란을 벌이고 있었다. 적진에 당도하면 죽음을 당할 것이 불 보듯 뻔한데 어떤 기준으로 누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91) 강화도의 비극  [서울신문] 2008.10.01 (수) 강화도가 함락될 때 김경징, 이민구, 장신 등 조선군의 최고위 지도부는 바다로 도주하여 목숨을 부지했다. 강화도 방어를 책임진 그들은 멀쩡했지만, 그들의 무책임한 행동은 연쇄적인 비극을 불렀다. 그들의 가족을 포함하여 강화성에 있던 피란민들은 모두 ‘도마 위의 고기’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90) 강화도가 함락되다 (Ⅱ)  [서울신문] 2008.09.24 (수) 청군은 강화도 공격을 처음부터 치밀하게 준비했다. 도르곤(多爾袞)은 심양에서 데려오거나 한강 일대에서 사로잡은 조선인 선장(船匠)들을 활용하여 다량의 병선을 만들었다. 크기는 작지만 매우 빠른 배들이었다. 청군은 그 배들을 갑곶(甲串)까지 육로로 운반하여 조선군의 허를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89) 강화도가 함락되다(Ⅰ)  [서울신문] 2008.09.17 (수) 인조가 남한산성에서 나가는 문제를 놓고 마지막 줄다리기가 벌어지고 있던 1637년 1월22일, 강화도가 함락되었다. 왕실 가족들과 조정 신료들의 처자들, 그리고 역대 선왕들의 신주(神主)가 피란해 있던 곳이 강화도였다. 인조와 조정 신료들이 외롭고 추운 산성에서 그나마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88) 인조의 절박함과 홍타이지의 절박함  [서울신문] 2008.09.10 (수) 항복을 하더라도 산성에서 나가는 것만큼은 끝까지 피하고자 했던 인조의 소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1월20일 조선은 홍타이지에게 보낸 국서에서 처음으로 칭신(稱臣)했다. 찢고 다시 쓰는 우여곡절 끝에 작성한 국서였다. 하지만 홍타이지는 조선의 칭신에 만족하지 않았다. 그는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87) 최명길 국서를 쓰고, 김상헌 그것을 찢다  [서울신문] 2008.09.03 (수) 시간이 흐르면서 청과의 교섭은 조선의 ‘항복 조건’을 논의하는 과정으로 변해갔다.1627년 정묘호란 당시 맺은 ‘형제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이제 불가능해졌다. 홍타이지는 사실상 ‘항복’이나 마찬가지인 신속(臣屬)을 요구했다.‘오랑캐’를 황제로 섬겨야 하는 ‘현실’을 코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86) 힘겨운 화친 시도  [서울신문] 2008.08.27 (수) 조선이 상황에 떠밀려 화친을 다시 추진하기로 했지만 그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유리한 조건에서 화친이 이루어지려면 어느 정도는 군사력의 뒷받침이 있어야 하는데, 당시 조선은 청을 위협할 만한 ‘군사적 카드’가 없었다. 근왕병이 오리라는 실낱 같은 희망을 갖고 있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85) 남한산성의 나날들(Ⅳ)  [서울신문] 2008.08.20 (수) 조선이 청군 진영에 보낸 국서에서 처음으로 ‘관온인성황제(寬溫仁聖皇帝)’라는 호칭을 쓰고, 과거의 ‘잘못’을 사과했지만 청군 진영에서는 회답이 없었다. 조선 조정은 초조해졌다.‘황제’로 인정하고 ‘잘못’을 사과하면 화친이 쉬이 이루어질 것으로 알았던 예상이 빗나갔기 때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84) 다시 화친을 시도하다(Ⅱ)  [서울신문] 2008.08.13 (수) 1637년 1월3일, 도성으로부터 가슴 아픈 소식이 전해졌다.12월 그믐과 정월 초하루, 몽골병들이 도성으로 몰려들어 사람들을 붙잡아가고 약탈을 자행했다는 내용이었다. 병자호란을 일으키기 전, 홍타이지는 휘하 장졸들에게 군기를 확립하고 함부로 약탈을 자행하지 말라고 지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83) 다시 화친을 시도하다(Ⅰ)  [서울신문] 2008.08.06 (수) 남한산성에서 고단한 나날을 보낸 것이 어느덧 17일, 병자년(丙子年)이 저물고 정축년(丁丑年)이 밝아 왔다. 하지만 달라진 것은 없었다. 상황은 오히려 더 악화되었다. 청 태종 홍타이지는 탄천(炭川)에 진을 쳤다. 청군 병력이 30만이나 된다는 소문이 돌았다. 산성에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82) 남한산성의 스산한 연말  [서울신문] 2008.07.30 (수) 포위된 이후 남한산성 사람들은 바깥 소식 하나하나에 일희일비했다. 근왕병이 근처까지 와서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다거나 패하여 물러갔다는 소식이 잇따라 들려오면서 산성의 분위기는 침울해졌다. 날로 어려워지는 산성의 사정을 바깥에 정확히 알리고 싶었지만 여의치 않았다. 청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81) 근왕병이 패하다 Ⅱ  [서울신문] 2008.07.23 (수) 당시 근왕병들이 처해 있던 열악한 상황을 고려하면, 청군의 포위망을 뚫고 남한산성을 구원하는 것은 애초부터 여의치 않은 일이었다. 우선 지방의 감사나 지휘관들이 병력을 모으고 행군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소집에 너무 많은 시간을 소모했고, 날씨가 추워 행군하는 것도 쉽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79) 남한산성의 나날들 Ⅲ  [서울신문] 2008.07.09 (수) 왕세자를 보내지 않으면 화친은 꿈도 꾸지 말라는 청군 지휘부의 요구가 있은 직후 성안의 분위기는 복잡했다. 여전히 화친을 시도해야 한다는 부류와 화친은 이미 물 건너갔으니 최후의 결전을 벌여야 한다는 부류로 나뉘었다. 결단은 쉽지 않았다.1636년 12월17일 청군이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78) 남한산성의 나날들 Ⅱ  [서울신문] 2008.07.02 (수) 남한산성을 공략하려는 청군 지휘부의 계책은 치밀했다. 그들은 성 주변에 참호를 파고 목책을 설치했다. 이미 1631년 홍타이지가 명의 대릉하성(大凌河城)을 공략할 때 사용했던 전술이었다. 성을 외부로부터 완전히 격리시켜 그야말로 고사(枯死)시키려는 작전이었다. 그러면서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77) 남한산성의 나날들 Ⅰ  [서울신문] 2008.06.25 (수) 인조는 결국 강화도로 가는 것을 포기했다. 건강이 여의치 않은데다 주요 길목을 청군이 모두 봉쇄했기 때문이다. 무리하게 강화도 행을 시도하다가 청군에게 해를 입을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또 강화도 행을 계속 고집할 경우, 산성을 지키는 장졸들의 사기가 떨어질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76) 남한산성과 강화도  [서울신문] 2008.06.18 (수) 남한산성은 천험(天險)의 요새였다. 성곽의 가장 높은 누대에서는 도성과 살곶이(箭串場)가 한눈에 들어왔다. 더욱이 인조가 들어갔던 무렵은 눈보라가 몰아치고 기온이 몹시 떨어져 성으로 오르는 길이 온통 얼어 붙었다. 청군의 선봉이 제 아무리 ‘강철 같은 기마대(鐵騎)’였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그림이 있는 조선풍속사] (24) 담배 가게와 담배 피우기  [서울신문] 2008.06.16 (월) 김홍도의 ‘담배 써는 가게’다. 이 그림에는 남자 넷이 등장하는데, 각각 하는 일이 다르다. 먼저 아래쪽을 보자. 아래의 오른쪽에 있는 남자는 넓은 잎사귀를 펼쳐서 다루고 있다. 그 아래에 차곡차곡 쌓인 것은 담뱃잎이다. 필자는 담배농사를 지어본 적이 없어 구체적인 것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75) 병자호란이 일어나다 Ⅱ  [서울신문] 2008.06.11 (수) 1636년 12월10일 압록강을 건넜다. 이렇다 할 저항이 없었다. 그들은 곽산(郭山)과 정주(定州)에 사실상 무혈 입성했다. 홍타이지는 투항해 온 곽산과 정주의 군민들을 해치지 말라고 유시하는 한편, 그들의 머리를 깎아 치발(髮)할 것을 지시했다. 또한 버일러 두도(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74) 병자호란이 시작되다(Ⅰ)  [서울신문] 2008.06.04 (수) 전쟁이 일어나기 바로 직전까지 조정에서는 청과의 관계를 복원할지, 그것과 관련하여 사신을 보낼지를 놓고 격심한 논란이 빚어졌다. 척화파는 명분과 의리를 지키기 위해 절교가 불가피하다고 했고, 주화파는 이렇다 할 준비 없이 전쟁을 벌이는 것의 위험성을 들어 끝까지 청을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73)최후의 주화-척화 논쟁  [서울신문] 2008.05.28 (수) 최명길의 주장은, 척화(斥和)하여 청과 싸우겠다는 결심을 굳혔으면 ‘공세적’으로 하자는 내용이었다. 말로만 ‘척화’를 외치며 미적거릴 경우, 청군의 철기(鐵騎)를 조선 영토 깊숙이 불러들이게 되어 엄청난 피해를 보게 될 것을 우려한 계책이었다. 압록강 변에 방어선을 구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72) 절체절명의 시간들  [서울신문] 2008.05.21 (수) 병자호란이 일어나기 직전, 인조는 나름대로 분발하는 모습을 보였다. 스스로 자책하는 내용을 담은 교서를 반포하여 실책을 사과하고, 내외 신료들에게 구국의 방책 마련을 위해 협조를 당부했다. 신료들도 인조의 호소에 답하여 이런저런 개혁안과 방책들을 내놓았다. 그 가운데는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71) 높아지는 명분론,어정쩡한 방어대책  [서울신문] 2008.05.14 (수) 몽골 버일러들을 이끌고 왔던 용골대 일행이 도주하고, 청과 관계를 끊겠다는 인조의 유시문마저 용골대 일행에게 빼앗긴 뒤 조선의 분위기는 뒤숭숭했다. 나덕헌과 이확이 홍타이지에게 배례(拜禮)를 거부하여 청을 자극했다는 소식까지 날아들면서 전쟁에 대한 공포심은 더욱 커졌다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70) 홍타이지,황제가 되다  [서울신문] 2008.05.07 (수) 평소 여진족을 오랑캐라고 멸시했던 조선이 홍타이지를 황제로 추대하는 데 동참하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그런데 후금의 힘이 이미 명마저 넘어선 상황에서 조선의 선택은 국가의 존망까지 걸어야 하는 모험일 수밖에 없었다. 당연히 신중하고 주도면밀한 대응이 필요했다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69) 후금 관계 파탄의 시초(Ⅱ)  [서울신문] 2008.04.30 (수) 용골대와 마부대 일행은 다목적 사절이었다. 새해가 밝았음을 축하하는 사절이자, 인열왕후의 죽음에 문상하기 위한 조문사이기도 했다. 하지만 그들이 조선에 온 가장 큰 목적은 홍타이지를 황제로 추대하려 한다는 사실을 알리고, 조선의 동참을 촉구하려는 것이었다. 그들은 홍타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68) 후금관계 파탄의 시초(Ⅰ)  [서울신문] 2008.04.23 (수) ‘야나가와 이켄’에서 비롯된 일본과의 긴장도 대충 해소되고 있던 1635년 12월, 인열왕후(仁烈王后 1594∼1635) 한씨가 세상을 떠났다. 출산으로 말미암은 후유증 때문이었다.12월4일에 태어난 대군은 곧 사망했고, 한씨 또한 닷새 뒤에 숨을 거두었다.42세, 아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67) 유화적인 대일정책Ⅱ  [서울신문] 2008.04.16 (수) ‘야나가와 이켄(柳川一件)’에 대한 최종 판결은 1635년(인조 13) 3월15일에 내려졌다. 도쿠가와 쇼군은 소오 요시나리(宗義成)의 손을 들어 주었다. 하지만 요시나리에게 그것은 ‘찜찜한 승리’였다. 주군인 자신을 배신하고 사지(死地)로 몰아 넣으려 했던 야나가와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66) 유화적인 대일정책Ⅰ  [서울신문] 2008.04.09 (수) 병자호란이 일어나기 직전인 1635년 후반 무렵, 조선은 또 다른 난제를 안고 있었다. 다름 아닌 ‘일본 문제’였다. 조선은 갈수록 높아지는 후금의 군사적 위협과 명의 요구를 감당하기에도 버거운 처지였다. 당연히 일본과의 관계 안정이 절실했다. 그런데 당시 일본의 바쿠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65) 전란의 전조  [서울신문] 2008.04.02 (수) 1634년 말부터 이듬해 봄까지 조정은 강학년(姜鶴年) 발언의 파장 때문에 뒤숭숭했다.‘포악함으로써 포악함을 제거했다.’며 인조반정의 정당성 자체를 부정했던 강학년의 직격탄은 인조와 조정 신료들을 충격에 빠뜨렸다. 인조와 반정공신들의 실정(失政)을 문제 삼았던 신료들조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64) 외환(外患) 속의 내우(內憂)  [서울신문] 2008.03.26 (수) 재원 문제 때문에 청북(淸北) 지역의 성곽 수리와 군량 공급마저 여의치 않았던 상황에서 노유녕에게 십만 냥 가까운 은화를 뜯겼던 것은 너무나 큰 손실이었다. 하지만 인조는 노유녕이 다녀간 뒤 상당히 고무되었다. 명 조정이 왕세자를 책봉해 주었으니 이제 자신의 생부 정원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63) 엎친 데 덮치다  [서울신문] 2008.03.19 (수) 공유덕과 경중명 일당의 후금 귀순은 조선에 치명적이었다. 조선은 명의 강요 때문에 ‘공경 사건’을 놓고 벌어진 명과 후금의 싸움에 말려들었다. 하지만 공경을 저지하는 데 실패했고, 결국 후금으로부터 원망만 사고 말았다. 후금은, 공경의 귀순을 저지하는 과정에서 조선이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62) 반란자와 귀순자들 Ⅲ  [서울신문] 2008.03.12 (수) 조명연합군의 필사적인 저지 작전에도 불구하고 공유덕과 경중명은 후금으로 귀순하는 데 성공했다. 비록 중간에 다소의 손실이 있었지만 공경(孔耿)이 끌고 갔던 전함과 수군의 대부분은 후금군으로 넘어갔다. 후금의 홍타이지는 공경이 가져온 전함을 ‘하늘이 내린 선물’이라며 환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61) 반란자와 귀순자들 Ⅱ  [서울신문] 2008.03.05 (수) 공유덕과 경중명이 이끄는 반란군이 후금으로 도주하려 하자 명에는 비상이 걸렸다. 명 조정은 주문욱(周文郁)에게 수군을 이끌고 공경(孔耿) 일당을 저지하도록 지시했다. 주문욱은 나름대로 분투했지만 반란군의 도주를 차단하지 못했다. 급기야 공유덕 일당이 계속 달아나 압록강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60) 반란자와 귀순자들Ⅰ  [서울신문] 2008.02.27 (수) 후금이 명을 압박하면서 조선과 후금의 관계 또한 살얼음판을 걷고 있던 1633년 무렵, 세 나라의 관계를 뿌리째 흔드는 사건이 일어났다. 반란을 일으켜 등주(登州) 지역을 장악하고 있던 명나라 장수 공유덕(孔有德)과 경중명(耿仲明) 등이 후금으로 귀순해 버린 것이다.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곤혹스러운 상태가 지속되다  [서울신문] 2008.02.20 (수) 조선이 후금과의 관계를 안정시키려면 그들의 요구를 들어주어야 했다.1630년 무렵부터 병자호란이 일어날 때까지 후금이 요구했던 핵심은 크게 두 가지였다. 하나는 자신들과의 교역에 성의를 보이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가도( 島)의 한인들을 받아들이지 말고 그들에게 물자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58) 전운 그림자에 불안, 막막한 현실  [서울신문] 2008.02.13 (수) 후금이 대릉하 원정에 앞서 평안도 일원에 병력을 보내 위협하자 조선의 위기의식은 바짝 높아졌다. 인조는 강화도 정비에 몰두하는 한편, 후금의 침략에 대비한 군사적 방책 마련에도 신경을 썼다.1631년 8월, 인조는 서쪽 교외로 나아가 무사들의 훈련을 참관하는 열무(閱武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57) 대릉하성의 비극 (2)  [서울신문] 2008.02.06 (수) 명이 조대수를 시켜 대릉하성을 쌓은 목적은 명확했다. 산해관의 방어를 확고히 하면서, 후금에 빼앗긴 요서(遼西)와 요동을 수복하기 위한 전진기지로 삼으려 했다. 하지만 후금군은 성의 방어 시설이 채 완공되기도 전에 들이닥쳤다. 조대수는 분투했지만 성은 결국 함락되었다.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56) 대릉하성의 비극 (1)  [서울신문] 2008.01.30 (수) 1631년(인조 9) 8월5일 밤, 후금군은 대릉하성을 포위했다. 당시 성안에는 사령관 조대수(祖大壽)를 비롯하여 1만 5000명 남짓한 명군이 있었다. 성의 치첩(雉堞) 공사가 끝나지 않은 상태라 미처 돌아가지 못한 인부가 3000명, 상인이 2000명 정도 있었다.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55) 후금,조선을 떠보다  [서울신문] 2008.01.23 (수) 후금군이 침략해 오고, 사신을 보내 배를 빌려달라고 요구하자 조선의 위기 의식은 높아졌다. 조정은 김시양(金時讓)을 도원수로, 이완(李浣)을 평안병사로 임명하여 서북으로 내려보내고 전국에 징병령을 내렸다. 하지만 후금과 맞설 수 없는 처지에서 계속 강경책을 쓸 수는 없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54) 후금,조선에 배(船)를 요구하다  [서울신문] 2008.01.16 (수) 정묘호란이 끝난 뒤부터 병자호란이 일어날 때까지 조선과 후금의 관계는 아슬아슬했다. 조선은 후금과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했지만 여의치 않았다. 바로 명과 가도라는 바깥 변수 때문이었다. 유흥치가 피살된 뒤, 가도를 탈출하여 후금으로 귀순한 자들 가운데는 홍타이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53) 끝없는 가도의 風雲  [서울신문] 2008.01.09 (수) 인조가 원종 추숭을 위해 골몰하고 있을 때 가도의 상황은 심상치 않게 돌아갔다. 반란을 일으켜 조선의 정벌 대상이 되었던 유흥치(劉興治)는 조선에 대한 물자 징색(徵色)을 멈추지 않았다. 유흥치를 토벌하려 했던 ‘원죄’ 때문에 조선은 그의 보복을 받지나 않을까 전전긍긍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52) 인조의 생부 정원군 추승 논란  [서울신문] 2008.01.02 (수) 명 조정이 후금의 반간계에 넘어가 원숭환을 처형하는 등 자멸의 길로 들어서고 있던 무렵, 조선에서는 인조의 생부(生父) 정원군(定遠君)을 국왕으로 추숭(追崇:돌아가신 분의 지위를 뒤 시기에 올려 주는 것)하는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뜨거웠다. 반정이라는 비정상적인 방식으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51) 원숭환의 죽음과 그 영향  [서울신문] 2007.12.26 (수) 홍타이지의 반간계에 휘둘리고, 엄당의 참소가 곁들여져 원숭환에 대한 반감과 증오가 높아 가던 분위기 속에서 엄당 계열의 온체인(溫體仁)은 다섯 차례나 상소를 통해 원숭환을 죽이라고 촉구했다. 반면 동림당 계열의 신료들은 ‘적이 성 아래까지 와 있는 상황에서 스스로 장성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50)자멸의 길로 들어서다  [서울신문] 2007.12.19 (수) 우여곡절 속에 조선이 후금과의 관계를 힘겹게 이어가고 있을 무렵 명의 정세는 어떠했는가? 후금의 위협이라는 커다란 외환(外患)을 앞에 두고 명은 이런저런 내우(內憂)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었다. 극복은커녕 망하는 길로 확실히 접어들고 있었다.1630년 9월, 원숭환(袁崇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49)우여곡절 속 후금과의 관계  [서울신문] 2007.12.12 (수) 정묘호란 직후 조선은 후금에 유연한 태도를 취했다. 모문룡을 비롯한 한인(漢人)들의 비방과 방해에도 불구하고 후금 사자에 대한 접대나 그들과의 무역에 성의를 보였다. 하지만 조선의 입장에서 후금과의 우호 관계는 그다지 내키지 않는 것이었다. 조선이 후금을 ‘오랑캐’로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48)가도 정벌이 유야무야되다  [서울신문] 2007.12.05 (수) 가도 정벌 방침이 전격적으로 결정되자 신료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았다. 먼저 병조판서 이귀가 나섰다. 그는 ‘주장(主將) 진계성을 함부로 살해한 유흥치를 토벌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바다 건너 정벌하는 데 한 달 이상 걸리고, 중국 조정과 상의하지 않을 경우 의심을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47) 親明意識(친명의식)의 고양과 가도 정벌  [서울신문] 2007.11.28 (수) 모문룡을 제거한 이후 원숭환은 가도( 島)에 대한 정비 작업에 나섰다. 부총병 진계성(陳繼盛)에게 임시로 가도의 군병들을 지휘토록 하는 한편, 유해(劉海)를 시켜 진계성을 보좌하도록 했다. 그리고 자신의 휘하인 부총병 서부주(徐敷奏)를 가도로 보내 주민들을 위무(慰撫)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46) 自强論의 이상과 현실  [서울신문] 2007.11.21 (수) 우여곡절 끝에 후금과 화친함으로써 정묘호란은 끝났다. 인조 정권은 어렵사리 종사(宗社)를 보전할 수 있었지만 남겨진 과제는 참으로 버거웠다. 먼저 후금군과 이렇다할 전투 한 번 변변히 치러보지 못하고 강화도로 피란했던 현실을 돌아보아야 한다는 반성론이 제기되었다. 병력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45)모문룡의 죽음과 파장 Ⅱ  [서울신문] 2007.11.14 (수) 모문룡은 쌍도로 향하면서 엄청난 수의 병력을 대동했다. 수백 척의 선박에 2만 8000명의 병력을 싣고 갔다고 한다. 말하자면 3만명 가까운 경호원을 대동한 셈이다. 원숭환으로부터 소환 통보를 받았을 때 무엇인가 불길한 예감이 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북경 조정과 조선,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44) 모문룡의 죽음과 파장 1  [서울신문] 2007.11.07 (수) 앞에서 언급했듯이 정묘호란이 벌어지는 동안 모문룡은 조선에 아무런 보탬이 되지 못했다. 보탬은커녕 그의 부하들이 끼친 작폐 때문에 청북 백성들의 고통은 극에 달했다. 그럼에도 모문룡은 명 조정에 보낸 보고서에서 ‘자신의 활약 덕분에 후금군을 물리치고 조선이 위기에서 벗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43) 일본의 氣 가 살아나다 Ⅱ  [서울신문] 2007.10.31 (수) 1629년 겐포(玄方) 일행은 상경을 허용하라고 요구하면서 자신들이 도쿠가와 막부 장군의 명령을 받아 온 사자(國王使)라고 강변했다. 조선 조정은 그들이 진짜 국왕사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정홍명(鄭弘溟)을 선위사(宣慰使)로 왜관에 보냈다. 하지만 겐포 일행은 국왕사가 마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42) 일본의 氣가 살아나다 Ⅰ  [서울신문] 2007.10.24 (수) 정묘호란의 발생은 조선과 일본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쓰시마(對馬島)와 도쿠가와(德川) 바쿠후(幕府)는 동원할 수 있는 채널을 모두 가동하여 전쟁의 추이와 승패를 파악하려 했다. 그들은 조선과 후금의 동향을 주시하면서 전쟁이 자신들에게 미칠 파장을 따져보았다. 그런데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41) 정묘호란의 후유증  [서울신문] 2007.10.17 (수) 인조는 1627년 4월12일, 서울로 돌아와 경덕궁(慶德宮)으로 들어갔다.1624년 이괄의 난을 맞아 서울을 버렸다가 되찾았던 경험을 3년 만에 되풀이했던 것이다. 이번에도 어렵사리 정권은 지킬 수 있었지만 그 후유증은 컸다. 청북에서는 의병들이 계속 저항하는 와중에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40) 정묘호란과 모문룡  [서울신문] 2007.10.10 (수) 1627년 4월21일, 용골산성의 영웅 정봉수로부터 긴급 보고가 올라왔다.‘평안도 구성부터 곽산까지 후금 군사들이 가득 차 있고 용골산성은 고립되어 있다. 성안에는 7000명 가까운 군사가 있지만 양식이 다 떨어져 굶어 죽은 자가 이미 30명이 넘었다. 후금군에 포로로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39) 정묘호란 이모저모  [서울신문] 2007.10.03 (수) ‘인조실록’과 장유(張維)의 ‘계곡만필(谿谷漫筆)’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정묘호란 당시 강화도의 분위기는 흉흉했다. 불과 100리 밖까지 적의 대병이 압박해 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정 신료들은 대개 화의가 이루어지기를 바랐다. 척화(斥和)파들도 큰소리를 쳤지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38)정묘호란 일어나다 Ⅲ  [서울신문] 2007.09.22 (토) 조선 사신이 ‘재조지은을 배신할 수 없다.’며 침략을 힐문했을 때 아민은 즉각 반박했다. 반박의 핵심은 ‘조선이 명의 은혜만 기억할 뿐 자신들이 베푼 은혜에는 눈을 감고 있다.’는 것이었다. 아민은 과거 울라(烏拉)의 부잔타이(布占泰)가 조선을 침략했을 때 자신들이 부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37)정묘호란 일어나다Ⅱ  [서울신문] 2007.09.19 (수) 1627년 후금이 갑자기 정묘호란을 도발했던 배경은 무엇일까? 그것은 복합적이었다. 조선과 후금, 명과 후금, 그리고 조선과 명(-모문룡 문제를 포함) 사이의 문제점들이 서로 얽혀 있었다. 특히 누르하치가 죽은 뒤 추대 형식으로 즉위했지만 한(汗)의 위치에 걸맞은 권력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36) 정묘호란 일어나다Ⅰ  [서울신문] 2007.09.12 (수) 홍타이지는 1627년 1월8일 대패륵(大貝勒) 아민(阿敏)에게 조선을 정벌하라고 명령했다. 홍타이지는 “조선이 오랫동안 후금에 죄를 지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설명한 뒤 모문룡도 제압하라고 지시했다. 모문룡이 조선의 비호 속에 가도에 머물면서 후금을 탈출하는 반민(叛民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35) 명과 후금의 정세 Ⅲ  [서울신문] 2007.09.05 (수) 1626년(인조4, 천계6) 1월23일 누르하치는 영원성으로 들이닥쳤다. 그가 이끄는 병력은 20만이라는 설도 있고,13만이라는 설도 있다. 어쨌든 누르하치의 대병력이 나타나자 영원성의 전면에 머물던 명의 관민(官民)들은 경악했다. 대릉하(大凌河), 소릉하(小凌河),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34) 명과 후금의 정세 Ⅱ  [서울신문] 2007.08.29 (수) 천계 연간 격렬한 당쟁이 빚어지고 결국 위충현을 비롯한 엄당이 국정을 장악하게 되자 그 불똥은 곧바로 산해관 바깥으로 튀었다. 요동, 요서(遼西)의 방어를 책임진 최고위 지휘관들 또한 당쟁의 여파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어느 당파에 속하느냐가 경략(經略), 순무(巡撫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33) 명과 후금의 정세 Ⅰ  [서울신문] 2007.08.22 (수) 조선이 모문룡의 작폐에 시달리고 있던 정묘호란 무렵 대륙의 정세는 어떠했는가? 1621년 누르하치의 후금군은 요동 전체를 장악했다. 후금은 요동 벌의 중심인 심양(瀋陽)으로 천도하여 산해관까지 넘볼 기세였다. 명은 분명 위기를 맞았다. 하지만 명의 내정은 불안하기 그지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32) 모문룡의 작폐 Ⅱ  [서울신문] 2007.08.15 (수) 인조반정 이후 조선 조정이 모문룡을 ‘은인’으로 여겨 송덕비까지 세우게 되자 모문룡은 기고만장했다. 그는 조선에 군량을 비롯하여 전마(戰馬), 조총, 병선 등을 내놓으라고 요구했다. 더 큰 문제는 그 휘하의 장졸(모병:毛兵)과 요민들이 끼치는 민폐였다. 모병과 요민들은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31) 모문룡의 작폐Ⅰ  [서울신문] 2007.08.08 (수) 인조반정 성공 이후 조선이 표방했던 대외정책의 성격은 ‘친명배금(親明排金)’이었다. 그런데 ‘친명’은 분명 실천했지만 ‘배금’은 쉽사리 실천할 수 없었다.‘배금’을 실천하려 할 경우 필연적으로 후금과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고, 조선의 존망까지 걸어야 했기 때문이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30) 이괄(李适)의 난(亂)이 끼친 영향 Ⅳ  [서울신문] 2007.08.01 (수) 이괄의 난을 계기로 인조정권의 취약점과 한계는 여지없이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인조정권이 구상하고 있던 계획들을 흐트러뜨렸다. 인조반정 성공 직후 ‘후금을 정벌하여 명의 은혜에 보답하겠다.’고 호기롭게 내세웠던 표방은 물거품이 되었다. 흔들리고 있는 내정을 추스르기에도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29)이괄(李适)의 난(亂)이 일어나다Ⅲ  [서울신문] 2007.07.25 (수) 1624년 2월10일 이괄이 서울로 입성한 직후, 도원수 장만은 관군을 이끌고 서울을 향해 달렸다. 장만은 초조했다. 반란군에게 도성을 내주고 국왕으로 하여금 파천 길에 오르게 만든 일차적 책임이 자신에게 있었기 때문이다. 장만은 파주 혜음령(惠陰嶺)에 이르러 부원수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28) 이괄(李适)의 난(亂)이 일어나다 Ⅱ  [서울신문] 2007.07.18 (수) 인조반정을 일으키던 당일, 대장 김류는 미적거렸다. 성공 여부를 확신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2경에 모이기로 했던 약속을 어겼고, 그가 나타나지 않자 반정군 진영은 동요했다. 바로 그 때 군사들을 다잡아 대오를 안정시킨 사람이 이괄이었다. 반정 성공 직후 ‘이괄이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27) 이괄의 난이 일어나다Ⅰ  [서울신문] 2007.07.11 (수) 반정 직후 인조정권이 명에 대해 충성을 다짐했던 것과 맞물려 후금에 대한 적개심도 높아져 갔다. 인조와 신료들은 후금과 전쟁이 일어나는 상황을 가상하고 작전과 승패 향방을 자주 논의하곤 했다. 하지만 후금과의 군사적 대결을 구체적으로 준비하는 것은 여의치 않았다. 우선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26) 인조반정의 외교적 파장 Ⅲ  [서울신문] 2007.07.04 (수) 명 조정이 인조반정을 ‘찬탈’이라고 비판하면서도 조선의 새 정권을 승인하기로 결정한 것은 분명 자신들이 처한 수세(守勢)를 염두에 둔 결단이었다. 명 조정은 마치 ‘모문룡의 은혜’ 때문에 인조를 책봉하는 것처럼 포장했다.‘자격이 되지 않는 인조를 승인하는 과정에서 모문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25) 인조반정의 외교적 파장Ⅱ  [서울신문] 2007.06.27 (수) 인조반정을 ‘찬탈’이라고 비판하면서도 조선을 후금과의 대결 속으로 끌어들이는 것이 절실했던 명은 고민을 거듭했다.‘찬탈’을 자행한 난신적자(亂臣賊子)들을 응징하여 상국으로서 명분을 살릴 것인가? 아니면 이미 바뀌어버린 조선의 현실을 수용하여 실리를 택할 것인가? 인조와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24) 인조반정의 외교적 파장 Ⅰ  [서울신문] 2007.06.20 (수) 인조반정의 발생과 성공은 대외적으로도 커다란 파장을 몰고 왔다. 조선에서 정변이 일어나 광해군이 폐위되고 새로운 정권이 들어섰다는 소식에 명은 민감하게 반응했다. 당시 후금의 군사적 압박에 밀려 수세에 처해 있던 명에 조선은 가장 중요한 번방(藩邦)이었기 때문이다. 명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23) 심하전역과 인조반정 Ⅴ  [서울신문] 2007.06.13 (수) 1623년(광해군 15) 3월13일 새벽, 광해군은 다급하게 창덕궁의 담을 넘었다. 내시의 등에 업힌 채 궁인 한 사람만을 대동한 초라한 몰골이었다. 자신을 찾기 위해 혈안이 된 반정군(反正軍)의 함성 소리를 뒤로하고 그는 안국방(安國坊)의 여염으로 숨어들었다. 궁궐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22)심하전역과 인조반정 Ⅳ  [서울신문] 2007.06.06 (수) 강홍립이 이끄는 원군이 심하전역(深河戰役)에서 패하여 누르하치에게 항복했다는 소식은 조선 조야(朝野)에 엄청난 파장을 몰고 왔다. 한편에서는 강홍립의 가족을 잡아들여 가두라는 아우성이, 다른 한편에서는 그의 항복 때문에 조선도 오랑캐가 되고 말았다는 비난이 터져나왔다.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21) 심하전역과 인조반정 Ⅲ  [서울신문] 2007.05.30 (수) 광해군이 명의 파병 요구를 거부하려 했던 것은, 폐모논의와 궁궐 건설 문제 등 내정(內政)의 현안들을 해결하는 것도 벅찼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그는 명의 압력과 내부의 채근에 밀려 군대를 보낼 수밖에 없었다.1619년(광해군 11) 2월, 조선군은 압록강을 건너 만주로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20) 심하전역과 인조반정 Ⅱ  [서울신문] 2007.05.23 (수) 후금을 치는데 동참하라는 명의 요구가 날아들었을 무렵, 광해군은 정치적으로 고비를 맞고 있었다. 외교적 감각이 탁월했던 광해군이지만, 내정(內政)에서는 적지 않은 난맥상을 드러냈다.‘어머니를 폐하고 동생을 죽인(廢母殺弟) 패륜아’라는 오명을 뒤집어쓴 것이 대표적이다.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19) 심하전역과 인조반정 Ⅰ  [서울신문] 2007.05.16 (수) 광해군은 노회한 명과 사나운 후금 사이의 대결 속으로 말려들지 않기 위해 노심초사했다. 그가 정보를 수집하고, 기미책을 강구하며, 자강 능력을 배양하려 애썼던 것은 그 때문이었다. 하지만 당시의 정세는 결코 간단하지 않았다. 비록 외교적 노력을 통해 누르하치와의 관계를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18) 광해군과 누르하치, 그리고 명나라 Ⅴ  [서울신문] 2007.05.09 (수) 이성량(李成梁)이 병탄을 시도하고, 광해군과 왕세자를 책봉하러 왔던 명사(明使)들의 은(銀) 징색이 이어졌던 것은 광해군 시절 명나라와의 관계가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광해군대 누르하치의 건주(建州)와의 관계는 어떠했는가? 광해군과 누르하치의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17) 광해군과 누르하치, 그리고 명나라 Ⅳ  [서울신문] 2007.05.02 (수) 우여곡절 끝에 즉위했지만 국왕 광해군의 앞길은 순탄치 않았다. 당장 그의 친형 임해군을 처리하는 문제가 만만치 않았다. 사관(査官) 엄일괴 등을 은으로 구워삶아 위기를 넘겼지만, 그것으로 끝이 아니었다. 그들이 돌아간 뒤부터 신료들은 ‘역적’ 임해군을 처단하라고 외쳤다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16) 광해군과 누르하치,그리고 명나라 Ⅲ  [서울신문] 2007.04.25 (수) 명 조정이 왕세자로 승인하는 것을 거부하면서부터 광해군은 안팎으로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1604년, 명나라 제독주사(提督主事) 섭운한(雲翰)은 광해군을 왕세자로 책봉해 달라고 온 조선 사신들에게 극언을 퍼부었다.‘임해군이 일본군에 포로가 된 것은 너희 국왕의 책임’이며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15) 광해군과 누르하치,그리고 명나라Ⅱ  [서울신문] 2007.04.18 (수) 광해군은 성공적인 분조 활동을 통해 정치적 위상이 높아졌지만, 동시에 위기를 맞았다. 부왕 선조의 견제 때문이었다. 왜란 초반, 이렇다 할 대책 없이 의주까지 파천하기에 급급했던 선조는 지존(至尊)으로서의 위신이 크게 떨어졌다. 더욱이 강화협상을 통해 전쟁을 매듭지으려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14) 광해군과 누르하치,그리고 명나라Ⅰ  [서울신문] 2007.04.11 (수) 누르하치를 치는 데 동참하라는 격문을 받았을 때 광해군(光海君)이 보인 반응은 신중했다. 아니 냉정했다. 그는 누르하치가 ‘천하의 강적’이기 때문에 미약한 조선군의 힘으로는 당해낼 수 없다고 했다. 그럼에도 왕가수가 격문을 보낸 것은 조선 사정을 잘 모르기 때문이라고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13)누르하치, 명(明)에 도전하다Ⅴ  [서울신문] 2007.04.04 (수) 누르하치의 푸순 점령 직후, 명 조정의 신료들은 당장 병력을 동원하여 이 ‘괘씸한 오랑캐’를 공격하자고 했다. 하지만 명의 내부사정은 간단치 않았다. 만력제의 태정(怠政)과 황음(荒淫)에서 비롯된 난맥상은 명의 발목을 잡았다. 환관(宦官)들의 발호가 심각했고, 당쟁은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12)누르하치, 명(明)에 도전하다 Ⅳ  [서울신문] 2007.03.29 (목) 1618년 4월15일 푸순성을 포위한 누르하치는 성주 이영방(李永芳)에게 항복하라고 종용했다. 이영방이 망설이자 후금군은 공격을 시작했고, 상대가 될 수 없음을 깨달은 이영방은 항복했다. 푸순성을 접수한 누르하치는 성안에 있던 한인(漢人) 상인들을 풀어 주었다. 그들에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읽기] (11) 누르하치, 명(明)에 도전하다 Ⅲ  [서울신문] 2007.03.22 (목) 누르하치가 만주의 패자(覇者)로 등장하기 전까지, 명이 상대하기에 가장 버겁고 까다롭게 여긴 대상은 예허였다. 하지만 이제 상황이 달라졌다. 누르하치가 하다, 호이파, 울라를 멸망시킴으로써 예허는 고립되었다. 명은 이제 예허를 다독여 누르하치의 후금을 견제하려 했고,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10) 누르하치,명(明)에 도전하다 Ⅱ  [서울신문] 2007.03.15 (목) 건주여진을 통일하고, 해서여진과 몽골의 연합군마저 물리친 누르하치의 기세는 멈추지 않았다. 누르하치는 하다, 호이파, 울라 등 해서의 여러 부족들을 강온(强穩), 양면으로 통제하여 가장 강한 예허부(葉赫部)를 고립시키는 정책을 취했다. 당시 해서여진이 누르하치에게 맞서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9) 누르하치,명(明)에 도전하다 Ⅰ  [서울신문] 2007.03.08 (목) 앞에서 언급한 대로 명의 지배 아래 있던 여진족은 크게 건주, 해서, 야인의 세 종족으로 구분되었다. 그 가운데 가장 강했던 종족은 해서여진이었다. 해서여진은 다시 예허부(葉赫部), 하다부(哈達部), 호이파부(輝發部), 울라부(烏拉部) 등 네개의 부족으로 나뉘어졌다.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8) 일본 만선사가들이 본 병자호란, 누르하치, 그리고 만주 Ⅱ  [서울신문] 2007.03.01 (목) 만선사관(滿鮮史觀)의 등장은 19세기 말부터 본격화된 일본의 대륙 침략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었다. 대표적인 만선사가였던 이나바 이와기치는 1937년 자신의 회갑을 맞아 쓴 글에서 ‘자신은 학문을 위한 학문을 했던 것이 아니라 당시의 ‘지나 문제’에 자극을 받아 시대적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7) 일본 만선사가들이 본 병자호란,누르하치,그리고 만주 Ⅰ  [서울신문] 2007.02.22 (목) 병자호란은 조선 사회와 민중들에게 커다란 상처를 남긴 대사건이었다. 하지만 그 역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 역사학계의 병자호란 연구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라 하기 어렵다. 그같은 상황은 병자호란뿐만이 아니라 조 청관계나 만주와 관련된 연구 전반에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6) 임진왜란,누르하치,그리고 조선 Ⅲ  [서울신문] 2007.02.15 (목) 1405년 퉁밍거티무르가 입조(入朝)해 건주위도지휘사에 임명된 이래 명의 여진족에 대한 포섭작업은 가속이 붙었다. 영락제(永樂帝)는 1409년 흑룡강, 우수리강 유역의 광활한 지역을 총괄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노아간도사(奴兒干都司)라는 기관을 설치했다. 퉁밍거티무르를 비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5) 임진왜란, 누르하치, 그리고 조선 Ⅱ  [서울신문] 2007.02.08 (목) 임진왜란 초 일본군에 밀려 의주까지 쫓겨갔던 조선은 누르하치의 원병 제의에 깜짝 놀랄 수밖에 없었다. 전쟁 이전까지, 두만강 너머에 살고 있던 여진족들로부터 간헐적으로 침략을 받은 적은 있었지만, 조선은 그들이 국가의 안위를 위협할 정도로 강력한 존재라고는 생각하지 않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4)임진왜란, 누르하치, 그리고 조선 Ι  [서울신문] 2007.02.01 (목) 1592년의 임진왜란은 병자호란보다 44년이나 먼저 일어났지만, 두 사건은 역사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1583년 군사를 일으켜 주변의 여진족 정복에 나섰던 누르하치에게 임진왜란이 일어났던 것은 하늘이 내려준 기회였다. 여진족 안에서 아구다 같은 패자가 나타나는 것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3) 여진족과 만주Ⅱ  [서울신문] 2007.01.25 (목) 청나라의 시조 누르하치가 장차 동북아시아 전체의 역사를 바꾸어 놓는 대격변의 첫걸음을 내디딘 해는 1583년이었다. 이 해부터 시작해 1626년 사망할 때까지 누르하치의 일생은 전쟁으로 점철되었다. 전쟁은 처음에는 여진의 여러 부족을 아우르는 단계에서 출발해 나중에는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병자호란 다시 읽기] (2) 여진족과 만주1  [서울신문] 2007.01.18 (목) 조선 사회에 엄청난 피해와 고통을 남긴 병자호란의 발발은 16세기 후반∼17세기 중반 중국 대륙에서 벌어진, 이른바 명청교체(明淸交替)의 여파가 조선으로 밀어닥친 결과였다. 명청교체의 주역은 여진족(女眞族)이었다. 그들은 병자호란 7년 뒤인 1644년 베이징을 접수하고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바로잡습니다]  [서울신문] 2007.01.12 (금) ●바로잡습니다 11일자 1면에 ‘10만 포로의 눈물’제하로 보도된 병자호란 다시 읽기 기사 가운데 청 태종 송덕비 소재지는 서울 송파구내 삼전동이 아니라 석촌동으로 바로 잡습니다.

'서울신문'만 골라보기지면PDF 보기

[아픈 역사에서 배운다-병자호란 다시 읽기] 10만 포로의 눈물  [서울신문] 2007.01.11 (목) 조선은 왜 인조가 삼전도에서 청태종에게 항복하는 비참한 환란을 겪어야 했을까. 한마디로 17세기초 명 청 교체기의 격랑 속에 조선 지배층이 국제정세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다.2007년은 병자호란이 끝난 지 370년이 되는 해이다. 북핵 문제를 놓고 6자 회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