開聖寺八尺房
-鄭知常
百步九折登巑岏(백보구절등찬완) : 꼬불꼬불 험한 산 올라가니
寺在半空唯數間(사재반공유수간) : 아담한 절이 반공에 떠 있구나
靈泉澄淸寒水落(영천징청한수락) : 바위에선 맑고 차가운 샘물 떨어지고
古壁暗淡蒼苔斑(고벽암담창태반) : 오래된 담벽에는 푸른 이끼 얼룩져 있구나
石頭老松一片月(석두노송일편월) : 바위 위 늙은 소나무엔 조각달 걸려있고
天末雲低千點山(천말운저천점산) : 하늘 끝 구름 아래에는 수많은 산들
紅塵萬事不可到(홍진만사불가도) : 속세의 온갖 일 이르지 못하니
幽人獨得長年閑(유인독득장년한) : 오로지 그대만이 한가롭구나
巑岏:산이 똑바로 정렬된 모양
[서예습작]
정지상(鄭知常, 1068년 ~ 1135년)은 고려 중기 인종(仁宗) 때의 문신(文臣)이자 시인이다. 서경(西京) 출신으로 초명은 지원(之元), 호는 남호(南湖)이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노씨(盧氏) 슬하에서 성장했다. 어려서부터 기억력이 좋고 글씨를 잘 썼으며, 이미 5세 때에 강 위에 뜬 해오라기를 보고 “어느 누가 흰 붓을 가지고 을(乙)자를 강물에 썼는고(何人將白筆 乙字寫江波).”라는 시를 지었다고 한다. 자라서는 문학뿐 아니라 역학(易學)과 불교 경전에도 뛰어났고, 그림 · 글씨에 능했으며 노장철학(老莊哲學)에도 조예가 깊었다. 묘청(妙淸), 윤언이 등과 함께 서경 천도와 칭제건원을 주장하였으며, 후일 묘청이 서경에서 일으킨 반란(묘청의 난)의 주요 관련자라는 이름으로 김부식에 의해 처형당했다.[위키백과]
'♣ 한시(漢詩) 마당 ♣ > - 우리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月桂寺晩眺 - 陳澕 (0) | 2017.04.08 |
---|---|
遊智異山 - 李仁老 (0) | 2017.04.04 |
증 청평이거사(贈淸平李居士) - 곽여(郭輿) (0) | 2017.04.02 |
涇州龍朔寺-朴仁範 (0) | 2017.04.01 |
:送別蘇判書世讓 - 黃眞伊 (0) | 2017.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