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근담 전집 3 장 * 채근담 3 * 耳中(이중)에 常聞逆耳之言(상문역이지언)하고 心中(심중)에 常有拂心之事(상유불심지사)면 纔是進德修行的砥石(재시진덕수행적지석)이다 若言言悅耳(약언언열이)하고 事事快心(사사쾌심)이면 便把此生(변파차생)하여 埋在鴆毒中矣(매재짐독중의)니라. 귀에는 항상.. ♣ 잡동 자료 ♣/고전(古典) 2014.05.25
채근담 전집 2장 ■ [채근담(菜根譚)전집 제2장] 군자는 세상을 꾸밈없이 살 뿐, 능란하게 사는 것이 아니다 涉世淺 點染亦淺 歷事深 機械亦深 섭세천 점염역천 역사심 기계역심 故君子 與其練達 不若朴魯 與其曲謹 不若疎狂 고군자 여기련달 불약박로 여기곡근 불약소광 세파에 부딪침이 얕으면 그 더러.. ♣ 잡동 자료 ♣/고전(古典) 2014.05.25
채근담 전집1장 ■ [채근담(菜根譚)전집 제1장] 棲守道德者(서수도덕자)는 寂寞一時(적막일시)이나 依阿權勢者(의아권세자)는 凄凉萬古(처량만고)니라. 達人(달인)은 觀物外之物(관물외지물)하고 思身後之身(사신후지신)하나니 寧受一時之寂寞(영수일시지적막)이언정 毋取萬古之凄凉(무취만고지처량).. ♣ 잡동 자료 ♣/고전(古典) 2014.05.25
채근담(菜根潭)이란? *중국 명나라 말기에 문인 홍자성(홍응명(洪應明),환초도인(還初道人))이 지은 책. 전편 222조, 후편 135조로 구성되었고, 전편은 '현실에 살면서도 현실에 집착하지 않는 마음가짐과 처세법'을 , 후편은 '자연을 벗하며 살아가는 풍류를 주제'로 하고 있다. 책 제목 ‘채근’은 송宋나라의 .. ♣ 잡동 자료 ♣/고전(古典) 2014.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