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술(美術) 마당 ♣/[중국화-시와 그림]

[스크랩] 수식성도녀교서(誰識成都女校書)

Bawoo 2018. 7. 19. 11:49


근현대 중국화가 이가염(李可染)<설도상(雪濤像)> (1947年作, 水墨紙本, 66×27cm)


酬唱風流逐勝餘  小花箋紙浣花居

不因南北棲歸鳥  誰識成都女校書

(수창풍류축승여 소화전지완화거

 불인남북서귀조 수식성도녀교서)


멋들어진 시사 주고받으며 명승을 찾고

작은 꽃무늬 종이 만들며 완화계에 사네

둥지 찾아 돌아가는 새 아니었다면

누가 알겠는가 성도의 여교서 설도를


안희연(顔希淵/), <설도(薛濤)>


- 薛濤: 당대(唐代)의 유명한 여류 시인. 원래 양가(良家)의 여식이었으나 패가(敗家) 하여 기녀(妓女)가 되었다.


덕종(德宗: 779-805) 때 위천(韋泉)이 사천안무사(四川按撫使)로 부임해 설도를 주석(酒席)에 불러 시를 짓게 하고 여교서(女校書)라 칭했다.


만년에 두보(杜甫)의 초당으로 유명한 성도 교외(郊外)의 완화계(浣花溪) 인근 만리교(萬里橋) 근처에서 은거했다.


이곳은 양질의 종이 생산지로도 유명했다. 특히 설도가 만든 진홍색의 꽃무늬 색종이가 문인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이 종이를 `설도전`(薛濤箋)·`완화전`(浣花箋) 또는 홍화소전(紅花小箋)이라 했다.


한편 薛濤와 유채춘(劉采春어현기(魚玄機이야(李冶)를 당조(唐朝) 4대 여류시인으로 병칭한다.

 

또 탁문군(卓文君薛濤·화예부인(花蕊夫人황아(黃娥)`촉중사대재녀`(蜀中四大才女)로 꼽기도 한다.


- 酬唱: 시사(詩詞)를 서로 주고받음.

 

- 浣花: 설도가 만년에 은거하던 浣花溪.

 

근현대 중국화가 사치류(謝稚柳)<설도제전도(雪濤制箋圖)> 경심(鏡心) (1944年作, 設色紙本, 81.5×42.5cm)


근현대 중국화가 모능비(慕凌飛)<雪濤制箋圖> (1956年作, 設色紙本, 128.5×64cm)


모능비(慕凌飛)<雪濤制箋圖> (1979年作, 設色紙本, 125×64cm)


근현대 중국화가 조온옥(趙蘊玉)<雪濤制箋圖> (設色紙本, 67×34cm)

 

근현대 중국화가 정모강(鄭慕康)<雪濤制箋圖> (1980年作, 設色紙本, 95×44cm)


근현대 중국화가 주매촌(朱梅邨)<雪濤制箋圖> (1984年作, 設色紙本, 68×37cm)

출처 : 청경우독(晴耕雨讀)
글쓴이 : 경화수월鏡花水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