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통(徐?/明)
<향규칠조시(香閨七弔詩)> (其三) `곽소옥`(霍小玉)
誰將薄倖負娉婷 怨魄啼魂喚不醒(수장박행부병정 원백제혼환불성)
누가 박정하게 미인을 저버리려 하나. 원망하며 우는 혼백 불러도 깨지 않네
我有多情雙眼淚 一回開卷一回零(아유다정쌍안루 일회개권일회령)
내 정이 많아 두 눈에 눈물 맺히더니. 한 번 펼칠 때마다 한 방울씩 떨어지네
- 霍小玉: 당대(唐代) 문인 장방(藏防)의 소설 ≪곽소옥전(霍小玉傳)≫에 등장하는 여자 주인공.
≪霍小玉傳≫은 당나라 때의 시인 이익(李益)과 장안(長安) 명기(名妓) 霍小玉의 비극적 사랑을 그린 중당기(中唐期, 766-835)의 대표적 전기소설.
명대(明代) 희곡 ≪자소기(紫簫記)≫ ≪자차기(紫釵記)≫는 이 이야기에서 유래한 것이다.
- 薄倖: 박정(薄情).
- 娉婷: 미인(美人), 가인(佳人).
- 怨魄啼魂: 원망하며 우는 혼백.
가져온 곳 :
블로그 >청경우독(晴耕雨讀)
|
'♣ 한시(漢詩) 마당 ♣ > - 중국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두목(杜牧/唐)- <추석(秋夕)> (0) | 2018.08.20 |
---|---|
☞ 왕사희(王士熙/元), <태을궁류제(太乙宮留題)> (0) | 2018.07.31 |
☞ 미우인(米友仁/宋), <제동원하산도(題董源夏山圖)> (0) | 2018.07.23 |
☞ 안희연(顔希淵/淸)- <설도(薛濤)> (0) | 2018.07.22 |
☞ 위야(魏野/北宋) - <동모교거(冬暮郊居)> (0) | 2018.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