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燈(추등) -가을 등불
雅鬟小婢上燈初(아환소비상등초) : 꼽게 쪽진 머리 계집종이 등불을 켜니
珠箔迴廊影動虛(주박회랑영동허) : 珠箔 드리운 회랑에 그림자 일렁인다
翠被生寒思無限(취피생한사무한) : 푸른 이불 차갑고 상념 무한할 제
鏡坮深處讀情書(경대심처독정처) : 경대 깊이 감추어둔 情書를 꺼내 읽네
-----------------------------------------
秋燈(추등) -가을 등불
月鉤西沒掩茅亭(월구서몰엄모정) : 갈고리처럼 걸린 달 서편으로 지고 모정은 닫혔는데
四壁蛩聲一豆靑(사벽공성일두청) : 네 벽엔 귀뚜라미 울음소리 파란 콩알 하나
賴有蜻蜓雙眼在(뢰유청전쌍안재) : 잠자리처럼 빛나는 두 눈 있음에 의지하나니
不須辛苦捉流螢(불수신고착류형) : 애써 나는 반딧불 잡을 필요 없다네.
-------------------------------------------
秋月(추월) - 가을 달
秋月楊州過二分(추월양주과이분) : 가을 달 양주를 이푼 쯤 지나가는데
如何此夜不思君(여하차야불사군) : 이 밤 그대를 생각하지 않고 어이 보내리
無人無酒無笙院(무인무주무생원) : 사람도 없고 술도 없고 笙院도 없나니
卻願長空點綴雲(각원장공점철운) : 외려 드넓은 하늘에 구름이 깔리길 바라노라.
---------------------------------------------
秋花(추화)
開遍蓼花香一溪(개편요화향일계) : 활짝 핀 여뀌꽃 향기 시내에 가득한데
漁家寂寞不成蹊(어가적막불성혜) : 강가의 집 적막하여 오솔길 자취 없어라
縱然水曲飄零盡(종연수곡표령진) : 설령 물굽이에 흩날려 떨어져 다할지라도
猶勝春江踐作泥(유승춘강천작니) : 외려 봄 강 진흙탕에 밟힘 보다는 나으리
-----------------------------------------------
秋月(추월)
凉蟾獨往無人見(량섬독왕무인견) : 차가운 달 홀로 지나가고 보는 사람 없는데
宛轉墻頭漸度堦(완전장두점도계) : 사뿐히 담장가를 지나 섬돌을 건너간다
偏向砧停燈滅處(편향침정등멸처) : 다듬이질 소리 멈추고 등불 꺼진 곳 비추니
碧紗窓外照紅鞋(벽사창외조홍혜) : 푸른 깁사창 밖에 붉은 가죽신 놓여있네.
'♣ 한시(漢詩) 마당 ♣ > - 우리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봉 정도전(鄭道傳) 선생 가을 노래 시 3수 (0) | 2014.10.20 |
---|---|
정학연(丁學淵) 선생 가을 시 모음 (0) | 2014.10.13 |
정학연(丁學淵) 선생 한시 모음(1) (0) | 2014.10.08 |
가을을 노래한 한시 몇 수 (0) | 2014.10.02 |
가을을 노래한 한시 3수 (0) | 2014.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