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러)드로 학살[Ludlow Massacre]
Part of Colorado Coalfield War
루드로 학살 후 잔해
[Ruins of the Ludlow Colony in the aftermath of the massacre]
루드로 학살은 1914년 4월 20일 콜로라도 주 방위군의 미국 콜로라도주 루드로의 탄광 광부와 그들의 가족 등 1,200명이 거주하는 천막촌에 대한 공격으로 어린이 11명이 포함된 20명의 사망자를 낸 사건이다. 이러한 희생은 파업 노동자와 탄광 보안대 사이의 한나절 동안의 싸움 끝에 발생했다. 여자 2명, 어린이 11명, 노조 광부 6명과 보안요원 1명이 사망하였다. 이 사건 후, 광부들은 자체적으로 무장하고 십여개의 광산을 공격하여 기물을 파손하고 콜로라도 주방위군과 충돌하였다.[2][3]
루드로 학살은 콜로라도 남부의 1913년~1914년 14개월간의 탄광 파업 사건 중 가장 끔찍한 사건이었다. 파업은 콜로라도의 석탄 채굴 회사에 대해 미국 광부 노조(United Mine Workers of America, UMWA)에 의해 주도되었다. 당시 가장 큰 세 광산회사는 록펠러 가문소유의 콜로라도 퓨얼 & 아이언 컴퍼니(Colorado Fuel & Iron Company, CF&I), 로키 마운틴 퓨얼 컴퍼니(Rocky Mountain Fuel Company, RMF), 그리고 빅터-아메리칸 퓨얼 컴퍼니(Victor-American Fuel Company, VAF)였다. 콜로라도주 트리니다드 북서쪽 19Km에 위치하고 있는 루드로는 현재 유령 도시이다. 파업광부들과 그날 죽은 가족들을 기리기 위한 화강암 위령비가 세워진 대량 학살 장소는 미국광부노조 소유이다.
목차
- 1배경
- 2파업
- 3학살
- 4결과
- 5영향
- 6희생자
- 7각주
- [출처:위키백과]
- -----------------------------------------------------------------
- 러들로 학살 - 나무위키2020.05.25.그러자 회사는 민병대를 고용했고, 텐트촌이 있는 러들로로 파견했다. 민병대는 곧 천막촌을 포위했고...주방위군을 보내기에 이르렀다. 2.2. 학살[편집] 당시 사건을 다룬 잡지의 표지[3] 이 안에서 어린이와...namu.wiki/w/러들로 학살 나무위키 ==============================
- Ludlow Massacre영어 위키백과
- The Ludlow Massacre was an attack by the Colorado National Guard and Colorado Fuel & Iron Company camp guards on a tent colony of 1,200 striking coal miners and their families at Ludlow, Colorado, on April 20, 1914. Some two dozen people...
- [정보]책:
트리플 버블(양장본 HardCover)저자 한상완, 조병학 | 인사이트앤뷰 | 2021.3.3“지금 자산시장에는 거대한 삼각파가 밀려오고 있다. 공급 측면에는 원자재 슈퍼사이클이 시작되었고, 수요 측면에는 2021년 말까지 지속할 시간 왜곡이 억눌린 잠재 수요의 활시위를 팽팽히 당기고 있다. 이 두 가지 거대 파도가 서로 맞부딪히는 머리 위로 파월-옐런의 유동성 태풍이 휘몰아치면서 사상 초유의 트리플 버블이 형성될 것이다.”
“2022년은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초인플레이션이 현실화할 것이다. 부동산시장은 용광로처럼 뜨거울 것이며, 주식시장은 연일 신고가 행진을 거듭할 것이다. 그리고 드디어 각국 중앙은행들은 선택의 여지 없이 자국 화폐 가치방어에 경쟁적으로 나설 것이다. 전 세계는 순식간에 고금리 세상으로 뒤바뀔 것이며, 시장은 급속하게 무너져내릴 것이다. 2023년은 트리플 버블이 붕괴하는 해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도 버블 붕괴의 쓰나미를 피해갈 수는 없다. 오히려 다른 나라보다 쓰나미가 더 크게 덮칠 것이다. 우리나라는 개방 경제라는 한계는 물론, 가계 건전성이 취약하다는 문제도 있다. 붕괴는 부동산시장에서 시작된다. 그렇게 뜨겁던 부동산시장이 무너지면서 위기가 발생하고, 다시 급격한 수요위축을 불러 주식시장도 폭락의 길로 들어서게 될 것이다.”
현명하게 대처하는 사람은 존 F. 케네디의 아버지처럼 막대한 부를 거머쥐는 기회로 활용할 것이고, 그렇지 못한 99.9%는 그동안 이룩한 조그만 자산을 모두 잃고 폐허에서 다시 시작해야 할 것이다. 여러분은 어느 쪽이 될 것인가?
'♣ 역사(歷史) 마당 ♣ > < 미국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이 자국의 불황을 타개하기 위해 만든 보호무역 관세법]스무트 할리 관세법(Smoot–Hawley Tariff Act) (0) | 2021.05.27 |
---|---|
[흑인 노예 제도 폐지론자, 여성 권리 운동가]소저너 트루스(Sojourner Truth) (0) | 2021.05.26 |
[강철왕 카네기의 노조 탄압 사건]홈스테드 학살 사건(Homestead massacre) (0) | 2021.05.20 |
[도쿄 대공습과 한국전쟁 시 북한 폭격을 주도한 인물]커티스 에머슨 르메이[Curtis Emerson LeMay] (0) | 2021.05.19 |
[일본이 세계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는 데 기여한 품질관리방식의 주창자]W. Edwards Deming (0) | 2021.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