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칠성 (梁七星, 일본식 이름: 일본어: 梁川七星 야나가와 시치세이[*], 인도네시아어: Komarudin, 1919년 5월 29일 ~ 1949년 8월 10일) 은 인도네시아의 독립에 공헌한 한국인 독립운동가이다.
생애
양칠성은 1919년 전라북도 전주군 삼례면 삼례리(현 완주군 삼례읍)에서 태어났다. 그는 태평양 전쟁 중이었던 1942년, 일본 남방군에 입대하여 1945년까지 자와 섬 포로 수용소의 감시원으로 있었다. 1945년이후 조선에 돌아가지 않고, 인도네시아에 남아서 네덜란드의 재식민지화 정책에 대항하던 인도네시아 독립군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가, 1948년 11월 부대원들과 산에서 게릴라전을 모의하던 도중, 네덜란드 군에 체포돼 1949년 8월 주민들이 보는 앞에서 총살되었다.[1]
그의 공적은 그가 사망한 지 26년 만인 1975년 11월, 인도네시아 군의 고위 장성이 된 옛 독립 운동 동료들의 노력으로 세상에 알려졌으며, 인도네시아 정부는 그를 외국인 독립 영웅으로 공인하였다. 양칠성은 현재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 위치한 칼리비타 국립 묘지에 안장돼 있으며, 현재 그의 묘비에는 KOMARUDIN YANG CHIL SUNG, KOREA 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각주
바깥 고리
- 인도네시아 독립영웅 '양칠성' 그의 조선 이름 찾아준 일본인
- 故 양칠성씨...인도네시아 역사교과서에 실린다
- 〈印尼 독립영웅 梁七星은 누구인가〉
- =============================================================
- 2012.08.04 서울신문 다음뉴스
일본 이름은 아오키, 하세가와, 야나가와. 그 가운데 야나가와의 본명은 양칠성, 그러니까 조선인이다. "일본 정부가 두 명의 일본인 병사에 대해서는 기...
- 1995.08.22 연합뉴스 다음뉴스
위해 식민통치국이었던 네덜란드와 싸우다 전사한 한국인 양칠성이 인도네시아의 국가영웅으로 추앙받고있다고 관리들이 22일 밝혔다. 양칠성의 전사를 기리는 기념식이 지난 19일 그의 유해...
- 2008.12.19 한겨레 다음뉴스
조사를 하지 않았다면 그는 양칠성이란 이름과 한국 국적을 찾지 못하고 그냥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졌을 가능성이 높다. 양칠성을 우리가 기억하게 된 것...
[출처: 정보-책"역사전쟁 203쪽/ 수집-위키백과, 주요 일간지 기사]
'♣ 역사(歷史) 마당 ♣ > - 인물, 단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19년 이리 만세운동을 주도하다가 양팔이 잘리고 끝내 죽임을 당한 독립운동가]문용기[文鏞祺] (0) | 2017.02.05 |
---|---|
[거창양민학살 관련]당시 빨갱이 색출을 주도한 신원면장 박영보 관련 내용 (0) | 2017.02.04 |
[식민사관을 반박한 사회주의 경제학자]백남운(白南雲) (0) | 2017.02.01 |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끌려간 도공]팔산[八山] (0) | 2017.01.12 |
[정조대에 반역 혐의로 사형당한 노론의 핵심 인물]구선복[具善復 ] (0) | 2016.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