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브람스 바이올린 소나타 3번(Brahams, Violin Sonata No.3 in D minor Op.108)
Bawoo2014. 1. 25. 23:07
Brahams, Violin Sonata No.3 in D minor
브람스 바이올린 소나타 3번
Johaness Brahms
1833-1897
David Oistrakh, violin
Sviatoslav Richter, piano
Alice Tully Hall, New York, 1970.03
David Oistrakh/Sviatoslav Richter perform Brahams Violin Sonata No.3
작품번호를 붙여 출판했던 세 편의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를 완성시키기 위해 브람스는 꽤 이른 시기부터 바이올린 소나타 양식을 탐구하여 몇몇 작품들을 작곡한 바 있다. 그러나 이 가운데 1853년 로베르트 슈만과 알베르트 디르티리와 공동으로 작곡했던 소나타 가운데 브람스의 몫이었던 3악장 C단조의 스케르초(일명 ‘FAE 소나타’)만이 유일하게 남아 있고 나머지 곡들은 자신이 직접 폐기 처분했다. 엄격한 자기비판과 고전 양식에 대한 창조적인 연구를 거친 브람스는 1번 교향곡을 작곡한 이후 자신만의 유려한 스타일을 완성시킬 수 있었고, 이런 과정을 거쳐 원숙기에 접어든 1878년부터 1888년 사이에 비로소 세 편의 바이올린 소나타를 작곡했다.
이렇듯 까다로운 안목을 갖고 있었던 브람스는 다른 사람의 작품이건 자신의 작품이건 모두 엄격한 기준으로 평가를 했다. 그러한 성격 덕분에 그는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요하임과 꽤 오랜 친분을 맺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나이 50이 다 되어서야 비로소 완전한 길이의 바이올린 소나타를 처음 출판할 수 있었다.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 3번 D단조 Op.108은 피아노와 첼로를 위한 소나타 Op.101과 마찬가지로 작곡가가 1886년부터 1888년 사이 여름을 지내던 스위스의 투너 호숫가의 호프슈테텐 시절에 완성되었다. 2번 소나타의 경우는 1886년 8월에 작곡이 완료되었지만, D단조 소나타는 당시 초안만 잡아둔 상태였고 2년 뒤인 1888년이 되어서야 완성할 수 있었다. 초연은 1888년 12월 2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바이올리니스트 예뇌 후바이와 브람스 자신의 피아노 연주로 이루어졌고, 그의 오랜 친구였던 한스 폰 뷜로에게 헌정되었다.▶한스 폰 뷔로(Hans von Bülow, 1830-1894). 뷜로는 가장 유명한 19세기 지휘자 중 한 명이며, 최초의 근대적인 직업 지휘자였다. 리스트의 딸 코지마와 결혼했지만 이혼했고 코지마는 바그너의 부인이 되었다.
이 작품은 앞선 두 곡의 소나타들처럼 고유한 음향적 골격을 유지하고 있되, 특히 이 작품만의 특징으로서 스케일이 크고 협주곡적인 성격이 강하며, 브람스의 바이올린 소나타 가운데 유일하게 4악장 구성이다. 브람스의 평생의 동반자로서 로베르트 슈만의 미망인인 클라라 슈만은 이 작품의 초고를 받아 본 귀 흥분된 어조로 “당신은 너무나 아름다운 것을 선물해 주었군요”라고 말했다. 비슷한 시기에 작곡된 교향곡 4번 E단조와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2중 협주곡과 더불어 이 바이올린 소나타 D단조는 만년에 접어들기 시작한 브람스의 음악적 자신감과 극적인 활력이 불꽃처럼 피어나는 명곡이다. 특히 단조에서 기인하는 사색 같은 분위기와 잔잔한 명상의 느낌, 그리고 우울의 어두운 힘과 베토벤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극적인 성격이 서로 대비를 이루며 형식적인 완결성을 드높이고 있다.
다비드 오이스트라흐와 블라디미르 얌폴스키의 레코딩(EMI)은 이 작품의 고전적인 아름다움과 엄격함 모두를 잘 보여준 명연으로 명성이 높고, 브람스 특유의 서정성과 섬세한 뉘앙스가 돋보이는 요제프 수크와 줄리우스 카첸의 녹음(DECCA) 또한 빼놓을 수 없는 빼어난 연주이다. 한편 헨리크 쉐링과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의 연주(RCA)와 프랑스 바이올린계의 대부인 제라르 풀레가 이타마르 골란과 함깨 녹음한 연주(Arion)도 바이올리니스트들의 고고한 예술성과 작곡가에 정확히 어울리는 음색, 탁월한 앙상블이 빛을 발하는 명연으로 손꼽을 수 있다.
글 박제성(음악 칼럼니스트) 클래식 음악 전문지 <음악동아> <객석> <그라모폰 코리아> <피아노 음악>과 여러 오디오 잡지에 리뷰와 평론을 쓰고 있으며, 공연, 방송, 저널 활동, 음반 리뷰, 음악 강좌 등 클래식 음악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베토벤 이후의 교향곡 작곡가들>을 번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