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시(漢詩) 마당 ♣/- 우리 漢詩

溪堂雨後 - 白光勳

Bawoo 2018. 1. 6. 22:24


 溪堂雨後       

                                                                                     白光勳

昨夜山中雨[작야산중우] 어제 밤 산속에 비 내리더니

前溪水政肥[전계수정비] 앞 시내에 물이 불었구나

竹堂幽夢罷[죽당유몽파] 죽당에서 그윽한 꿈 깨고 보니

春色滿柴扉[춘색만시비] 봄빛 사립문에 가득하구나.


백광훈 (白光)1537(중종 32), 전남 장흥 ~1582(선조 15)

백광훈은 최경창, 이달과 함께 삼당시인이라 불리며 당풍의 시들을 남겼다. 28세인 1564년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과거를 포기, 정치에 참여할 뜻을 버리고 산수를 방랑하며 시와 서도를 즐겼다. | 최경창·이달과 함께 삼당시인(三唐詩人)이라 불린다. 자는 창경(彰卿), 호는 옥봉(玉峰). 원래 관향은 수원이지만 선조가 해미(海美)로 귀양와 대대로 머물러 살았으므로 해미가 본관이다. 아버지는 부사과(副司果)를 지낸 세인(世仁)이며, 〈관서별곡 關西別曲〉으로 유명한 광홍(光弘)의 동생이다.


이후백·박순에게 수학했으며 22세에는 진도에 귀양와 있던 노수신에게 배웠다. 28세인 1564년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과거를 포기, 정치에 참여할 뜻을 버리고 산수를 방랑하며 시와 서도(書道)를 즐겼다. 그가 과거를 포기하게 된 구체적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한미한 가문과 당대의 정치적 상황에서 연유한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36세인 1572년 명나라 사신이 오자 노수신의 천거로 백의제술관(白衣製述官)이 되어 시와 글씨로 사신을 감탄하게 해 명성을 얻었다. 1577년 선릉참봉(宣陵參奉)이 되었으며, 이어 정릉(靖陵), 예빈시(禮賓寺), 소격서(昭格署)의 참봉을 지내면서 서울에 머물렀다. 그에게 관직생활은 만족스러운 것이 아니었지만 토지를 바탕으로 하는 경제적 기반이 미약했기 때문에 유일한 호구책으로 계속 관직에 머물러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는 삼당시인으로 불리는 만큼 당풍의 시들을 남겼다.


그의 시는 대부분 순간적으로 포착된 삶의 한 국면을 관조적으로 그리고 있는데, 전원의 삶을 다룬 작품들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안정과 평화로 가득 찬 밝은 분위기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현실에서 오는 고통과 관직생활의 불만에 의해 상대적으로 강화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이정구는 그의 문집 서(序)에서 "시대와 맞지 않아 생기는 무료·불평을 시로써 표출했다"고 하면서 특히 절구(絶句)를 높이 평가했다. 글씨에도 일가를 이루어 영화체(永和體)에 빼어났다. 1590년 강진의 서봉서원(瑞峰書院)에 제향되었다. 〈옥봉집〉이 전한다.[다음백과]



'♣ 한시(漢詩) 마당 ♣ > - 우리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寓興 - 崔致遠  (0) 2018.01.09
春日邀知友不至- 崔致遠  (0) 2018.01.07
暮春宿光陵奉先寺 - 李端相   (0) 2018.01.05
除夕 - 李敏求  (0) 2018.01.04
題梁州客舍壁 - 鄭誧[정포]  (0) 2018.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