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1457

[명:일본에 양명학을 전파한 인물]주순수(朱舜水)

주지유(朱之瑜, 1600년 ~ 1682년)는 명나라의 문신이다. 자는 노서(魯嶼) 혹은 초서(楚嶼), 호는 순수(舜水)이다. 호를 따서 주순수(朱舜水)로도 통칭된다. 나중에 일본에 정착하였다. 1644년 북경이 청군에 의해 함락된 이후, 주순수는 반청 활동에 참가했다. 1657년, 안남국(安南國)으로 가서 벼슬을 권유받았으나 안남국왕 앞에서 무릎을 꿇지 않아 본국으로 쫓겨났다. 이후에도 중국 화남(華南), 안남, 일본 등지로 돌아다니며 무역을 하여 반청운동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해 나갔다. 남명(南明) 노왕(魯王) 주이해(朱以海)를 지지하고 한때 정성공(鄭成功)에 협력하기도 했다. 1659년, 남경(南京) 공략전투에 참가하기도 했다. 공략이 실패로 돌아가자, 같은해, 정성공의 사신으로 일본 나가사키(長崎)..

[와세다 대학 전신인 도쿄 전문학교를 설립한 정치가]오쿠마 시게노부

오쿠마 시게노부 大隈 重信 오쿠마 시게노부 (일본어: 大隈重信, おおくま しげのぶ, 1838년 3월 11일 ~ 1922년 1월 10일) 는 일본 사가 번 무사 출신의 정치가이자 교육자이다. 제8대, 제17대 일본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였으며, 와세다 대학의 전신인 도쿄 전문 학교를 설립한 인물이기도 하다. 초기 이력 현재 사가 시 출신으로 사무라이 아버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7세때 번교 홍도관(조선시대의 향교와 비슷)에 입교하여 한학을 배웠다. 그러나 이곳에서 가르치는 유교이념에 반발하여 동료와 함께 번교의 개혁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이 때문에 퇴학당하고, 후에 국학자에게서 국학(일본 전통사상)을 배웠다. 이후 번의 란학료(蘭学寮, 네덜란드 학문 교습소)에 입학하여 서양학문을 공부했고, 난학료와 홍도관이..

[외무대신 오쿠마 시게노부를 암살하려다 실패하고 자결한 인물]쿠루시마 츠네키( 来島くるしま 恒喜つねき:

쿠루시마 츠네키의 묘 쿠루시마 츠네키(일본어: 来島 (くるしま) 恒喜 (つねき): 1860년 1월 31일(안세이 6년 12월 30일)-1889년(메이지 22년) 10월 18일)는 일본의 테러리스트다. 치쿠젠공애공중회, 현양사 사원이었다. 후쿠오카번사 쿠루시마 마타에몬(来島 又右衛門)의 2남으로 현재의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서 태어났다. 타카바 오사무의 흥지숙에서 수학하고 견지사, 십일학사를 거쳐 1879년(메이지 12년) 4월 코요의숙(현 후쿠오카현립 슈유칸고등학교)에 가입했다.[1] 1883년(메이지 16년) 4월 상경하여 나카에 조민에게 불어를 배운 뒤 치쿠젠공애공중회와 현양사에 참가했다. 한때 마토노 한스케 등과 함께 오가사와라제도로 건너가 김옥균과 정세를 논했다. 그 뒤 오쿠마 시게노부의 조약개정..

[이도국의 영남좌도 역사산책] 조선시대 안동 양반家의 네 여인

[이도국의 영남좌도 역사산책] 조선시대 안동 양반家의 네 여인 10시간전 | 영남일보 죽어서 요리책 한 권으로 역사적인 인물이 되었다. 조선 여인으로 이름 세 글자를...국악·오페라로 부활하기도동시대 안동에 산 네 여인들요즘이라면 동창 아니었을까'원이...[사진자료 보기] -------------------------------------------------------------------------------- 가문 굳건히 한 여인들…절절한 思夫曲으로 400년 지나 감동 주기도 정부인 안동장씨 초상화(왼쪽). 안동시 정하동 대구지검 안동지청 입구 원이엄마 동상. 안동의 과거를 거닐다 보면 16세기 동시대에 살았던 네 명의 훌륭한 조선 여인을 만나게 된다. 양반 가문의 딸로 태어나 한미한 시댁을 명문가..

[일본 난학의 개척자]스기타 겐파쿠(杉田 玄白)

스기타 겐파쿠(일본어: 杉田 玄白, 1733년 10월 20일 ~ 1817년 6월 1일)는 에도시대의 난방의(蘭方醫), 즉 '네덜란드 의학'(和蘭醫學)을 시술한 의사다. 와카사 국 오바마 번(小浜藩)의 의사였다. 텐신로(天真楼)라는 이름을 걸고 제자들을 키웠고, 해체신서의 번역자로 널리 알려졌다. 난학의 개척자이다. [Bronze statue of Genpaku Sugita in Fukui Prefecture Obama, Fukui. It is installed in front of Sugita Genpaku Memorial Obama Municipal Hospital] 스기타 겐파쿠는 우시고메, 오바마 번의 하층집안에서 태어났다. 생모는 출산중에 죽었다. 청소년기에 가업인 의학공부를 시작했다. 의술은 니..

[담헌 홍대용 선생의 스승]김원행(金元行)

김원행의 초상화 김원행(金元行, 1703년 2월 14일(음력 1702년 12월 29일)~ 1772년 8월 5일(음력 7월 7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다. 몽와 김창집의 손자이고 죽취 김제겸의 셋째 아들이다. 5촌 종숙인 김숭겸의 양자로 입적했다. 이재의 제자였으며, 담헌 홍대용의 스승이다. 호는 미호(渼湖)이고 본관은 (신)안동이다. 생애 경종 초기(1722년~1723년)에 발생한 신임옥사로 조부 김창집과 생부 김제겸이 유배되었다가 처형되었고, 친형 김성행과 친아우 김탄행이 경종의 독살을 꾀한 죄목으로 처형, 그 외에도 일족이 처형되거나 유배되는 등 멸문의 고비를 겪었다. 이후 영조가 즉위하여 가문이 다시 크게 부흥하였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고 시골에 은거하며 성리학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 저술 활동에..

[조선 후기 - 농민항쟁]임술민란 (壬戌民亂)

임술민란(壬戌民亂) 1862년(철종 13) 삼남지역을 중심으로 일어난 농민전쟁. 내용 1862년 농민항쟁은 경상도·전라도·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에 걸쳐 70여 개 고을에서 일어났다. 최초로 일어난 곳은 2월 4일 진주 바로 위쪽에 있는 작은 고을인 단성이었다. 단성으로부터 시작된 항쟁은 3월에는 경상도 지역으로, 4월에는 전라도로, 5월에는 충청도로 확산되었다. 정부가 조세문제를 개혁하겠다고 약속하자 항쟁이 수그러졌다가 정부가 개혁을 시행하지 못하자 다시 터져 나왔다. 9월부터 제주지역, 함경도 함흥, 경기도 광주, 경상도 및 몇 고을에서 농민항쟁이 발생하였다. 농민항쟁이 발생한 주요한 원인은 삼정문란(三政紊亂)을 비롯한 봉건정부와 관리의 농민들에 대한 억압과 수탈이었다. 또 항쟁 과정에서 고리대나..

[사가번 10대 번주, 사가 7현인(佐賀の七賢人) 중 1인. ]나베시마 나오마사(일본어: 鍋島 直正)

나베시마 나오마사 나베시마 나오마사(일본어: 鍋島 直正)는 에도 시대 말기의 다이묘이다. 히젠 사가번 제10대 번주. 사가 전 선대 번주 나베시마 나리나오의 17남으로 메이지 유신 이전에는 나리마사( 斉正 (なりまさ))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사가 7현인(佐賀の七賢人) 중 한사람이다. --------------------------------------------------------------------------------------- 일본의 산업혁명을 이끈 히젠의 요괴(肥前の妖怪), 나베시마나오마사(鍋島直正) 막부시대말기 메이지유신을 추진하는데 공을 세운 네 지방을 하나로 묶어 흔히 삿쬬도히(薩長土肥(さっちょうどひ)라고 한다. 현재의 카고시마현인 사쯔마와 야마구치현인 쬬슈, 코치(高知)현을 이르는 ..

[네덜란드]빌럼3세[William III of the Netherlands]

빌럼 3세(Willem Alexander Paul Frederik Lodewijk van Oranje-Nassau, 1817년 2월 19일 - 1890년 11월 23일)는 네덜란드의 국왕이자 룩셈부르크 대공이다. 그는 1817년 2월 19일, 빌럼 2세의 장자로 태어났다. 1839년 6월 18일 외사촌" 뷔르덴베르크의 소피"와 Portrait of Queen Sophie 결혼하여 사이에서 장남 빌럼 니콜라스 알렉산더 프레데릭 칼 헨드릭, 차남 빌럼 프레데릭 마우리츠 알렉산더, 삼남 빌럼 알렉산더 칼 헨드릭 프레데릭을 낳았다. 1849년 3월 17일 아버지 빌럼 2세가 서거하면서 32살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1877년 6월 3일 소피가 사망하자 1879년 1월 17일 발데크피르몬트의 엠마와 Quee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