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1457

[이도국의 영남좌도 역사산책] 경상도 재지문중과 만인소

[이도국의 영남좌도 역사산책] 경상도 재지문중과 만인소:2020-10-23] [m.yeongnam.com/view.php?key=20201023010001286] [이도국의 영남좌도 역사산책] 경상도 재지문중과 만인소 숙종 20년(1694)은 영남 남인이 마지막으로 피 흘린 해였다. `갑술환국`이라 일컫는 그해 이후 100년 동안 영남인은 미천한 시골선비로 취급받으며 당상관 보임은 하늘의 별따기.. m.yeongnam.com 사도세자 恨 풀고자 모인 경상도 유생…정조는 이 疏를 보고 통곡했다 2023년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만인의 청원, 만인소'. 숙종 20년(1694)은 영남 남인이 마지막으로 피 흘린 해였다. '갑술환국'이라 일컫는 그해 이후 100년 동안 영남인은 미천한 시골선비로 취급받..

[오스만 제국 -해군 제독 겸 지도 제작자]아흐메드 무힛딘 피리 제독(Ahmed Muhiddin Pîrî Reis)

피리 레이스의 지도의 일부. 아흐메드 무힛딘 피리 제독(Ahmed Muhiddin Pîrî Reis, 1465년 ~ 1553년)는 오스만 제국의 해군 제독이자 지도 제작자이다. 16세기 무렵의 지도들 중에서 당시까지의 가장 정확한 아메리카의 지도를 그려낸 것으로 유명한 인물이다. 생애 다르다넬스 해협에 접한 항구도시 겔리볼루(갈리폴리)의 출신으로, 본명은 아흐메트 무힛딘이며 흔히 말하는 레이스는 「선장」을 의미하는 오스만 제국에서의 「함대 제독」에 대한 경칭이다. 아버지인 하지 메흐메트의 사후, 숙부로 오스만 제국 함대의 제독이었던 케말 레이스에 의해 오스만 제국 해군의 군인이 되었다. 젊은 무렵 숙부에 따라서 스페인에 병합되고 있던 안달루시아의 이슬람교도들을 구원하기 위해 이베리아에 파견된 함대에게 참..

[일본의 나이팅게일로 불리운 여성]니지마 야에(新島八重)

니지마 야에(일본어: 新島八重, 1845년 12월 1일 ~ 1932년 6월 14일)는 일본의 간호사이자, 교육자이며, 본명은 야마모토 야에코(일본어: 山本八重子)이며, 흔히 알려진 성인 니지마(일본어: 新島)는 그녀의 두번째 남편인 니지마 조의 성을 따른 것이다.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종군 간호사로 참여하였다. 생애 무쓰 국의 아이즈 번에서 막부에 납품하는 총기를 제작하는 기술자인 야마모토 곤파치의 딸로 태어난 야에는 아버지로부터 총기의 제작 기술을 배워 총기 기술자로 활동하였고, 이때에 가와사키 쇼노스케와도 결혼하였다. 그러나 당시에 일어난 보신 전쟁과 그 후신으로 일어난 하코다테 전쟁에서 아이즈 번이 도쿠가와 막부의 편을 들었다가 패하는 바람에 이 전쟁에 종군한 사무라이인 남편 가와사키 쇼노스케는..

[필리핀 -마젤란이 살해당한 전투]막탄 전투(Battle of Mactan)

세부에서 막탄 섬의 위치 막탄 전투(Battle of Mactan)는 1521년 4월 28일 세부의 막탄 섬에서 마젤란이 이끄는 스페인군과 라푸라푸가 이끄는 원주민들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막탄 섬의 원주민 지도자 라푸라푸는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이끄는 라자 후마본의 군대에 대항해서 마젤란을 격살했다. 배 페르디난드 마젤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521년 3월 16일, 마젤란은 말라카 제도로 향하는 서진 항로를 찾기 위한 임무로 현재의 마사르 산맥을 관찰하고 있었다. 이 사건은 군도에 유럽인이 도착한 최초의 사건이었다. 다은 날, 마젤란은 호모논 섬의 해안에 병사들에 배를 정박하라고 명령을 내렸다.[1] 그곳에서 마젤란은 라자 쿨람부와 이후 세부로 안내해 준 리마사와 부족의 추장이었던 라자 시아구와 친교..

[필리핀-마젤란을 죽인 막탄섬 영주]라푸라푸(Lapu - Lapu)

막탄 섬의 라푸라푸 상 라푸라푸(Lapu - Lapu 1491년 - 1542년)는 필리핀 막탄 섬(세부 섬의 동쪽 앞바다)의 영주이며, 이슬람 부족장이다. 페르디난드 마젤란은 세계 일주 항해 도중에 필리핀에 내항하여 기독교로 개종하고 스페인에게 복종할 것을 요구했다. 라푸라푸는 1521년 4월 27일 새벽에 그러한 부당한 요구에 저항하여 막탄 전투에서 마젤란의 군대를 격파한 후, 마젤란을 죽였다. 이 전투는 마젤란의 탐사를 중단시켰고, 필리핀 섬의 스페인 점령을 1564년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의 탐사대가 올 때까지 40년 이상 지연시켰다. 세부의 라자 후마본의 라이벌이라는 것 외에는 라푸라푸의 생애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현존하는 유일한 삶의 기록은 안토니오 피가페타가 쓴 문서이다. 그의 이..

모리슨 호 사건-이국선 타격령

모리슨 호 사건 미국 상선 모리슨 호 모리슨 호 사건(일본어: モリソン号事件, Morrison Incident)은 1837년(덴포 8년) 일본인 표류민(오토키치 등 7 명)을 태운 미국 상선 모리슨 호를 일본 측 포대가 포격한 사건이다. 가고시마 만, 우라가 앞바다에 나타난 미국의 상선 ‘모리슨 호’(Morrison)에 대해 사쓰마 번 우라가 봉행이 〈이국선 타격령〉에 따라 포격을 했다. (에도 만에 포격을 명령받은 것은 오다와라 번 그리고 가와고에 번이다.) 그러나 이 모리슨 호에는 마카오에서 보호하고 있던 일본인 표류민 오토키치, 쇼조, 주사부로 등 7명이 타고 있으며, 모리슨 호는 이 일본인 표류민 송환과 통상, 포교를 위해 내항했던 것이 1 년 후에 나타나 이국선 타격령에 대한 비판이 강해졌다. ..

[오스만 터어키]술레이만1세와 황후 록살레나

술레이만1세(1520-1566년 재위) 술탄 술레이만 1세 술레이만1세는 오스만 투르크 제국을 최전성기로 올려놓았다는 평가를 받는 술탄으로 '입법자'또는 '술래이만 대제(大帝)‘로 불리는 인물이다. 46년에 이르는 재위기간동안 무수히 많은 전쟁을 승리로 이끌어 서유럽에서 조차 존경받는 술탄이다. 술레이만은 고대 이스라엘의 지혜로운 군주 솔로몬의 터키식 이름이다. 그는 1453년 콘스탄티노플을 공략하여 비잔틴 제국을 역사의 무대에서 끌어 내린 오스만 투르크의 7대 술탄 메흐메트 2세의 증손자이다. 할아버지 바예지드 2세와 아버지 셀림 1세 치세를 거쳐 1520년 26살 때 오스만 투르크 제국의 10대 술탄이 되었다. 조선 중종15년이 되는 해다. 셀림 1세가 술탄의 지위를 넘볼 가능성이 있는 술레이만 1세..

[기독교 전설]Presbyter Johannes[프레스터 존,사제왕 요한]

사제왕 요한 토그릴 완 칸 사제왕 요한(Presbyter Johannes) 전설은 중세 시대에 동방(東方) 어딘가에 거대하고 풍요로운 기독교 왕국이 있다는 이야기이다. 프레스터 존(Prester John)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사제왕 요한의 이야기는 12세기 초반에서 17세기 초반까지 유럽에서 유행했다. 동방의 무슬림과 온갖 이교도들의 나라 너머에 있다는 이 기독교 왕국에 대한 이야기는 기록에 따라 약간 다르지만, 중세 시대 유럽에서 유행하던 여러 판타지가 섞여있다. 전설에 따르면 사제왕 요한은 세 명의 동방 박사 중 한 명의 후손이며, 관대한 군주이며 덕을 갖춘 사람이었다고 한다. 그의 부유한 왕국은 청춘의 샘 같은 온갖 신기한 것들로 가득하며 에덴 동산에 맞닿아 있었다고 한다. 몽골이 사실상 공중분해..

[맘무크 왕조- 8대 술탄]알 만수르 칼라운

칼라운(이집트 아랍어: قلاوون}), 1222년 ~ 1290년)은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의 제8대 술탄(재위:1279년 ~ 1290년)이다. 이름이 길어서 줄인 명칭인 만수르 칼라운이라고도 불린다. 생애 킵차크족 출신의 투르크인 노예였다. 제5대 술탄 바이바르스에게 발탁되었다. 물론, 칼라운 자신도 역량이 있었기 때문이지만, 바이바르스가 그가 같은 투르크 출신이라는 점이 들어 시중으로 삼았다. 대 몽골전이나 시리아·팔레스타인 방면의 전투로 무공을 쌓아 바이바르스에게 중용되었고, 마침내는 바이바르스의 아들 바라카과 자신의 딸의 결혼이 성사가 되어 외척이 되는 등, 두각을 나타냈다. 1277년에 바이바르스가 사망하자, 외척관계 였던 바이바르스의 아들 바라카가 뒤를 이었지만, 1279년에 쿠데타를 일으켜 술..

[리스트의 딸, 바그너의 아내]코지마[Cosima Wagner ]

코지마 바그너[Cosima Wagner] 바그너(Cosima Wagner)와 그녀의 딸 독일의 작곡가 리하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의 두번째 아내이다. ⓒ Louis Held/wikipedia | Public Domain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인 프란츠 리스트와 마리 다구 백작부인 사이에 태어난 사생아였다. 이 두 사람 사이에는 2명의 아이가 또 있었는데 리스트는 나중에 이 아이들을 적출(嫡出)로 받아들여 교육시켰으며 딸들에게는 결혼지참금을 주었다. 코지마와 여동생 블란디네는 파리에서 아버지의 정부(情婦)인 비트겐슈타인 공작부인이 고용한 가정교사에게서 교육받은 뒤 베를린으로 건너가 한스 폰 뷜로의 어머니 집에서 교육을 받았다. 1857년 당대의 뛰어난 지휘자이자 리스트의 애제자인 한스 폰 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