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시(漢詩) 마당 ♣/- 우리 漢詩

偶題― 柳方善

Bawoo 2018. 3. 1. 22:12

偶題

                                                                              ―柳方善

結茆仍補屋 (결묘잉보옥) 집은 띠를 엮어 깁고
種竹故爲籬 (종죽고위리) 대나무는 울타리 삼아 심었네
多少山中味 (다소산중미) 산중에서 지내는 약간의 이 맛
年年獨自知 (연년독자지) 해마다 혼자서만 알아간다



순채 묘 ① 순채(蓴菜) ② 풀숲 ③ 부규(鳬葵) ④ 무성한 모양




유방선 (柳方)

 조선 전기 서산 출신의 문인이자 학자. | [가계] 본관은 서령[서산]. 자는 자계(子繼), 호는 태재(泰齋). 아버지는 유기(柳沂)이고 어머니는 한산 이씨로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낸 이종덕(李種德)의 딸이다. 아들은 유윤경(柳允庚)과 유윤겸(柳允謙)이다. 유기는 태종이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고 보위에 오르는 데 협력한 공으로 1401년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 3등에 책봉된 후 서령군에 봉작되었다. 그러나 태종의 처남들인 민무구(閔無咎)·민무질(閔無疾)의 옥사에 연루되어 해남으로 유배되었다가 사사되었다. 아버지의 죄로 유방선도 오랫동안 귀양살이를 하였다. 이 때문에 서령 유씨 가문은 크게 위축되었다.


[활동 사항]
유방선(柳方善)[1388~1443]은 12세 무렵부터 변계량(卞季良)·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여 일찍이 수재로 이름을 날렸다. 1405년(태종 5) 국자사마시(國子司馬試)에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공부하였다. 1409년 아버지 유기와 함께 태종의 처남인 민무구·민무질 형제의 옥사에 연루되어, 청주로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영천으로 옮겨졌다. 이때 태재(泰齋)라는 서재를 짓고, 이안유(李安柔)·조상치(曺尙治) 같은 유생들과 학문적인 교분을 맺었다. 또 유배지 인근 지역의 젊은이들을 가르쳐 이보흠(李甫欽) 등의 문하생을 배출하였다.

1415년 유배 생활에서 잠시 풀려나 원주에서 머무르던 중에는 서거정(徐居正)·한명회(韓明澮)·권람(權覽)·강효문(康孝文) 등을 가르쳤다. 그러나 곧 모함을 당해 다시 영천에 유배되었으며, 1427년(세종 9)에 이르러서야 귀양살이에서 완전히 풀려났다. 유배 중에도 유일(遺逸)로서 주부(主簿)에 천거되었으나 사양하였다. 유방선은 아들 유윤겸과 조카 유휴복(柳休復)의 공부도 직접 챙겼는데, 이들은 곧 성장하여 1443년(세종 25)부터 대대적으로 펼친 『두시언해(杜詩諺解)』의 편찬 작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이로써 서령 유씨 가문이 일신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학문과 저술]
유방선은 뛰어난 학문으로 정몽주(鄭夢周)·권근(權近)·변계량(卞季良)을 잇는, 영남성리학의 학통을 후대에 계승, 발전시킨 인물로 평가받는다. 또한 오랜 유배 기간에도 불구하고 많은 후학을 양성하였으며, 이들은 곧 조선 전기 정국을 주도한 권신으로 성장하였다. 유방선은 시학(詩學)에 뛰어났으며, 특히 당나라의 대시인 두보(杜甫)에 정통하였다.

유방선의 저서로는 『태재집(泰齋集)』 5권 1책이 전한다. 『태재집』은 아들 유윤경·유윤겸 형제가 집에 보관되어 있던 음고(吟藁)를 바탕으로 편찬하였다. 이보흠·이경부(李敬夫) 등이 비용을 대어 1450년(세종 32) 영천 북습서당(北習書堂)에서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그 밖에 유방선의 시 10수가 『동문선(東文選)』에 실려 있다.


[상훈과 추모]
1702년(숙종 28)에 경상도 유림들이 뜻을 모아 유방선과 곽순(郭珣)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영천에 경현원(景賢院)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후 서원의 이름을 송곡(松谷)으로 바꾸고 여러 인물을 추가로 제향하였다. 송곡서원은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철거되었다가 1965년 다시 지어졌다. 현재는 유방선과 이보흠만을 제향하고 있다.


[참고문헌]


『필원잡기(筆苑雜記)』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서산의 문화』 8(서산향토연구회, 1996)
『서산시지』 (서산시지편찬위원회, 1998)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index.aks)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 한시(漢詩) 마당 ♣ > - 우리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卽事―金 淨  (0) 2018.03.03
次子剛韻 ―卞季良  (0) 2018.03.01
卽事―冶隱 吉 再  (0) 2018.02.28
漢浦弄月―牧隱 李 穡  (0) 2018.02.28
夜行 ―咸承慶  (0) 2018.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