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시(漢詩) 마당 ♣/- 우리 漢詩

[스크랩] 조선의 시인 이옥봉...사랑에 꺾인 애달픈 시심

Bawoo 2016. 10. 29. 05:20

.






조선의 시인 이옥봉...사랑에 꺾인 애달픈 시심



조선 인조 때의 일이다. 승지 조희일이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그곳 원로대신과 인사를 나누게 되었다.

“조원을 아느냐”는 물음에 조희일이 부친이라 대답하니, 원로대신은 서가에서 <이옥봉 시집>이라 쓰인 책 한 권을 꺼내보였다. 조희일은 깜짝 놀랐다. 이옥봉은 아버지 조원의 소실로 생사를 모른 지 40여년이 되었기 때문이다. 옥봉의 시집이 어떻게 해서 머나먼 명나라 땅에 있게 되었는지 조희일로서는 짐작조차 할 수 없는 일 이었다. 원로대신이 들려준 이야기는 이러했다.


40년 전쯤 중국 동해안에 괴이한 주검이 떠다닌다는 소문이 돌았다.

너무 나 흉측한 몰골이라 아무도 건지려 하지 않아 파도에 밀려 이 포구 저 포 구로 떠돈다는 것이었다. 사람을 시켜 건져보니 온몸을 종이로 수백겹 감 고 노끈으로 묶은 여자 시체였다.

노끈을 풀고 겹겹이 두른 종이를 벗겨 냈더니 바깥쪽 종이는 백지였으나 안쪽의 종이에는 빽빽이 시가 적혀 있 고 ‘해동 조선국 승지 조원의 첩 이옥봉’이라 씌어 있었다. 읽어본즉 하나같이 빼어난 작품들이라 자신이 거둬 책을 만들었다고 했다.


온몸을 시로 감고 죽은 여인 이옥봉.

이옥봉은 조선 명종 때 충청도에서 왕족의 후예 이봉지의 서녀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시문에 뛰어난 재주 를 보인 옥봉은 신분의 굴레로 첩살이밖에 못함을 알게 되자 결혼에 대한 꿈을 버리고 서울로 갔다.

옥봉은 장안의 내로라 하는 명사들과 어울리며 단종 복위운동에 뛰어들었고, 곧 시귀나 짓는 선비라면 모르는 이가 없을 정도로 유명인사가 되었다.


옥봉은 조원이란 선비를 사랑하여 첩이 되겠다고 자청했다. 첩살이가 싫어 결혼을 거부했던 그였지만 사랑 앞에서는 약해진 모양이다. 한데, 조 원은 옥봉을 받아들이는 대신 앞으로는 절대 시를 짓지 않겠다고 맹세하라 했다. 여염의 여인이 시를 짓는 건 지아비의 얼굴을 깎아내리는 일이 라면서. 옥봉은 맹세했다.

자신의 시는 외로움과 허망함의 발로였으니 지 아비를 얻으면 시를 쓰지 않아도 좋으리라고.


세월이 흘렀다. 어느 날 조원 집안의 산지기 아내가 찾아와 하소연했다. 남편이 소도둑 누명을 쓰고 잡혀갔으니 조원과 친분이 두터운 파주목사에 게 손을 좀 써달라 했다.

사정을 들어본즉 아전들의 토색질이 분명했다. 옥봉은 파주목사에게 시 한수를 써보냈고, 산지기는 무사히 풀려났다. 그 러나 이 일로 옥봉은 쫓겨나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조원이 “약속을 지키지 않는 여자와는 살 수 없다”며 내친 것이다.


세숫대야로 거울을 삼고

참빗에 바를 물로 기름 삼아 쓰옵니다

첩의 신세가 직녀가 아닐진대

어찌 낭군께서 견우가 되리까


爲人訟寃) /이옥봉

洗面盆爲鏡(세면분유경)

梳頭水作油(소두강작유 )

妾身非織女(첩신비직녀)

郞豈是牽牛(낭기시견우 )



뚝섬 근처에 방 한칸을 얻어 지내며 옥봉은 조원의 마음을 돌려보려 애썼으나 허사였다. 조원과의 약속을 지키느라 10년 가까이 시혼을 억눌러오 다가 산지기를 위해 한수 지어준 일로 쫓겨나다니. 옥봉으로서는 야속하 기 이를 데 없는 일이었으리라.

옥봉은 애통한 마음을 담아 시를 읊고 또 읊었다. 더이상 참을 까닭도 없었으니까.



이미지 출처 : 교보


별한 別恨 :


평생 이별의 한이 병이 되어(平生離恨成身病)

술로도 못 고치고 약으로도 다스리지 못하네(酒不能療藥不治)

이불 속 눈물이야 얼음장 밑을 흐르는 물과 같아(衾裏泣如氷下水)

밤낮을 흘러도 그 뉘가 알아주나(日夜長流人不知)



조원을 단념한 옥봉은 평소 가보고 싶었던 중국으로 가 마음껏 시심을 펴 보려 했나 보다. 그리고 자신의 시로 몸을 감고 낯선 바다에 뛰어들었나 보다. 여성을 가정 내 존재로 규정하고 그 틀을 벗어나는 여성은 천시하 거나 사회적 보호 밖에 두었던 조선시대의 여성관에 죽음으로 항의한 셈 이다.

사랑을 위해 시를 포기했지만 자신의 삶은 결국 시로 남을 수밖에 없다고 침묵으로 웅변하면서.


박은봉/ 역사연구가  / 한겨레신문사



==================================








夢魂 몽혼


안부를 묻습니다 요즘 어떠신지요.

창문에 달빛어리면 그리움 더욱 짙어집니다.

꿈속의 넋에 서성이던 내 발자국 흔적을 남기게 했다면

문 앞 돌길은 반쯤 모래가 되었을 것을


近來安否問如何 (근래안부문여하)

月到紗窓妾恨多 (월도사창첩한다)

若使夢魂行有跡 (약사몽혼행유적)

門前石路半成沙 (문전석로반성사)


- 시문집 `가림세고(嘉林世稿)`



`옥봉집(玉峰集)`은 조선 선조 때 옥천 군수를 지낸 이봉의 서녀(庶女)로 태어나 조원의 소실(小室)이 된 숙원이씨 이옥봉의 시집이다. 조원·조희일·조석형 3대(代)의 시문(詩文)을 묶은 `가림세고(嘉林世稿)`의 부록으로 전한다.


유교적 가부장 중심의 조선 사회에서 서출(庶出)로 더구나 여자로 태어난 것 때문에 시를 마음껏 써보지 못하고, 또 시 창작으로 남편과 영원히 헤어져 살아야 했고 끝내 자신이 쓴 시를 안고 바다에 뛰어들어 생을 마감한 비운의 여류 시인 이옥봉.


그가 남긴 32편의 한시는 대부분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기다림과 그리움의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칠언 절구의 `몽혼(夢魂)`도 기다림과 그리움의 노래다. 임을 만나기는 현실에서는 불가능하니 꿈속의 넋을 빌리는 가정법을 사용하여 자신의 애절한 사랑을 그려내고 있다.

꿈속의 넋인 몽혼(夢魂)이 그리움에 목메어 하도 찾아 달려가 당신 사는 문 앞의 돌길이 모래가 되었을 것이라는 저 여인의 깊은 한(妾恨多)을 어찌할꼬? 시적 화자가 부르는 이 사랑의 노래가 너무 애틋하고 절절하다.


비운의 모습으로 끝나버린 여인 이옥봉의 삶과 그 한이 안타깝고 애절타.

내 전생(前生) 또 그 전생의 삶에서 이러한 여인을 남겨 두지는 않았는지?


그녀의 다른 시 오언 절구 `규정(閨情)`이라는 작품도 애절한 기다림과 그리움의 노래다.


오시겠다 약속해놓고 어찌 이리 늦으시나요?

뜨락의 매화는 벌써 지려 하는데

문득 가지 위의 까치소리에

부질없이 거울만 보며 눈썹을 그립니다.


규정閨情 (여인의 마음) / 李玉峰

有約郞何晩

庭梅欲謝時

忽聞枝上鵲

虛畵鏡中眉


이 밤, 우리 이별 너무 아쉬워

달은 멀리 저 물결 속으로 지고

묻고 싶어요, 이 밤 어디서 주무시는지?

구름 속 날아가는 기러기 울음소리에 잠 못 이루시리.


離別 / 李玉峰

人間此夜 離情多

落月蒼茫 人遠波

借問今宵 何處宿

旅窓空聽 雲鴻過



이 시의 화자는 까치 우는 소리에 새로 화장을 하며 임을 기다린 게 한두 번이 아닐 것이다.

부질없는 것인 줄 알면서 또 거울을 보며 눈썹을 그리는 저 여인의 마음이 못내 안타깝기만 하다.


해설<이종암·시인> / 경북매일



--------------------------



이미지와 한시는 임의로 넣었습니다.



 

Eclipse of the Moon



조선의 여인.

멸종됬음.








출처 : 마음의 정원
글쓴이 : 마음의 정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