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초고층 빌딩의 저주"

Bawoo 2013. 8. 24. 17:28

*역사적으로 볼 때 초고층 빌딩이 완공되면 경제가 붕괴된다는 이론. 경제학자 앤드루 로렌스가 1999년 '초고층 건물 지표(Skyscraper index)라는 개념을 처음 제시했는데 이에 따르면 초고층 건물 사업의 참여는 일종의 도박과 같은 것이어서 '부동산 가격이 다른 자산에 비해 빠른 속도로 상승할 것이라는 확신과 낮은 금리가 뒷받침 되어야만 투자 결정이 가능하다고 한다.즉 과잉투자,통화팽창,투기적 성향의 거래가 나타나는 경기 확장기에만 초고층 프로젝트가 추진될 수 있다는 것이다.그런데 초고층 빌딩에 투자가 결정된 다음 완공되기 까지 소요되는 몇년의 기간동안 호황기의 불꽃이 사라지면서 거품이 붕괴되기 시작하는 패턴이 역사적으로 반복되었다고 한다.

 

그 역사적 사례로,

 

1.1930년 319m 77층에 이르는 뉴욕 크라이슬러 본사가 완공되고 1931년 381m102층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이 완공된 후 곧바로 대공황 시작됨.

 

2.1973년 뉴욕 417m 110층 세계무역센터,1974년 시카고 442m 110층 시어스 타워 완공후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3.1997년 말레이지아 쿠알라룸프르 457m 88층 페트로나스 타워 완공후 동아시아 금융 위기 발생.

 

4.2010년 두바이 828m 160층 부르스칼리파 완공후 두바이 파산을   들고 있습니다.

 

세계 대공황이나 동남아 금융위기가 위에 얘기한 한가지 이유 때문만은 아닌 복합적인 요인이 두루 작용한 것으로 봐야되니 위 이론이  100% 정확하다고는 할 수는 없으나 참고는 해봐야 될 이론 같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경우 2016년까지 100층이 넘는 건물이 10개 지어진다는데 위 이론 때문인지는 몰라도 외국인들이 서울에 보유한 부동산 약 9.3%를 2008년 부터 매각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구체적인 수치까지 제시하고 있어 신빙성이 있어 보이는데 참고 자료로 활용 여부는 전적으로 이 글을 읽는 분들의 몫입니다.저도 문외한의 입장에서 이런 이론이 있구나 하고 참고하는 수준이니까요^*^

 

* 출처:최윤식 지음 '2030 대담한 미래'라는 책 202쪽.

 

 

*추가:'앤드루 로렌스'를 검색해보니 위에 소개한 책에는 없는 내용인데 중국과 인도의 고층빌딩 건설 붐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는군요.중국과 인도의 경기도 문제가 있다는 뜻으로 해석이 되는데 관심있는 분은 검색해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