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간지르면’ 안 되는 이유 퐁당퐁당 돌을 던지자/ 누나 몰래 돌을 던지자/ 냇물아 퍼져라 멀리멀리 퍼져라/ 건너편에 앉아서 나물을 씻는/ 우리 누나 손등을 간질러 주어라. 여름날이면 생각나는 동요 ‘퐁당퐁당’의 가사다. 이 가사 가운데 틀린 표현이 있다고 하면 어리둥절해할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다. ‘간질..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6.05.24
[우리말 바루기] ‘때문에’는 혼자 쓰일 수 없다 계절의 여왕이라는 5월은 여행하기에도 좋은 때다. 하지만 비가 종종 내리기도 하고 미세먼지가 발생하기도 한다. 주말에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사람은 비가 오지는 않을까, 미세먼지 농도가 높지는 않을까 신경이 쓰인다. 날씨 예보를 보면 “이번 주말엔 황사가 몰려올 예정입니다. 때..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6.05.13
[우리말 바루기] “어따대고 질투질이야!” ‘태양의 후예’ 드라마를 시청하며 송중기(유시진 대위)의 매력에 푹 빠진 부인들을 보면서 남자들이 은근히 질투를 보낸 모양이다. 인터넷에는 “군대 현실이 다르느니, 기지배처럼 생겼느니 하면서 구시렁거리는데 당신하고는 비교도 되지 않으니까 신경 끄숑. 어따대고 질투질이야!..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6.04.19
[우리말 바루기] 산 너머 조붓한 오솔길 산 ( ) 조붓한 오솔길에/ 봄이 찾아온다네/ 들 ( ) 뽀얀 논밭에도 온다네…. 박인희 노래 ‘봄이 오는 길’의 시작 부분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낱말로 ‘너머’와 ‘넘어’ 가운데 어느 것이 적당할까? ‘너머’는 경계나 높이를 나타내는 명사 다음에 쓰여 가로막은 사물의 저쪽 또는 그 ..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6.03.08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찌라시 4·13총선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음해성 ‘찌라시’가 난무한다. 오죽하면 경찰이 ‘선거 찌라시’를 집중 단속하겠다고 했을까. ‘찌라시.’ 익명성을 이용해 유포하는 사설 정보지나 증권가 정보지를 말한다. 이른바 ‘카더라 통신’이다. 일본어 ‘散らし’를 한글로 옮긴 것..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6.03.03
['-에 관하다/대하다] 사용법 '-에 관하다/대하다.'는 영어 투 표현으로 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으로 쓰지 않기는 어렵습니다. 법원도서관은 '-에 대한'은 '-against'의 번역, '-에 관한'은 '-about'을 번역한 것으로 사용합니다. 되도록 쓰지 않음이 바람직하지만, 쓴다면 두 가지 표현을 구별해서 쓰도록 합니..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6.03.02
띄어 쓰기 기준 1. 의존 명사는 띄어 씁니다. (예) 아는 것이 힘이다. 나도 할 수 있다. 네가 뜻한 바를 알겠다. 그가 떠난 지가 오래다. 2.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씁니다. (예) 한 개 차 한 대 연필 한 자루 집 한 채 3.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다음의 말들은 띄어 씁니다. (예) 국장 겸 ..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6.02.25
[나름대로의]는 - [나름대로, 나름으로, 나름의]로 입력 내용 나름대로의 대치어 나름대로 나름으로 나름의 도움말 우리말 토씨에 '-의'를 남용하는 언어 습관은 일본어의 그릇된 영향 때문입니다. 특별히 강조를 하는 예가 아니면 '나름대로'나 '나름으로' 뒤에 토씨를 붙이지 않는 게 좋습니다. 단 '나름' 뒤에 바로 '의'를 붙일 수 있습니..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6.02.25
[∼에 있어서 /∼에게 있어']는 [~의(~에서)]로 [잘못된 문형] ~에 있어서의 [제시하는 문형] ~의(~에서) '∼에 있어서 '∼에게 있어' 등의 말은 일본말 'に於て'를 그대로 따라 옮겨 쓴 표현이니 좋지 않습니다. 특히, 이 표현은 지식인들이 많이 쓰는 표현으로, 일본에서는 천 년 이상 쓰여왔지만, 우리말에 쓰이기 시작한 것은 최근입니..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6.02.25
접미사 "들"의 옳바른 사용법 최근 우리말에 접미사 '들'을 원칙이 없이 사용하는 예가 매우 흔합니다. 이는 영어의 영향이 크므로 가려서 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우리말에는 '들'이 붙으면 복수의 의미보다는 빈정거림의 뜻으로 쓰이는 예가 많습니다. 따라서 '들'의 사용을 자제하심이 바람직합니다. [문화일..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6.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