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1457

[고흐 등 인상파 화가에게 영향을 준 우키요에 화가]가츠시카 호쿠사이(葛飾 北斎, Katsushika Hokusai)

가쓰시카 호쿠사이 가츠시카 호쿠사이(일본어: 葛飾 北斎, かつしか ほくさい, 1760년 10월 31일? ~ 1849년 5월 10일) Katsushika Hokusai는 일본 에도 시대의 우키요에 화가이다. 삼라만상 그 어느 것도 그려냈으며, 전 생애 동안 3만 장을 넘는 작품을 발표하며 판화 외에 직접 그린 그림도 걸출했다. 고흐 등, 인상파의 색채에도 영향을 주었다. 대표작으로 《부악삼십육경》(일본어: 富嶽三十六景 후가쿠 산주롯케이[*]), 《호쿠사이 만화》(일본어: 北斎漫画 호쿠사이 만가[*]) 등이 있다. 생애 호를 서른 번 바꾸고, 아흔세 번 이사하다 그는 서른 번이나 호를 바꿨다. 제자에게 호를 넘기기 위해서라는 설도 있었다. 아흔세 번을 넘는 이사에 대한 이야기도 유명한데(하루 만에 세 번이나..

[러일전쟁 시 만주군 총사령관]고다마 겐타로(児玉源太郎)

고다마 겐타로(일본어: 児玉源太郎, 1852년 4월 14일(가에이 5년 2월 25일) ~ 1906년(메이지 39년) 7월 23일)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이며 화족이다. 러일 전쟁 당시에 만주군 총참모장으로 참전하여 승리에 공헌한 명장으로 알려져 있다. 타이완 총독, 육군대신, 내무대신, 문부대신, 육군참모총장 등을 역임하였고, 육군대장 정2위 훈1등 자작이다. 1852년에 조슈 번의 지번 도쿠야마 번의 중급 무사(100석) 고다마 한쿠로(児玉半九郎)의 장남으로 스오 국 츠노 군 도쿠야마 촌(현재 야마구치현 슈난시)에서 태어났다. 5살 때에 아버지가 사망하자 누나 히사코(久子)의 남편으로 가독을 승계한 고다마 지로히코(児玉次郎彦)에게서 양육되었다. 그러나 13살 때에 고다마 지로히코가 좌막파의 테러에 의..

[말을 타고 500여 일에 걸쳐 유라시아를 횡단한 인물]후쿠시마 야스마사 (Fukushima Yasumasa, 福島安正)

후쿠시마 야스마사 후쿠시마 야스마사(일본어: 福島安正, 1852년 10월 27일 ~ 1919년 2월 19일)는 일본 제국의 육군군인, 화족이다. 최종 계급은 육군 대장이다. 작위는 남작. 시나노 마쓰모토 성하(지금의 나가노현 마쓰모토시)에서 마쓰모토 번사 후쿠시마 야스히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위키백과- 해설자료 빈약] ==================================== Fukushima Yasumasa was a general in the Imperial Japanese Army. Life and military career Fukushima was born to a samurai family; his father was a retainer to the daimyo of Matsumoto..

[나치독일의 압박을 피해 온 유대인에게 도움을 줘 이스라엘 건국의 공로자로 인정받은 인물] 히구치 기이치로(樋口 季一郎)

히구치 기이치로(일본어: 樋口 季一郎, 1888년 8월 20일 ~ 1970년 10월 11일)는 일본의 군인이다. 최종계급은 육군 중장이며, 보직은 제5방면 군사령관 겸 북부군관구사령관이었다. 이스라엘 건국공로자로 인정받았다. 일본 효고 현 미나미 아와지 시에서 5형제 가운데 맏아들로 태어났다. 11살 때 부모가 이혼하여 어머니가 그를 맡게 되었다. 18살 때는 기후현 오오타니 시의 히구치 가문에 양자로 들어갔으며 육군사관학교에 진학하여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육군대학교를 거쳐 장교가 되고 나서는 주로 만주와 러시아쪽 부서에서 근무하였다. 하얼빈 특무기관장(소장)으로 재직했던 1938년에 나치 독일의 박해를 피해 온 유대인을 부하인 대좌(한국군의 대령에 해당)와 함께 여러 편의를 제공하고 이들이 만주국과..

교장과 사환 월급이 같은 학교, '빨갱이'로 몰려 죽은 설립자

교장과 사환 월급이 같은 학교, '빨갱이'로 몰려 죽은 설립자 교장과 사환 월급이 같은 학교, '빨갱이'로 몰려 죽은 설립자 [오마이뉴스 박만순 기자] ▲ 1930년대 중반 강성갑-오중은 부부(출처: 홍성표) ⓒ 박만순 "조카, 느그 아버지 시신이 발견됐데이.""정말입니꺼?" 큰아버지 강갑이의 연락을 받은 강성갑의 아 news.v.daum.net 김해 진영의 '나눔의 철학' 교육가 강성갑.. 추모 동상만 덩그러니 [오마이뉴스 박만순 기자] ▲ 1930년대 중반 강성갑-오중은 부부(출처: 홍성표) ⓒ 박만순 "조카, 느그 아버지 시신이 발견됐데이." "정말입니꺼?" 큰아버지 강갑이의 연락을 받은 강성갑의 아들 강흥철은 부리나케 시신이 발견된 현장으로 내달렸다. 시신은 학살 현장인 낙동강변 수산다리에서 2k..

[19세기 해외 원정 성매매 여성의 총칭]가라유키상(唐行きさん)

사이공 가라유키상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우표와 사이공의 도장이 찍혀있다. 가라유키상(일본어: 唐行きさん)은 19세기 후반에 해외에서 원정 성매매를 하던 일본인 여성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규슈의 나가사키 및 구마모토 지역출신이 많았으며 제겐이라는 중개알선업자의 손을 거쳤다. 가라유키상이란 말의 가라(唐)는 외국이나 외국의 것을 뜻하며 문자적 의미는 "해외로 나간 사람들"이란 뜻이다. 개요 제겐 또는 핀푸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알선업자들은 일본 전역을 돌아다니면서 젊은 여성들을 물색하여 해외에서 일하게 해주겠다고 부추겨서, 부모에게 돈을 건낸후에 다시 이들을 포주에게 넘기면서 차익을 챙겼다. 이렇게 얻은 수수료 차익을 모아 직접 해외에서 사창가 경영에 뛰어든 자도 있었다. 가라유키상들의 주된 목적지는 중국, ..

[러일전쟁 시 일본 승장 노기마레스케와 우정을 나눈 러시아 패장]Anatoly Stessel

Anatoly Stessel in the 1890s. Anatoly Mikhaylovich Stessel (Russian: Анато́лий Миха́йлович Сте́ссель; German: Anatolij Stößel; 10 July [O.S. 28 June] 1848–18 January [O.S. 5 January] 1915) was a Russian baron of German descent, military leader, and general. Anatoly Stessel, born in 1848 as the son of Lieutenant General Baron Vinogradov Stessel,[citation needed] graduated from the Pavel Military ..

[도쿄재판 - 유일한 민간인 A급 전범]오카와 슈메이( 大川 周明)

오카와 슈메이 오카와 슈메이(일본어: 大川 周明, 1886년 12월 6일 ~ 1957년 12월 24일)는 일본의 사상가이다. 급진적인 국민주의와 범아시아주의를 제창하였으며, 2차 대전 이후 A급 전범으로 기소되었으나 정신이상으로 취하되었다. 오카와는 야마가타현 사케다 시 출신이다. 중학교 시절에는 한학자의 집에서 하숙하면서 한문에 익숙하게 되었다. 이후 도쿄제국대학에 입학해서 인도철학을 전공하였다. 이후 인도의 독립운동을 지원했고, 이에 관하여 《인도의 국민운동의 현황과 유래》 라는 저서를 집필하여 일본인에게 인도의 독립운동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또한 대아시아주의의 입장에서 아시아의 각국의 독립운동과 서구 열강의 식민지 정책을 소개하는 《부흥아시아의 제문제》 (1922년)를 집필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일제 강점기- 헌병대를 최초로 만든 인물]아카시 모토지로(明あか石し 元もと二じ郎

아카시 모토지로(일본어: 明 (あか)石 (し) 元 (もと)二 (じ)郎 (ろう), 1864년 9월 1일(겐지 원년 8월 1일) ~ 1919년(다이쇼 8년) 10월 26일)는 메이지, 다이쇼 시대의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인이며 화족이다. 한국통감부 경무총장, 제6사단장, 타이완 총독 등을 역임하였다. 프랑스와 러시아에서 일본공사관 무관을 지냈다. 최종 계급은 육군대장 훈1등 공3급 남작이다. 아카시 모토지로는 1864년 번사 아카시 스케쿠로의 차남으로 후쿠오카 번 다이묘 마을에서 태어났다. 번교 수유관(현재 후쿠오카 현립 수유관 고등학교)을 거쳐서 1883년에 일본 육군사관학교(육사 6기)를 졸업하고, 1889년에 육군대학교(5기)를 졸업한다. 독일 유학,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출장, 미국-스페인 전쟁의 마닐라..

[대일본사(大日本史)』편찬 주역, 에도 시대 2대 미토 번주이자 유학자]도쿠가와 미쓰쿠니(德川光圀

도쿠가와 미쓰쿠니 시대 에도 시대 출생 간에이5년 6월 10일 (1628년 7월 11일) 사망 겐로쿠13년 12월 6일 (1701년 1월 14일) 개명 미키 조마루(三木長丸) 도쿠가와 지요마쓰(徳川千代松) 노리아키(徳亮) 미쓰쿠니(光国) 미쓰쿠니(光圀) 별명 미토 미쓰쿠니(水戸光圀) 미토 고몬(水戸黄門) 시호 의공(義公) 묘소 이바라키 현 도키와 신사(常磐神社) 관위 종 5위상 사에몬토쿠(従五位上左衛門督) 종 4위하 우곤에곤쇼쇼(従四位下右近衛権少将) 종 4위 우곤에곤쥬죠(従四位上右近衛権中将) 종 3위 산기 곤츄나곤(参議 権中納言) 추증 종 2위 곤다이나곤(従二位 権大納言) 추증 종 1위 추증 정 1위 막부 도쿠가와 바쿠후 번 히타치 국 미토 번주 씨족 도쿠가와 씨 부모 도쿠가와 요리후사 다니 히사코(谷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