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1457

[손호철의 발자국] 국가보안법의 단초가 된 "여순사건"의 비극

여순사건으로 희생된 가족의 시신을 확인하고 울고 있는 여인들. 칼 마이던스 미국 기자의 사진을 여수지역사회연구소가 2019년 '라이프 타임'지와 협의해 책으로 엮어 공개했다. 여수·순천(여순)과 제주. 모두 남쪽에 있는 대표적인 관광지다. 남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 보고 있지만 별다른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지 않다. 이 두 지역은 한국현대사에 아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두 지역의 대표적 비극인 제주의 4·3과 ‘여순사건’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이기 때문이다. “애국병사 여러분! 우리가 총부리를 같은 형제인 제주도민에게 겨뤄서야 되겠습니까? 우리는 동족상잔과 제주도 출병을 결사반대해야 합니다.” 1948년 10월 19일 밤, 제주도 출병을 위해 대기하고 있던 여수 14연대 병사들은 갑자..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권오설[權五卨]

권오설[權五卨]1897(고종 34)~1930 [상세 해설 자료 보기] 권오설 - 나무위키 2020.11.16. [1] 성명 권오설(權五卨) 이명 박철희(朴喆熙, 朴哲熙)·김삼수(金三洙) 홍일헌(洪一憲)·권일(權一)·김형신(金亨信) 권부덕(權富德)·권형신(權亨信) 호 오서(五敍)·막난(莫難) 본관 안동 권씨[2] 생몰 1897... namu.wiki/w/권오설 나무위키 ----------------------------------------------------- 일제강점기 제1차조선공산당검거사건(신의주사건) 등과 관련된 사회주의운동가. 독립운동가.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1897년(고종 35) 안동권씨 동성 마을인 풍천면 가곡리에서 권술조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가일이라고 불리는 이 마을은 15세기 초 ..

[손호철의 발자국] 좌익의 우익 학살 또한 똑같이 비판받아야 한다

전남 여수 손양원 목사 순교기념관 편집자주 진보 정치학자 손호철 서강대 명예교수가 대한민국 곳곳을 다니며 역사적 장소와 현재적 의미를 찾아보는 ‘한국근대현대사 기행’을 매주 월요일 한국일보에 연재한다. 코로나19시대 '의미있는 여행'의 안내자가 되고자 한다. 여순 사건 당시 좌익의 무분별한 학살로 두 아들을 잃었지만, 두 아들을 죽인 범인을 양아들로 삼으며 화해와 용서를 실천한 손양원 목사의 선행을 그린 벽화. 손호철 교수 제공 ‘손동신, 순천중학생 18살.’ ‘손동인, 순천사범대학교 기독교학생회장 23살.’ 여수공항 근방의 손양원 목사 순교기념관 앞에는 손 목사에 앞서 순교한 두 아들의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이들은 여순 사건 당시 좌익 학생들에 의해 ‘친미예수쟁이’라고 인민재판에 회부돼 총살형을 당한..

[극우단체 현양사를 설립하고 김옥균, 쑨원도 지원한 우익의 거두]도야마 미쓰루(頭山 満)

Onisaburo Deguchi, Tōyama Mitsuru & Uchida Ryohei 도야마 미쓰루(일본어: 頭山 満, 1855년 5월 27일 ~ 1944년 10월 5일)는 대아시아주의의 입장에서 운동을 펼친 일본 제국의 국가주의 사상가이다.[Japanese right wing and ultranationalist founder of Genyosha (Black Ocean Society) and Kokuryukai (Black Dragon Society).[1][2] Tōyama was a strong advocate of Pan Asianism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생애 대외론에서는 일본의 해외 진출을 호소해 구미 열강 제국과의 불평등 조약 개정..

[독립전쟁 기 북서 인디안 전쟁을 끝낸 인물]앤서니 웨인(Anthony Wayne)

초상화 A statue of General Wayne stands in Fort Wayne's Freimann Square 앤서니 웨인(Anthony Wayne, 1745년 1월 1일 - 1796년 12월 15일)는 미국 육군의 장군이며 정치가이다. 웨인은 미국 독립 전쟁의 시작과 함께 군대에서의 경력을 쌓기 시작하여 그 공훈과 치열한 개성으로 준장의 자리까지 올라, ‘미친 앤서니’라는 별명도 받았다. 북서 인디언 전쟁을 종결시킨 ‘폴른 팀버스 전투’를 승리로 이끌어 명성을 남겼다. 생애 앤서니 웨인은 1745년 1월 1일 펜실베이니아의 체스터 카운티에 있는 이스트 타운(오늘 펜실베이니아 파올리 근처)에서 이삭 웨인(1699-1774)과 엘리자베스 엔딩의 다섯 자녀 중 하나로 태어났다. 그의 부친은 아일..

[뉴올리언스 전투에서 전사한 인물, 웰링턴의 처남]Edward Pakenham

Major General Sir Edward Michael Pakenham, GCB (19 March 1778 – 8 January 1815), was a British Army officer and politician.[1] He was the son of The Baron Longford and the brother-in-law of The Duke of Wellington, with whom he served in the Peninsular War. During the War of 1812, he was commander of British forces in North America (1814–15). On 8 January 1815, Pakenham was killed in action while..

[일본에 처음 서양의학을 가르쳤고 일본 최초 여의사의 아버지인 인물]필리프 프란츠 폰 지볼트(Philipp Franz Balthasar von Siebold

Philipp Franz von Siebold Portrait of Siebold by Kawahara Keiga, 1820s Signed portrait from 1875 필리프 프란츠 폰 지볼트(독일어: Philipp Franz Balthasar von Siebold, 1796년 2월 17일 ~ 1866년 10월 18일)는 독일의 의사이자 생물학자이다. 일본에서 서양 의학을 처음 가르친 유럽인으로 유명하며, 일본의 식물과 동물 고유종을 연구한 것에 의의가 있다. 학명 명명자 부분의 'Siebold'는 지볼트를 가리킨다. 지볼트의 저서 "Nippon"에 소개된 조선의 배 지볼트가 일본에서 만난 아내 쿠스모토 타키[Kusumoto Taki (1807–1865)]와의 사이에서 낳은 딸이 일본 최초의 부인과..

[독립전쟁 중 인디언- 이로쿼이 족-섬멸 작전을 편 대륙군 장군]존 설리번(John Sullivan

1873년 존 설리반의 초상화, A. Tenney 작 존 설리번(John Sullivan, 1740년 2월 17일 - 1795년 1월 23일)은 미국 독립 전쟁 중에 활약한 대륙군 장군이며, 대륙회의의 대의원, 뉴햄프셔 주지사를 지냈다. 설리번은 1779년에 대륙군에 반기를 든 이로쿼이 족 인디언 마을을 소멸한 설리번 원정을 이끈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쿼이 인디언족과 국왕파 연합군을 뉴욕 서부에서 무찌른 일로 이름을 떨쳤다(1779). 변호사로 일하다가 1774년 뉴햄프셔 식민지 의회에 선출되었으며 같은 해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제1차 대륙회의 의원으로 일했다. 1775년 6월 대륙군 준장으로 임명받고 보스턴 포위전에서 원군으로 활약했다. 이듬해 캐나다로 가서 퀘벡 전투(1775. 12. 31)에서 크..

위대한 미국인 명예의 전당

위대한 미국인 명예의 전당 그로버 클리블랜드 길버트 스튜어트 너새니얼 호손 대니얼 분 대니얼 웹스터 데이비드 패러것 랠프 월도 에머슨 로버트 E. 리 로버트 풀턴 로저 윌리엄스 루이스 브랜다이스 루이스 아가시 루터 버뱅크 루푸스 초트 릴리언 왈드 마리아 미첼 마크 트웨인 마크 홉킨스 매뉴 퐁텐 모리 메리 라이언 벤저민 프랭클린 부커 T. 워싱턴 사이먼 뉴컴 새뮤얼 모스 샬럿 쿠시만 수전 B. 앤서니 토머스 잭슨 스티븐 포스터 시드니 라니어 시어도어 루스벨트 실바누스 세이어 아사 그레이 아우구스투스 세인트고던즈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알렉산더 해밀턴 앤드루 잭슨 앤드루 카네기 앨리스 프리먼 팔머 앨버트 A. 마이켈슨 에드거 앨런 포 에드워드 맥다월 에드윈 부스 에이브러햄 링컨 엘리 휘트니 엘리아스 하위 에마..

[아일랜드](감자)대기근[Great Famine- Irish Potato Famine]

(감자)대기근[Great Famine- Irish Potato Famine] Scene at Skibbereen during the Great Famine, by Cork artist James Mahony (1810–1879) commissioned by The Illustrated London News, 1847. 아일랜드인의 주식인 감자 더블린에 위치한 대기근 기념상 아일랜드 대기근(영어: Great Famine, 아일랜드어: An Gorta Mór, An Drochshaol)은 1845년에서 1852년까지 영국의 아일랜드 섬에서 일어난 집단기근, 역병과 집단 해외이주의 시기를 일컫는다. 아일랜드 외부에서 이것은 보통 아일랜드 감자 기근으로 알려져있기도 하다.[1] 아일랜드어에서 이것은 an G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