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斷想, 閑談]/<단상, 한담>

낙관(落款)

Bawoo 2018. 1. 27. 09:10


낙관(落款)


그동안 찍을 엄두가 안 났다.


그림이고 글씨고

마음에 드는 게 하나도 없어서.


이제 조금씩 찍고픈 마음이 생긴다.


아직 성에 다 차는 건 아니지만.


그사이 20년이 코 앞인 세월이

훌쩍 흘러가 버렸다.


낙관(落款)

'낙성관지'(落成款識)의 준말로 중국 옛 청동기의 각명에서 음각자(陰刻字)를 '관'(款), 양각자(陽刻字)를 '지'(識)라고 한 데서 유래되었다. 관은 관기 또는 관서라고도 하며 서명과 제작일시만 적는 경우는 단관, 누구를 위해서 그렸다는 등의 언급을 하는 경우는 쌍관, 필자가 아닌 사람이 나중에 기입한 낙관은 후낙관이라고 한다. 서화가 아닌 기물에 있는 서명도 낙관이라 할 수 있지만 보통 명이라 부른다.


관지의 위치와 서체는 서화의 일부분으로 중요한 구실을 하기 때문에 작품의 전체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도록 세심한 배려를 해야 한다. 제관론(題款論)에 의하면 서예는 글씨가 끝난 곳에, 그림은 화면의 상단부 여백에 쓰는 것이 좋다고 했다. 서화에서 관지의 등장은 중국 송대(宋代)부터이나 나무뿌리나 바위틈같이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적었다. 원대(元代)에 문인화의 성행으로 시서화일치(詩書畵一致) 풍조가 팽배하면서 제시(題詩) 등과 함께 화면 위에 본격적으로 대두하기 시작했으며 명대부터는 일반화되었다. 그러나 궁정용의 원체화(院體畵)를 비롯한 실용화·장식화·기록화 등에는 낙관을 하지 않는 것이 관례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후기까지 관지의 사용이 그다지 활발하지 못했는데, 이러한 풍조에 대해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덕무(李德懋)는 〈청장관전서 靑莊館全書〉를 통해 비판한 바 있다. 관지는 작품의 작자는 물론 제작일시와 경위 등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아 작품의 제작연대·제작배경 등을 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음백과]


낙관


본 뜻

글씨나 그림을 완성한 뒤에 저자의 이름, 그린 장소, 제작 연월일 등을 적어 넣고 도장을 찍는 것을 ‘낙성관지(落成款識)’라 하는데, 이를 줄여서 낙관이라 한다. 서명과 제작일시만 기록하는 경우를 단관(單款)이라 하고, 누구를 위해 그렸다는 등 내용에 대한 언급을 하는 경우는 쌍관(雙款)이라 한다. 낙관에 쓰이는 도장은 두 가지인데, 성명인은 음각으로 새기고 호는 양각으로 새긴다. 이 두 개를 한 쌍으로 하여 ‘한 방’이라 한다.


바뀐 뜻

낙관은 본래 그림이나 글을 짓고 난 뒤에 여백이나 귀퉁이에 쓰는 글씨와 도장을 총칭하는 말이었는데, 오늘날에는 서명을 하고 도장을 찍는 것만으로 의미가 축소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낙관에는 도장을 찍는 의미만 강하게 남아 있어 ‘낙관을 찍는다’는 표현만 쓰이고 있다.


보기글

ㆍ오늘날에도 진위를 가리는 데는 도장보다 사인이 더 효력이 있는 것처럼, 서화의 낙관에서도 도장보다는 저자의 필체가 더 효력이 있다네.
ㆍ이 그림은 낙관이 없어서 누구의 것인지 알 수가 없다.





'[斷想, 閑談] > <단상, 한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감상실 "카르페 더 뮤직"이라는 곳을 다녀오다  (0) 2021.09.20
어떤 추억  (0) 2019.01.27
세월(歲月)  (0) 2017.12.12
행복  (0) 2017.09.04
어느 지공거사(地空居士)의 넋두리  (0) 2017.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