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光物態弄春暉 莫爲輕陰便擬歸
(산광물태롱춘휘 막위경음편의귀)
縱使晴明無雨色 入雲深處亦沾衣
(종사청명무우색 입운심처역첨의)
산색과 만물의 자태 봄빛을 희롱하는데
어둑한 구름 때문에 돌아서서는 아니 되리
비록 갠 날이라 맑고 비 기운 없더라도
안개 짙은 곳으로 들어가면 옷을 적시나니
☞ 장욱(張旭/唐), <산중유객(山中留客)>
- 春暉: 봄빛(春光).
- 輕陰: 먹구름(陰雲).
- 便擬歸: 돌아갈 생각을 하다.
- 縱使: 가령, 설사(縱然/卽使).
- 雲: 안개 기운(霧氣).
가져온 곳 :
장욱 (張旭, Chang Hsu)
중국 당대 중엽의 서예가. (병). Zhang Xu. (웨). Chang Hs. | 자는 백고. 오군 사람이다. 관직은 금오장사를 지냈다. 서법에 정통했으며, 초서로 가장 이름을 떨쳤다. 자유분방한 기세와 독특한 형상, 끊이지 않고 이어지는 새로운 풍격을 갖추었다.
안진경(顔眞卿)이 일찍이 그에게 필법을 가르쳐달라고 청한 적이 있다. 광초로 명성을 얻고 후세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회소가 그의 초서법을 계승·발전시켰다. 당시에 그의 서법은 이백(李白)의 시가, 배민의 검무와 함께 '3절'로 불렸다. 전해지는 얘기로는 그가 종종 크게 취한 뒤 고함을 지르며 미친 듯이 돌아다닌 뒤 붓을 들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를 '장미치광이'[張顚]라고 불렀다고 한다.
장욱은 시도 잘 지었는데, 특히 칠언절구에 뛰어나 하지장(賀知章)·장약허·포융과 함께 '오중4사'로 불렸다. 해서로는 비각 〈낭관석기 郎官石記〉가 있으며, 현재 전하는 〈초서고시사첩 草書古詩四帖〉은 그의 친필이다.[다음 백과]
'♣ 한시(漢詩) 마당 ♣ > - 중국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숙륜(戴叔倫/唐), <소계정(蘇溪亭)> (0) | 2018.04.05 |
---|---|
장유한(蔣維瀚/唐), <춘녀원(春女怨)> (0) | 2018.04.04 |
題稚川山水 - 戴叔倫 (0) | 2018.03.31 |
신기질(辛棄疾/南宋), <자고천·대인부(鷓鴣天·代人賦)>(二首其一) (0) | 2018.03.28 |
대숙륜(戴叔倫/唐), <춘강독조(春江獨釣) (0) | 2018.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