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술(美術) 마당 ♣/- 화가,그림 이야기 58

[스크랩] 단원 김홍도 그림에는 중팔선도(中八仙圖)가 숨어 있다

단원 김홍도 그림에는 중팔선도(中八仙圖)가 숨어 있다 - 단원의<장터길>, <벼 타작>, <점심>, <무동도>, <심관>, <군선도> <신행>, <포의풍류도>, 등은 두보의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 또는 <팔선도(八仙圖)>를 의미하고 있다 - 들어가는 말에서... ..

[스크랩] 추사(秋史) 김정희 선생의 난초그림

추사(秋史) 김정희 선생의 난초그림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김정희, 조선 19C 액자, 종이에 먹(지본묵화) 54.9×30.6cm, 손창근 不作蘭花二十年, 偶然寫出性中天. 閉門覓覓尋尋處, 此是維摩不二禪, 若有人强要爲口實, 又當以毘耶 無言謝之,… 曼香 내가 그림을 그리지..

[스크랩] 두성령 이암杜城令 李巖)의 모유구도(母乳狗圖)

두성령 이암杜城令 李巖)의 모유구도(母乳狗圖) (1499~ ?) 자(字)는 정중(靜仲), 본관(本貫)은 전주(全州). 세종의 넷째 아들 임영 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 1418~1469)의 증손(曾孫)으로, 벼슬은 두성령(杜城令)을 제수(除授)받았다. 1545년 인종 초 선왕 중종의 어용(御容)을 추화(追&amp..

[스크랩] 조선 말 임당(琳塘) 백은배의 동양화

조선 말 임당(琳塘) 백은배의 동양화 월야탄금도 백은배(白殷培. 1820-1895 이후)는 조선 말기를 대표하는 화가 중의 한 사람으로 자는 계성(季成), 호는 임당(琳塘)이라 하였으며, 화원(畵員)으로 지추(知樞)를 지냈는데, 75세에 그린 백접병(百摺屛)이 있어 당시까지의 생존 사실이 확인 백은..

[스크랩] 조선후기 ‘예술계의 영수’를 보다 - 표암 강세황 탄생 300주년

조선후기 ‘예술계의 영수’를 보다 - 표암 강세황 탄생 300주년 조선후기 문인화가 표암(豹菴) 강세황(1713-1791)의 진면모가 그의 탄생 300주년을 맞아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간송미술관이 봄 전시로 5월 2일부터 26일까지 개최하는 ‘표암과 조선 남종화파’전, 국립중앙박물관이 6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