次贈金生亭子韻
-李炯胤
[소주횡고도]작은 배 저어 옛나루에 이르니
[도구수가촌]그 나루터엔 집 몇 채뿐인 마을
[행객욕투안]나그네 강가에 배 대려 하니
[주인유엄문]주인들 문 닫아거는구나
[시정최백우]시정(詩情)이 우레처럼 일어나는데
[야색근황혼]들판이 황혼빛이로구나
[각억전춘일]문득 지난 봄날 생각하며
[심음득의헌]홀로 난간에 기대어 읊조려본다
橫:가로질러
白雨:큰 물방울이 공중에서 갑자기 찬 기운을 만나 얼어 떨어지는 덩어리 /① 뇌우(雷雨) ② ‘雹’(우박)의 다른 이름
6째 구 夜色은 문맥상 野色이 맞는 거로 보임.
이형윤 (李炯胤) [1593~1645]은 인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승(汝承)이다. 중종의 다섯째 아들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1524~1581]의 증손이자 구천군(龜川君) 이수(李晬)[1569~1645]의 장남이다. 종시(宗試)에 두 번 장원하여 봉래수(蓬萊守)에 제수되었다가 명선대부(明善大夫)와 정의대부(正義大夫)를 거쳐 군(君)에 봉해졌다. 또 오성(鰲城) 이항복(李恒福)과 일송(一松) 심희수(沈喜壽)과 장시관(場試官)으로 만나보고는 종실(宗室)에서 영재가 나왔다고 칭송하였다.
아버지인 이수(李晬)가 이이첨(李爾瞻)[1560~1623]을 탄핵하다가 전라도 순천(順天)으로 귀양가게 되자 함께 내려가서 지극정성으로 봉양한 후 무사히 상경하였다. 1624년(인조2) 이괄(李适)[1587~1624]의 난과 1627년 정묘호란(丁卯胡亂) 때에도 왕을 호종(扈從)하였으며 부총관(副摠管)을 역임하였다. 죽은 뒤 임금이 예관(禮官)을 보내 제(祭)을 올리고 유사(有司)에게 명하여 부의(賻儀)를 하사하였다. 시를 잘 지어 유고(遺稿) 2권을 남겼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
'♣ 한시(漢詩) 마당 ♣ > - 우리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博義洞還來 - 許源 (0) | 2017.03.21 |
---|---|
文殊寺贈熙上人 -崔大立 (0) | 2017.03.19 |
寄竹陰- 申翊聖 (0) | 2017.03.17 |
차수헌(次睡軒)-김일손(金馹孫) (0) | 2017.03.16 |
茵橋 인교에서 / 李詹 (0) | 2017.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