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부동산 위기와 중국정부의 인식 잠잠하던 중국 부동산시장에 대한 우려가 재연되고 있다. 여간해선 줄지 않던 주택판매면적이 올해 1~7월엔 지난해 동기 대비 9.4% 줄어들고, 특히 지난 7월 중국 300개 도시의 토지거래면적은 지난해보다 44%, 토지매각대금은 49%나 급감했다. 주택가격은 4월부터 떨어진 도시가 늘어나 7월엔..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09.16
<세계 경제>노벨상 실러 "세계경제 나치 때와 흡사…대러 제재 조속히 끝내야"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실러 미국 예일대 교수가 지금 글로벌 경제 상황이 독일 나치가 득세하던 1937년과 매우 흡사하다고 경고했다. 실러 교수는 영국 가디언 주말판에 기고한 글에서 향후 경제에 대한 전망이 암울해지면 평화가 위협 받는다면서, 러시아에 가해진 제재 조치를 ..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09.15
투자의 의미를 찾아서 <63>- 나 자신이 된다는 것 예전에는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나이를 먹을수록 점점 더 어렵게 느껴지는 게 있다. 다름아닌 나 자신이 되는 것이다. 어린 시절 웃어넘겼던 벌거숭이 임금님의 우화를 떠올려보면 다들 공감할 것이다. 임금님이 발가벗었다는 사실은 알고 있다. 보이지도 만져지지도 않는 옷이 ..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09.13
<우리경제>한은 총재는 괜찮다는데 … 전문가 60% "D의 공포 가능성" 경제 전문가 30인에게 물어보니 물가상승률 22개월째 0~1%대 "일본식 잃어버린 20년 우려" 53% "원화강세 등 일시적 원인" 반론도 “지금은 디플레이션 가능성이 그리 커 보이지 않는다.”(한국은행 이주열 총재, 지난달 14일 금융통화위원회 후 기자회견에서) “한국이 디플레이션 초기에 ..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09.12
<경제> 금융위기는 다시 온다 도둑처럼 찾아오는 것이 금융위기다. 방심한 사이에 용케도 허술한 틈을 찾아 들어온다. 금융위기를 겪어보지 않은 나라는 거의 없다. 그러나 인간의 타고난 능력, 망각이 있기에 위기가 준 고통의 경험은 잊혀지고 조금씩 방비를 내리게 된다. 그래서 금융위기는 되풀이되는 것이다. 하..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09.06
<일본경제> '엔저 시즌2' 일본이 떤다 1달러=105엔 … 작년 말 이후 최저 미 경제 살아나 달러값 상승 영향 일본 수출에 전혀 도움 안 되고 국채 투매 부작용 우려만 커져 ‘엔저 시즌 2’가 시작됐다. 이달 들어 일본 엔화 값이 미국 달러와 견줘 104~105엔 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아베노믹스 바람이 가장 거셌던 지난해 12월 말과 ..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09.04
[박정태 칼럼]끝이 좋아야 좋은 것이다-투자의 의미를 찾아서 무슨 일이든 면밀히 조사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게 중요하다. 투자의 세계도 마찬가지인데, 버나드 바루크는 자서전 '나의 이야기(My Own Story)'에서 진정한 투기자란 미래를 정확히 관찰하고 그것이 현실화하기 전에 행동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했다. 투기자의 어원이 라틴어 스페꿀라리..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08.30
<세계 경제>불확실성의 시대 미국의 증시 S&P 500 지수가 드디어 2000선을 넘나들기 시작했다. 2000년대 초반 ‘닷컴 붐’ 때에도, 2008년 국제 금융위기 직전의 초대형 거품경제 당시에도 1600을 넘지 못했던 지수가 2013년 3월에 2007년의 정점을 초과하더니만, 이제 전인미답의 경지를 밟아가고 있는 것이다. 주가지수만 ..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08.28
<우리 사회>공적연금 개혁 한국인의 삶에서 노후대책은 큰 불안요인 중의 하나다. 1960년대 초만 해도 농촌인구가 전체인구의 약 80%를 차지했다. 농업의 기반은 땅이고, 농업사회는 대대로 한 마을에 오래 정착해 사는 것이다. 농부가 늙으면 아들이 아버지에게서 땅과 곳간의 열쇠를 물려받아 경작을 이어가고 부..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08.16
<우리 군 이야기>징병제·모병제 입씨름에 앞서 군 혁신부터 소련이 무너지던 1990년 내에 나돌았던 풍자 우화 중에 이런 게 있었다. “새로 만든 다리를 지나던 고위층이 ‘ 경비 군인도 없나’라고 한마디 했다. 그러자 군에서 병사를 한 명 보내 다리를 지키게 했다. 곧 교대병이 필요해졌고 야간근무병과 주말근무병이 추가됐다. 규모가 커지자..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