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은 전쟁을 원한다(질문의 책 27):저자 자크 파월 | 역자 박영록 | 오월의봄 | 2019.10.1.
책소개 - 인터넷 교보문고
《좋은 전쟁이라는 신화》에서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이유는 자유와 정의 민주주의의 이상을 수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미국의 자본가들과 특권층들의 이익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라고 밝힌 바 있는 자크 파월이 전작에서 한 발 더 나아가 파시즘과 자본주의의 기막힌 밀착 관계를 파헤치는 『자본은 전쟁을 원한다』.
미국 및 독일 대자본과 히틀러 사이의 협력 관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는 책으로, 수많은 책과 자료를 참조해 나치즘과 파시즘이 어떻게 등장했으며, 자본주의와 어떻게 결탁했는지, 독일과 미국 및 기타 국가의 자본가들이 나치즘과 파시즘의 성장을 위해 어떤 일을 했는지 낱낱이 파헤친다.
목차
서문 7
제1부 독일 재계와 히틀러
1장 제국, 전쟁, 그리고 혁명 21
2장 산업, 민주주의, 그리고 독재 36
3장 경제적·정치적 위기 48
4장 “우리가 히틀러를 고용했다” 61
5장 좌파 숙청 69
6장 나치 독재: 누가 이익을 보았는가? 80
7장 제3제국: 복지국가였나? 106
8장 1939~1945년: 히틀러의 전쟁? 124
9장 끝까지 함께! 142
10장 만족하지 못했던 수혜자들 161
막간
다른 곳에서는?: 그들 또한 강력한 지도자를 원했다 169
제2부 미국 재계와 나치 독일
11장 달러의 독일 공세 203
12장 미국 내 히틀러의 지지자와 동업자 217
13장 ‘로젠펠트’보다 히틀러 237
14장 ‘미국산’ 전격전 258
15장 진주만 공격 이후: ‘평시와 다름없이’ 280
16장 전쟁=수익 294
17장 은행가와 정보요원의 역할 306
18장 폭격, 피해와 보상 315
19장 모겐소와 모스크바 사이 326
20장 나치의 과거, 미국의 미래 334
결론: 파시즘과 1945년 이후의 전쟁 348
후기: 역사는 ‘허풍’인가? 355
옮긴이의 말 369
주 373
참고문헌 397
찾아보기 423
책 속으로
히틀러의 계획이 필연적으로 끔찍한 전쟁을 초래할 게 분명한데도 독일의 기업가와 은행가는 조금도 걱정하지 않았다. 그들은 독일이 경제적·군사적으로 충분히 강해서 어떠한 전쟁에서도 승리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들이 볼 때, 그리고 히틀러가 볼 때, 1918년에 독일이 패전한 것은 배신 때문이었다. 독일 내부의 적색 혁명론자와 유대인이 ‘등 뒤에서 칼을 꽂았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따라서 다음 전쟁을 위해서 해야 할 일은 이러한 ‘배신자’들을 제거하는 것뿐이었다. 독일 지배층 역시 전쟁을 두려워하지 않았는데, 이는 총알받이가 될 사람이 자신들이 아니라 서민들이었기 때문이다. -53쪽
히틀러가 권좌에 오른 것은 우리가 자주 들어온 바대로 ‘불가항력적’인 일이 아니었다. 그는 독일 유권자 다수의 표를 받은 적이 없었다. 심지어 심하게 조작되었던 1933년 3월 5일 선거에서조차 그는 과반이 넘는 표와 의석을 얻는 데 실패했다. 광범위한 폭력과 협박, 그리고 독일 재계의 엄청난 재정 지원으로 실행한 프로파간다와 대규모 선거운동에도 불구하고, 국가사회주의독일노동당은 43.9퍼센트라는 실망스러운 득표율을 얻는 데 그쳤다. 1933년 초 히틀러가 집권하게 된 것은 물론이고, 1934년 여름에 총리 겸 대통령이 되면서 무한한 권력을 누리게 된 것도 민주적인 절차를 거친 게 아니었다. -78쪽
히틀러 정권은 독일에서 자본주의체제를 결코 위협했던 적이 없다. 이 정권이 여러 의미에서 사실상 독일 자본주의의 산물 그 자체라는 사실 또한 그다지 놀랄 만한 일은 아니다. 많은 역사학자의 주장과는 다르게, 나치스는 민간기업을 국영기업으로 전환하여 독일의 자본주의체제를 위협하려는 계획을 세운 바가 없다. -90쪽
이 자본주의, 20세기의 자본주의는 소규모 사업가들을 위한 자본주의가 아니라, 대기업과 대형 은행의 대기업가들을 위한 자본주의였다. 전문용어를 쓴다면 ‘독점기업’과 ‘독점자본’을 위한 자본주의였던 것이다. 나치즘하의 독일 경제에 대한 책을 집필한 샤를 베틀레임은 약간의 과장을 섞어 이렇게 설명한다. “나치 정권하에서, 독일 경제는 점점 더 몇몇 독점기업에 장악되어갔다. …… 나치 정부가 기반으로 삼았던 재산이, 나치 정부가 유지·보호·옹호·육성했던 재산이 바로 독점자본가들의 재산이었던 것이다.” -113쪽
전쟁 기간 동안에 유럽 내 유대인 수백만 명이 아우슈비츠나 트레블링카 등의 절멸수용소에서 살해되었다. 어린이나 노인처럼 노동할 만한 힘이 없는 사람들은 수용소에 도착하자마자 가스로 살해되어 화장되었다. 그 외의 사람들은 고된 노동을 감당할 수 있을 때까지만 살아남을 수 있었다. 독일 기업들은 이들의 노동력을 착취하기 위해 수용소 근처에 공장을 지었다. 이게파르벤은 아우슈비츠에 이른바 부나베르크Bunawerk라는 거대한 공장을 지어 합성고무를 생산했다. -130쪽
독일에서 나치즘과 자본주의의 역사는 친밀한 관계의 연대기이자 일종의 러브스토리라고 할 수 있다. 전...쟁이 끝을 향해 가는 동안, 그 관계는 힘겨운 시기를 겪으면서도 그대로 이어졌다. 전쟁이 끝난 바로 그 순간까지, 독일 재계는 나치 정권에 충실했고, 히틀러가 절망적일 만큼 참혹한 전쟁을 계속할 수 있도록 최대한 많은 물자를 생산했다. 역으로 나치 정권도 몰락하는 그날까지 거대 기업과 은행으로 상징되는 자본주의체제에 대한 존중과 신뢰를 보여주었다. -155쪽
역사책이나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에서 1922년에 무솔리니가 다른 사람들의 도움 없이 자신의 힘으로 집권에 성공한 걸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지만, 그건 사실이 아니다. 11년 뒤 히틀러가 그랬듯이 무솔리니도 특권층에 ‘고용’된 것이었다. 그가 권력을 손쉽게 손에 넣을 수 있었던 건 이탈리아의 기득권층, 즉 왕가, 바티칸 성직자, 대지주, 군 수뇌부, 그리고 은행가와 기업가의 솜씨였다. 그들 기득권층은 일반 대중에게 너무나도 많은 것을 내줘야 하는 민주주의체제에 대한 혐오, 혁명에 대한 공포, 노동조합원, 사회주의자, 공산주의자에 대한 증오 때문에 ‘파시즘 옵션’을 선택했다. -170쪽
1930년대에 미국 재계의 반유대주의는 반사회주의 및 반마르크스주의와 동전의 양면을 이루며 이른바 ‘빨갱이 사냥’이라고 불리던, ‘붉은’ 것에 대한 무조건적인 증오로 표출되었다. -248쪽
나치 독일에 지사를 둔 미국 기업의 소유자와 경영진은 히틀러의 승전에 기여한 사실에 대해 죄책감을 조금도 느끼지 않았다. 오히려 일정 부분 자랑스러워했는데, 히틀러의 승리가 곧 그들 자신의 승리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치가 승전을 자축할 때, 제너럴모터스, 포드, 아이비엠 등의 기업이 그들과 함께했다. -267쪽
출판사서평
“그들은 수익을 위해 히틀러를 고용했다”
자본주의와 파시즘의 기막힌 러브스토리
히틀러는 어떻게 세계사에 등장하게 되었는가?
* 독일의 자본가들은 왜 히틀러를 전면에 내세웠는가?
* 미국의 자본가들은 왜 히틀러와 파시즘에 호의적이었을까?
* 독일과 미국 재계는 어떻게 전쟁 중에 막대한 수익을 얻었는가?
* 나치 독재, 누가 이익을 보았는가?
* 강제노동, 노예노동에 시달린 사람들은 누구였는가?
* 독일의 좌파들은 어떻게 몰락해갔는가?
* 독일은 과연 과거사를 철저히 반성하는 국가인가?
* 미국은 어떻게 전쟁지상주의 국가가 되었는가?
대자본과 히틀러 사이의 협력 관계
자크 파월은 전작 《좋은 전쟁이라는 신화》(2017년 출간)에서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이유는 자유와 정의 민주주의의 이상을 수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미국의 자본가들과 특권층들의 이익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라고 밝힌 바 있다. 미국의 자본가들은 파시즘에 극히 호의적이었고,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해 막대한 부를 구축했다. 파월은 이런 대자본가들의 행보를 통해 미국이 말한 ‘좋은 전쟁(Good War)’이란 미국의 ‘대기업(자본)’에게만 ‘좋은’ 것이었을 뿐이라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자국의 정치적, 경제적 이익을 위해 수없이 많은 전쟁을 일으킨 미국의 또 다른 얼굴을 고발한 바 있다.
출판사서평
“그들은 수익을 위해 히틀러를 고용했다”
자본주의와 파시즘의 기막힌 러브스토리
히틀러는 어떻게 세계사에 등장하게 되었는가?
* 독일의 자본가들은 왜 히틀러를 전면에 내세웠는가?
* 미국의 자본가들은 왜 히틀러와 파시즘에 호의적이었을까?
* 독일과 미국 재계는 어떻게 전쟁 중에 막대한 수익을 얻었는가?
* 나치 독재, 누가 이익을 보았는가?
* 강제노동, 노예노동에 시달린 사람들은 누구였는가?
* 독일의 좌파들은 어떻게 몰락해갔는가?
* 독일은 과연 과거사를 철저히 반성하는 국가인가?
* 미국은 어떻게 전쟁지상주의 국가가 되었는가?
대자본과 히틀러 사이의 협력 관계
자크 파월은 전작 《좋은 전쟁이라는 신화》(2017년 출간)에서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이유는 자유와 정의 민주주의의 이상을 수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미국의 자본가들과 특권층들의 이익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라고 밝힌 바 있다. 미국의 자본가들은 파시즘에 극히 호의적이었고,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해 막대한 부를 구축했다. 파월은 이런 대자본가들의 행보를 통해 미국이 말한 ‘좋은 전쟁(Good War)’이란 미국의 ‘대기업(자본)’에게만 ‘좋은’ 것이었을 뿐이라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자국의 정치적, 경제적 이익을 위해 수없이 많은 전쟁을 일으킨 미국의 또 다른 얼굴을 고발한 바 있다.
저자 : 자크 파월
토론토대학, 요크대학, 워털루대학에서 유럽사를 가르쳤다. 《계급 대전, 1914~1918The Great Class War 1914-1918》과 《좋은 전쟁이라는 신화The Myth of the Good War》 등의 저서를 통해 양차 세계대전사에 대한 수정주의적인 시각을 제시한 바 있다. 역사학과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은 재야 학자이다. 현재 온타리오주 브랜터퍼드에 거주하고 있다.
역자 : 박영록
고려대학교와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언론학을 공부했다. 기획, 편집, 번역 등 책과 관련한 여러 가지 일을 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역사는 현재다》 《오늘, 우리는 감옥으로 간다》 《나는 줄리언 어산지다》 등이 있다.
'♣ 책 도서관 ♣ > - 역사,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제 강점기 관련 연구서]개발 없는 개발(개정증보판 2판): 일제하 조선경제 개발의 현상과 본질 (0) | 2019.11.17 |
---|---|
[역사]대항해시대의 탄생 - 세계사의 흐름을 바꾼 위대한 모험 / 송동훈 (0) | 2019.11.16 |
[참고용- 조선시대 서얼차별에 반대하는 문헌을 모은 책]통색촬요[通塞撮要] (0) | 2019.11.04 |
[우리나라 식민지 시대 연구서]일본학자가 본 식민지 근대화론 (0) | 2019.10.30 |
메이지 유신이 조선에 묻다: 일본이 감추고 싶은 비밀들/조용준 (0) | 2019.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