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도(薛濤/唐),
<화리서기석상견증(和李書記席上見贈)>
翩翩射策東堂秀 豈復相逢豁寸心[편편석책동당수 기부상봉활촌심]
사뿐히 석책하니 시험장에서 빼어난데, 어떻게 다시 만나 속내를 나누리
借問風光爲誰麗 萬條絲柳翠烟深[차문풍광위수려 만조사류취연심]
묻노니 풍광은 누굴 위해 저리 아름다운가, 수많은 실버들 가지 푸른 연기 속에 깊은데
- 射策: 과거(科擧)에서 경서(經書) 구절을 써둔 찌(?, post-it) 또는 의의(疑義)를 댓조각(策)에 여러 개
써놓고 수험자로 하여금 그중 하나를 뽑아 해석하게 하고 그것으로 우열을 정하던 시험방식.
한(漢)나라 때부터 관리등용의 방식으로 채택돼 왔다. 반면 문제(問題)를 내어 고시(考試)하는 것을
발책결과(發策決科)라 했다.
- 東堂: 시험장의 별칭. 조선시대에 문과(文科) 또는 대과(大科)를 민간에서 동당시(東堂試)라 했다.
- 豁: 소통하다. 깨닫다, 넓다, 크다, 트인 골짜기.
- 寸心: 속으로 품은 작은 뜻. 내심(內心). 마음.
- 翠烟: 푸른 연기(靑煙).
가져온 곳 :
블로그 >청경우독(晴耕雨讀)
|
'♣ 한시(漢詩) 마당 ♣ > - 중국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위야(魏野/北宋) - <동모교거(冬暮郊居)> (0) | 2018.07.08 |
---|---|
☞ 왕우칭(王禹稱/南宋-, <화중함행화(和仲咸杏花)> (三絶句其一) (0) | 2018.07.05 |
☞ 육유(陸游/南宋), <가일농필희서(暇日弄筆戱書)> (三首其一) (0) | 2018.06.25 |
☞ 왕안석(王安石/北宋)- <송장명보(送張明甫)> (0) | 2018.06.21 |
☞ 여수구(黎遂球/明-, <화서거원한궁춘효부(和徐巨源漢宮春曉賦)> (0) | 2018.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