嶺東歸思
-任叔英
多年苦厭路岐塵(다년고염로기진) : 여러 해 갈림길 먼지에 괴로웠건만
又向喬州試問津(우향교주시문진) : 또다시 교주로 가는 길을 나루에서 묻는구나
愁怯暮秋如大敵(수겁모추여대적) : 저무는 가을은 큰 적을 만난 듯 걱정스러운데
醉憐明月若佳人(취련명월약가인) : 취하니 밝은 달이 아름다운 님인 듯 사랑스럽네
登樓漸覺江山遠(등루점각강산원) : 누대에 오르노라니 강산 점점 멀어지고
覽物頻驚節侯新(람물빈경절후신) : 사방을 바라보며 계절 바뀐 것에 자주 놀라네
萬里倦遊歸未得(만리권유귀미득) : 만 리 밖 노니다가 고향에 아직 못 간 채
西風吹夢海東濱(서풍취몽해동빈) : 서녘 바람 꿈결에 불어오는 동해 바닷가에 서있네
[서예 습작]
1576(선조 9)∼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 개설 본관은 풍천(豊川). 초명은 상(湘). 자는 무숙(茂淑), 호는 소암(疎庵).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열(說)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창락찰방 숭로(崇老)이고, 아버지는 감역 기(奇)이며 어머니는 승지 정유일(鄭惟一)의 딸이다.어려서부터 시를 잘 지었고 기억력이 뛰어났다 한다.
1601년(선조 34) 진사가 되고, 성균관에 10년 동안 수학, 논의가 과감하였으며 전후 유소(儒疏)가 그의 손에서 나왔다.
1611년(광해군 3) 별시문과의 대책(對策)에서 주어진 이외의 제목으로 척족의 횡포와 이이첨(李爾瞻)이 왕의 환심을 살 목적으로 존호를 올리려는 것을 심하게 비난하였다.
이를 시관 심희수(沈喜壽)가 적극 취하여 병과로 급제시켰는데 광해군이 대책문을 보고 크게 노하여 이름을 삭제하도록 하였다. 몇 달간의 삼사의 간쟁과 이항복(李恒福) 등의 주장으로 무마, 다시 급제되었다.
그 뒤 승문원정자·박사를 거쳐 주서가 되었다. 1613년에 영창대군(永昌大君)의 무옥이 일어나자 다리가 아프다는 핑계를 대고 정청(庭請)에 참가하지 않았다. 곧 파직되어 집에서 지내다가 외방으로 쫓겨나 광주(廣州)에서 은둔하였다.
인조반정 초에 복직되어 예문관검열과 홍문관정자·박사·부수찬 등을 거쳐 지평에 이르렀다. 고문(古文)에 힘썼으며, 중국 육조(六朝)의 사륙문(四六文)에 뛰어났다. 그가 지은 「통군정서(統軍亭序)」는 중국학자들로부터 크게 칭찬을 받았다 한다.
참고문헌
- 『선조실록(宣祖實錄)』
-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 『국조방목(國朝榜目)』
- 『택당집(澤堂集)』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출처
'♣ 한시(漢詩) 마당 ♣ > - 우리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행화소영만의상(杏花疏影滿衣裳) (0) | 2017.04.29 |
---|---|
夏日村居-李烓(이계) (0) | 2017.04.28 |
[스크랩] 佛家 禪詩의 美意識 (0) | 2017.04.22 |
[스크랩] 佛家 禪僧의 萬行詩 考察 (0) | 2017.04.22 |
[스크랩] 禪詩의 特徵과 展開樣相 (0) | 2017.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