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20년 전 일본 닮아가는데 … 남의 일 보듯 위기 불감증" "20년 전 일본 닮아가는데 … 남의 일 보듯 위기 불감증" 한국도 소비·투자·성장·금리 '4저' 영화처럼 실감 못하는 ‘극장화’ 현상 “위기 인식하는 게 극복의 출발점” 1995년 6월 21일 일본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내각에 비상이 걸렸다. 그해 1분기 경제성장률(GDP)이 0.1%로 곤두..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10.30
<우리 경제>경상성장률 회복이 시급하다 세상에는 너무도 두려운 나머지 입밖에 꺼내기조차 어려운 말이 있다. 그 말을 내뱉는 순간 흡사 피하고 싶었던 바로 그 불길한 일이 벌어질지도 모른다는 공포심을 자아내는 말이다. 경제에도 그런 말이 있다. 바로 ‘디플레이션(deflation)’이 그것이다. 오죽하면 디플레이션이란 말을 직..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10.22
<우리 경제>저금리 시대가 더 무서운 부채의 덫 가계부채가 1000조를 넘어섰다. 가계부채나 다름 없는 자영업자 대출 140조원을 포함하면 1180조원으로 국내총생산(GDP)보다 많다. 공공부문을 포함한 정부부채 또한 머지않아 GDP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번 걸려들면 여간해서 헤어나기 어려운 것이 부채의 덫이다. 외환위기와 세..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10.21
<우리 경제>국민이 재정을 직접 지켜봐야 한다 외환위기 직후 한국에는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이 엄청난 ‘관심’을 끌었다. 이는 BIS가 정해 놓은 은행의 자본건전성 기준을 의미한다. 대출이나 보증을 포함한 위험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이 8% 이상이면 은행이 든든하다는 판정을 받았다. 은행이 망하는 걸 본 한국인들은 예금할 때 ..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10.18
<우리 경제>지금 한국 경제 상황이 그리도 급박한가 흔히 금융은 경제의 혈맥이라고 한다. 자금은 있으나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잘 모르는 쪽으로부터 자금은 없으나 활용할 아이디어와 열정이 있는 쪽으로 돈이 흐르게 함으로써 생산의 증가를 가져오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이 과정에서 금융은 소액 저축을 모아 거액 투자자금..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10.18
[배명복 칼럼] 프랑스의 우울 올해 노벨 문학상은 프랑스에 돌아갔다. 소설가 파트리크 모디아노다. 소설 몇 편 읽은 알량함으로 작가를 논하는 만용을 용서한다면 나에게 모디아노는 우울, 프랑스어로 ‘모로지테(morosite)’의 작가로 각인돼 있다. 희망이 안 보이는 음울하고 침체된 상태가 모로지테다. 폭우가 쏟아..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10.14
[The New York Times] 우리는 자유무역에 대해 잘못 알고 있다 우리는 자유무역에 대해 잘못 알고 있다 경제학자들의 의견이 일치하는 때는 거의 없다. 다만 ‘무역은 다다익선(多多益善)’ 원칙에는 모두 동의한다. 오바마 행정부는 아시아·태평양, 유럽연합(EU)과의 무역협정을 동시에 추진 중이다. 미국 국민의 반응은 회의적이다. 이유가 있다. ..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10.09
<경제 상식>말뫼의 눈물 말뫼의 눈물 현대중공업이 2002년에 스웨덴의 항구도시 말뫼에 있는 조선업체 코쿰스의 골리앗 크레인을 1달러에 인수한 사건을 이르는 말. 스웨덴 조선업의 쇠락으로 조선소가 문을 닫자 코쿰스는 크레인을 매물로 내놨지만 막대한 해체 및 운송비용 탓에 방치되다 현대중공업의 품에 ..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10.07
<우리사회>[송호근 칼럼] 중세적 세습사회의 귀환 벼가 익어가는 노란 가을 들녘은 쓸쓸하고 고즈넉하다. 땡볕 농부의 땀방울이 알곡으로 결집된 한 폭의 추상화는 그러나 눈물겨운 정치경제학을 숨기고 있다. 평균 3000여 평의 토지에 투하한 평균 50여 년의 노동으로 생계유지, 자식교육과 분가를 완료한다. 웬만한 농민들은 도시로 분가..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10.07
<우리경제>한국 기업이 한국에 투자하게 하라, 일본처럼 안 되려면 금융위기 6년 … 경제분석 석학 조르겐슨 하버드대 교수 인터뷰 데일 조르겐슨 교수는 “고용을 늘리고 인구 감소에 대처하기 위해선 투자 증대가 필수적”이라며 “한국 기업들이 해외가 아니라 한국에 투자할 수 있게끔 세금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보스턴=이상렬 특파원]..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