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 감상실 ♣/* 작 품

Beethoven - String Quartet No 7 Op 59 No 1 in F major ['Rasumovsky No 1]

Bawoo 2016. 2. 18. 22:26

 

Beethoven

Portrait by Joseph Karl Stieler, 1820

(17 December 1770 -- 26 March 1827)

 

String Quartet No 7 Op 59 No 1 in F major."Razumovsky"

 

 Alban Berg Quartet
Günter Pichler 1 violin, Gerhard Schulz 2 violin,

Thomas Kakuska viola, Valentin Erben cello

Ludwig van Beethoven's String Quartet No. 7 in F major was published in 1808 as opus 59, No. 1. It consists of four movements:

  1. Allegro in F major
  2. Allegretto vivace e sempre scherzando in B major
  3. Adagio molto e mesto in F minor - attacca
  4. Thème Russe: Allegro in F major

This work is the first of three quartets commissioned by prince Andrey Razumovsky, then the Russian ambassador to Vienna. This quartet is the first of Beethoven's middle period quartets and departs in style from his earlier Op. 18 quartets. The most apparent difference is that this quartet is over forty minutes long in a typical performance, whereas most of Beethoven's earlier quartets lasted twenty-five to thirty minutes. Furthermore, this quartet notoriously requires a greatly expanded technical repertoire.

 

 

American String Quartet (Live).

Filmed live in The Jerome L. Greene Performance Space in New York for WQXR's

Beethoven String Quartet Marathon on November 18, 2012.

1805년 말, 빈 궁정에 머무르고 있던 러시아 대사 안드레아스 라주모프스키 백작은 베토벤에게 새 작품을 의뢰했다. 그가 원한 작품은 곧 빈에 건립될 그의 화려한 궁전에 어울리는 현악 4중주곡이었다. 그러나 베토벤이 라주모프스키 백작을 위해 작곡한 현악 4중주 Op.59의 세 곡을 들으며 귀족 궁전의 사치스런 살롱을 떠올리기는 쉽지 않다. 그토록 진지한 표현과 견고한 구성을 갖춘 지적인 작품을 과연 귀족들의 여흥을 위한 음악이라 할 수 있을까!

교향곡에 맞먹는 큰 스케일… 실내악의 혁명

1807년에 ‘라주모프스키 4중주곡’이 발표된 후 베토벤에게 혹평이 쏟아진 것도 무리는 아니다. 실내악이란 아마추어 음악가들이 함께 즐기기 위한 음악이란 인식이 강했던 그 당시, 교향곡을 방불케 하는 장대한 규모의 현악 4중주곡은 사람들을 어리둥절하게 했으리라. 그러나 베토벤에게 있어 ‘현악 4중주’라는 음악은 더 이상 즐기기 위한 음악이 아니었다. 그에게 현악 4중주란 두 대의 바이올린과 비올라, 첼로의 동질적인 음색을 바탕으로 논리적으로 전개되는 가장 지적인 음악이며, 작곡가로서 작곡 기법을 시험하는 진지한 음악이었던 것이다.

1800년에 베토벤이 여섯 곡으로 구성된 Op.18의 현악 4중주를 작곡했을 때만 해도 현악 4중주는 그에게 그다지 심각한 장르는 아니었다. Op.18의 초기 현악 4중주들은 대부분 하이든과 모차르트를 떠올리게 하는 발랄하고 유쾌한 음악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그로부터 6년이 지나 완성한 Op.59의 현악 4중주들은 Op.18의 현악 4중주곡을 작곡했던 동일인의 작품이라고는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파격적이고 혁명적이다. 6년 사이 베토벤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던 것일까? 베토벤에게 현악 4중주를 의뢰한 러시아의 대사 라주모프스키 백작

‘라주모프스키 4중주곡’을 작곡할 당시의 베토벤은 이미 과거의 그가 아니었다. 귓병의 악화로 인해 인간적으로나 음악적으로나 큰 변화를 겪은 베토벤은 공포와 분노, 반항심에 불타오르며 그 끓어오르는 에너지를 음악에 쏟아 붇기 시작했다. 그는 더 이상 대중의 취향에 음악을 맞추지 않았다. 대신 자신의 목소리를 담은 혁신적인 음악을 대중에게 강요했다.

‘라주모프스키 4중주곡’을 구상할 당시 베토벤의 작곡 스케치북에 적힌 짧은 질문에는 당시 베토벤의 심정이 그대로 나타나 있다. “이 세상의 그 무엇이 음악으로 영혼을 표현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겠는가?” 그를 막을 자는 아무도 없었다. ‘라주모프스키 4중주곡’은 베토벤이 던진 질문에 대한 답변이자 현악 4중주를 진지한 음악으로 격상시킨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또한 베토벤의 전기 작가 솔로몬의 말대로 18세기 전통의 한계를 넘어선 ‘교향악적 4중주곡’이다.

“당신을 위한 곡이 아니라 미래의 청중을 위한 곡이오”

이 세 곡의 놀라운 현악 4중주곡은 단시간 내에 완성됐다. 1806년 7월 5일에 Op.59의 4중주곡 가운데 1번을 먼저 완성한 베토벤은 두 달 사이에 나머지 두 곡도 완성했다. 그해 9월 3일에 베토벤이 출판업자에게 보낸 편지를 보면 당시에 이미 ‘라주모프스키 4중주’ Op.59의 전 세 곡이 모두 완성됐음을 알 수 있다. 1807년 2월, 마침내 베토벤의 새로운 현악 4중주곡이 초연되었다.

그 무렵 라주모프스키 백작의 저택이 완공되지 않은 상태였기에 이 작품은 빈의 다른 장소에서 이그나츠 슈판치히 4중주단의 연주로 첫 선을 보였다. 초연 무대에서 새로운 스타일의 현악 4중주곡을 들은 청중들은 당황했다. 초연 당시의 상황에 대해 베토벤의 제자 카를 체르니는 이렇게 기록했다. “슈판치히가 라주모프스키 4중주곡의 첫 곡인 F장조를 연주하자 사람들은 웃기 시작했다. 그들은 베토벤이 농담을 하는 거라 생각했다. 그것은 당시 사람들이 기대하던 4중주곡이 아니었다.”

놀란 것은 청중뿐 아니었다. 음악가들 역시 베토벤의 새로운 4중주곡을 이해하지 못했다. 한 바이올리니스트는 베토벤에게 이렇게 말하기도 했다. “당신은 이 작품에 별로 신경을 안 쓴 게 분명한 것 같군요.” 그러자 베토벤의 대답은 이랬다. “이건 당신을 위한 곡이 아니라 미래의 청중을 위한 곡이오.” 기술적인 어려움 역시 문제가 되었다. 초연 당시 연주를 맡은 슈판치히 4중주단의 연주자 한 사람은 악보가 너무 어렵다고 불평하자 베토벤은 “내가 영감을 받아 작곡을 할 때 내가 그 삑삑거리는 작은 깡깡이 따위를 신경이나 쓰는 줄 아시오?”라 반문했다.

Barylli Quartet

 Mozaartsaal Konzerthaus - 1956

 

이상하고 새로운 음악에 놀란 청중과 비평가들

베토벤은 ‘라주모프스키 4중주곡’을 미래의 청중을 위한 작품이라 말했지만, 이 작품은 오늘날의 청중에게도 결코 쉬운 곡은 아니다. Op.59의 1번 F장조의 1악장은 400마디에 이르는 어마어마한 길이의 음악이고, 2악장 스케르초는 스타카토로 연주되는 신비로운 리듬이 강박적으로 반복되는 기묘한 음악이며, 3악장 아다지오는 탄식하는 듯한 선율과 느리고 장중한 느낌의 심오한 작품이다. 4악장에는 이 작품의 의뢰인을 배려한 듯 러시아 민요 선율이 주제로 사용돼 친근감을 주지만 4악장 역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간단한 음악은 아니다.

◀베토벤은 초기 실내악의 유쾌한 구성을 넘어 심각한 실내악으로 변화를 꾀했다.

무엇보다도 이 곡에서는 1악장 도입부의 주제를 가장 낮은 음역의 첼로가 연주하는 사이 제2바이올린과 비올라가 8분음표의 반주 음형을 더 높은 음역에서 연주하는 것이 특이하다. 이는 고전주의 음악에선 드문 일로, 당대 청중에게 이상한 느낌을 주었을 것이다.[

The first movement is in an expansive sonata form, including a fugato in the development and lasting nearly twelve minutes even though it forgoes the then-customary repeat of the exposition. The opening cello melody is tonally ambiguous, with the first cadence establishing the key of F major only occurring several bars into the movement.

 

Another feature of the first movement is the delayed emotional recapitulation. As became one of Beethoven's many tools for emotional manipulation, delaying the grandiosity of the recapitulation for several b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tonic key allowed Beethoven to heighten expectation of a definitive statement.

 

While both the majestic slow third movement and the fourth are also in sonata form, the second movement scherzo is formally one of the most unusual movements of Beethoven's middle period, easily classifiable as being also in sonata form.

The final movement is built around a popular Russian theme, likely an attempt to ingratiate the work to its Russian commissioner.

 

The Budapest String Quartet

(Joseph Roisman - Jac Gorodetzky - Boris Kroyt - Mischa Schneider)

 Studio recording, 5-9.V.1952

==================================================================

‘라주모프스키 4중주곡’ 중 2번 e단조 역시 길이나 구성 면에서 만만치 않다. 오늘날 공연 무대에서도 2번은 자주 연주되는 편은 아닌데, 그것은 이 작품의 연주효과가 그리 높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정적인 표현이 매우 뛰어나 다른 4중주곡에 비해 음악적으로 전혀 뒤지지 않으며 느린 아다지오 악장의 고요한 아름다움은 특별하다. 3악장의 중간 부분에서 베토벤은 다시금 러시아 민요 선율을 인용해 이 작품을 의뢰한 라주모프스키 백작에게 경의를 표했는데, 베토벤이 사용한 이 민요는 러시아의 애국적인 송가로 무소륵스키가 그의 오페라 <보리스 고두노프>에서 사용한 선율이기도 하다.

Op.59의 3번은 아마도 라주모프스키 4중주곡 전곡 가운데 가장 연주효과가 뛰어난 작품일 것이다. 특히 마지막 4악장은 전곡 가운데 예술적인 면으로나 기교적으로나 가장 뛰어난 음악으로 평가되고 있다. 베토벤은 이 악장에서 모차르트가 교향곡 41번 ‘주피터’의 마지막 악장에 사용했던 화려한 푸가의 기법을 좀 더 밀도 있게 재현해내며 청중을 사로잡는다. 처음에 비올라에 의해 제시되는 주제 선율은 제2바이올린과 첼로, 제1바이올린에 의해 차례로 모방되며 긴장감을 쌓아 간다. 이 곡에서 푸가의 기법은 단순히 장식적인 차원을 넘어 모든 성부에 원동력을 주는 근원적인 에너지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말 해설자료 출처: 최은규-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66&contents_id=3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