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도서관 ♣/[참고용 책] 157

문학 일본의 문학:저자 최재철

문학 일본의 문학(양장본 HardCover): 저자 최재철 | 제이앤씨 | 2012.7.17. [소감] 일반 독자가 읽기엔 지나치게 전문적. 일본 현대문학의 흐름을 교양수준으로 알고자 한다면 "동시대 일본 소설을 만나러 가다"라는 책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책소개:전문은 책 제목을 클릭하면 볼 수 있습니다. 『문학, 일본의 문학』은 일본근현대문학 관련 원고를 독자의 시각을 넘어 텍스트를 분석하고 여러 가지 의미를 추적하여 주제별로 묶어낸 것이다. 각기 근대 초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가와 작품들을 섭렵하여 여러 관점에서 논하였다. 나아가 한국의 일본문학 연구의 ‘현재’를 보여주고, 향후 전공자들 간에 일본문학연구의 장래에 대해 같이 고민하고 논의해보는 계기가 될 것이며, 일본근현대문학 분야의..

짱깨주의의 탄생-누구나 함부로 말하는 중국, 아무도 말하지 않는 중국:김희교

짱깨주의의 탄생:저자 김희교 | 보리출판사 | 2022.4.25 [소감] 이 책 기대가 컸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추천했다는 기사를 본 것도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그런데 읽어갈수록 중국의 입장을 옹호하고 변론하는 내용이 주여서 절반쯤 읽다가 책장을 덮었다. 마치 일본의 입장을 대변한 "반일종족주의", "제국의 위안부"같은 책이라는 느낌이 들어서였다. 사실 일본, 중국 관련 신간은 도서관에 희망도서로 신청해 가면서까지 읽는 편인데 그럼에도 늘 목말라 있는 편이다. 그만큼 일본, 중국이란 나라가 한반도 우리나라에 끼치는 영향력이 컸고, 크다고 생각하는 때문이다. 과거에도 그랬고 현재 진행형이며 미래에도 그럴 수밖에 없는 지리적 위치에 따른 숙명(?) 때문에. 이 숙명은 나라가 세계 10위, 6위권의 경제..

[중국의 우리나라 죽이기] 또 하나의 전쟁, 문화 전쟁: 김인희

또 하나의 전쟁, 문화 전쟁 저자 김인희 | 청아출판사 | 2021.8.10 [소감] 중국은 역사뿐 아니라 문화면에서도 우리나라 죽이기를 시도하고 있다. 이의 구체적인 실상을 알게 해주는 책. 책소개 중국이 ‘문화’를 무기로 한국과 전쟁을 벌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중국에서 문화는 과연 어떤 의미이길래 무기가 될 수 있는 것일까? 중국이 한국과의 문화 전쟁에서 얻으려는 것은 무엇일까? 시진핑 정부 이후 더욱 공세적으로 바뀐 이유는 무엇일까? 1990년대 말부터 시작해 지금까지 이어져 온 한중 문화 전쟁의 실체를 살펴본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목차 서론_ 또 하나의 전쟁, 문화 전쟁 1 혐한 일지, 2004년~현재까지 1. 혐한 사건들 2. 문화 도둑, 한국 3. 문화 침략자, 한국 4. 문화 속국..

한국, 베트남, 미국의 베트남전 소설 비교-국가, 정체성, 젠더를 중심으로:이경재

한국 베트남 미국의 베트남전 소설 비교(양장본 HardCover):저자 이경재 | 역락 | 2022.4.22. [소감] 지금부터 47년 전(1975년)에 끝난 베트남 전쟁을 소재로 한 한, 미, 베트남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한 노작[勞作]. 이젠 관심 밖의 소재여서 거의 작품화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 드물게 "총구에 핀 꽃"은 2019년 작이다- 우리 작가와 베트남 작가가 쓴 작품은 제법 읽어본 편이지만- 안 읽은 작품도 제법 보이는 데 검색해보니 절판되고 도서관에 없는 책도 있다.ㅠㅠ- 미국 작가 작품은 이 저작을 통해 알게 되었다. 도서관에 있는 책은 읽어 볼 생각. 내용은 너무 구체적이고 방대하여 평론을 공부하는 이가 아니라면 읽어보고 싶은 책의 확인 정도면 충분하지 않을까 싶다. 책소개 한..

[우리 역사] 근대 제주 일본인 거류민 연구:김은희

근대 제주 일본인 거류민 연구:저자 김은희 | 경인문화사 | 2022.5.3. [소감] 일제강점기의 제주도를 배경으로 한 작품 중에 "검은 모래 " 와 "하얀 국화 "를 읽은 적이 있다. 해녀가 주인공인 작품인데 이때 왜 하필 제주도 해녀인가 의문이 들었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의문이 풀렸다. 이 책에 따르면 제주도와 일본 사이의 거리는 고토시라는 섬까지 180킬로, 나가사키시까지는 280킬로에 지나지 않는다. 제주도에서 목포까지가 140킬로이고 부산까지는 280킬로이니 그만큼 일본과의 접근성이 가까운 게 제주도인 것이다. 일본인들은 합방(1910년) 전에 이미 많이 들어와 있었다. 1876년 강화도 조약 이후 시작되어 19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책은 이 시대부터 1845년 항복 ..

전쟁과 전라도 지역사: 김덕진

전쟁과 전라도 지역사:저자 김덕진 | 선인 | 2018.5.31 [소감] 전쟁과 전라도 지역사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 동학농민운동과 한국전쟁에 관한 내용이 빠져있어 책 제목이 주는 이미지와는 달리 병자호란 이전까지의 제한적인 내용이 담겨있다. 연구서를 읽을 때마다 느끼게 되는 저자의 노고와는 달리 일반 독자로서의 욕심은 폭 넓게, 지나치게 학술적이지 않게-굳이 다 읽을 필요가 있나 싶은 내용이 많다. 그래서 건너뛰게 된다-이지만 이는 독자로서의 욕심일 터. 이런 노작을 쓰느라 저자는 얼마나 많은 시간, 노력을 들였을까 싶은 마음은 든다. 전문가(여기서는 학자)에게 경의를 표하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 목차 Ⅰ. 왜구와 지역사회의 변화 1. 고려말~조선초 왜구 침입과 나주 지역민의 동향 2. ..

스파이가 만든 한국사의 굴곡: 정주진

스파이가 만든 한국사의 굴곡:한반도 정보 공작의 연주자들 저자 정주진 | 북랩 | 2022.5.9 [소감] 저자의 노고가 큰 것은 느끼겠으나 굳이 정독까지 할 필요성은 못 느낀 책. 일반 독자가 읽기 편하게 쓰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욕심을 부리자면 사진자료 같은 것도 있으면 좋았겠고. 아무튼 저자의 노고가 엿보이는 저작이다. 이런 노고에 관계없이 나는 편한 자세로 읽기만 하면서 호불호만 평하고 있으니 염치없는 짓이다. 저자에게 미안한 마음이다. ㅠㅠ. 책소개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의 스파이들, 국운을 뒤흔든 그들의 첩보 전쟁을 파헤치다! 주변 강대국의 입김에 따라 흔들리던 한국 현대사 그 아픈 과거의 굴곡마다 암약하던 스파이들이 있었다! 한국적 국가정보 연구의 선구자 정주진 박사가 파헤치는 우..

일본의 각성 : 저자 오카쿠라 텐신

일본의 각성(아시아총서 42): 저자 오카쿠라 텐신 | 역자 정천구 | 산지니 | 2021.12.14 [소감] 이런 쓰레기 같은 책을 뭐하려고 많은 시간을 들여 굳이 번역했을까? 읽는 내내 계속 든 생각이었다. 내용이 깊지도 않고 그렇다고 객관적이지 않다. 그저 자기 나라 일본 위주로 쓴 아전인수, 곡학아세 (曲學阿世) 성 내용뿐이다. 일본놈들 이런 책도 써서 자기 나라를 미화(?)하는구나 정도로 생각하면 될 책이다. 참고로 번역자 본인도 이 책에 대해 "해제 2 어긋난 ‘일본의 각성’ " 에서 신랄하게 비평을 하고 있기는 하다. 어쨌든 퉤퉤 침 뱉고 싶은 내용이 담긴 책이다. 책소개 메이지시대에 학자, 미술비평가로서 활동했던 일본의 대표적인 지식인 오카쿠라 텐신이 동양 문명, 특히 일본을 서구에 알리기..

주한미군과 주일미군(KODEF 안보총서 113):저자 임기훈

주한미군과 주일미군(KODEF 안보총서 113) 저자 임기훈 | 플래닛미디어 | 2022.3.29. * 해양세력 미국의 대륙세력-중국, 러시아-의 팽창을 저지하기 위하여 존재하는 주한, 주일 미군에 대한 연구서. 내용이 너무 깊어 교양 수준으로는 안 맞고 연구자들이 참고용으로 적합하다. 목차를 보고 자신이 관심을 가지는 부분에 대해 읽는 방법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책소개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은 지난 70여 년 동안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안정과 평화를 보장하는 핵심축이었다. 그러나 현재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은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다. 동북아 안보 상황의 불안정성은 날로 심화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의 첨단과학기술로 무장한 주변국의 군사력은 더욱 큰 위협과 위험요인으로 다가오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의 ..

냉전 아시아의 탄생: 신중국과 한국전쟁:저자 백원담, 이남주 외 | 역자 이보고 외

냉전 아시아의 탄생: 신중국과 한국전쟁(문화과학 이론신서 66) 저자 백원담, 이남주 외 | 역자 이보고 외 | 문학과학사 | 2013.5.30. [소감] 내용 전체보다는 관심 부분만 읽으면 될 책. 내 경우에는 2부를 관심있게 읽었다. 조선족은 중국인이다, 말레이시아도 한국전 특수 혜택을 입었다, 특히 대만은 공산 중국의 침공을 모면했다 등. 책소개 『냉전 아시아의 탄생: 신중국과 한국전쟁』은 중국의 한국전쟁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한국전쟁의 아시아적 맥락과 의의를 부각시킨다. 냉전사에 있어 ‘중국’이라는 장소의 아시아성과 그 역사성을 추적하되, 사상, 제도, 일상을 포괄하는 문화적 차원에서 특히 민족상상과 냉전논리가 절합·갈등하는 지점에 주목함으로써 문화냉전 및 냉전문화의 아시아적 특수성을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