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첫 결심, 처음 실천하는 날 금연·절주·운동 등 건강을 지키기 위해 새해 첫날 호기롭게 시작했던 계획들-. 그 단단했던 결심이 말랑말랑해지며 무뎌질 때다. 다행스럽게도 음력설이 있는 우리에겐 흐지부지되고 있는 결심을 다잡을 수 있는 기회가 한 번 더 주어지는 셈이다. 새해 ‘첫 결심’이 잘 진행되고 있..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5.02.10
[우리말 바루기] 활기를 ‘띄었다’고? 주택시장이 연초부터 조금씩 활기를 띠고 있다고 한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잇따른 규제 완화와 집값 회복에 대한 기대감, 치솟는 전셋값 등이 이유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신문 기사나 인터넷 글 등에서 “전세난으로 인해 매매시장이 활기를 띄고 있다” “분양시장이 활기를 ..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5.02.06
[우리말 바루기] '도찐개찐'은 '도긴 개긴' 중독성 있는 재담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개그콘서트의 ‘도찐개찐’ 코너에서 류근일은 이렇게 외친다. “저렴한 전셋집과 허니버터칩은 ‘도찐개찐’이다. 구하기가 힘들어서다!” 화제의 과자와 서민들의 전세난을 절묘하게 접목시킨 이 뼈 있는 한마디에 많은 사람이 박수를 보냈다..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4.12.30
[우리말 바루기] 추울 땐 옷깃을 '여미지' 말고 '세우세요' 올겨울 들어 가장 매서운 한파가 몰아치고 있다. 털 부츠에 목도리, 장갑 등으로 꽁꽁 싸매도 사이사이 새어 드는 바람이 몸을 움츠리게 한다. 이렇게 강추위가 몰아치면 기상예보에서는 “내일은 한파가 밀려오니 옷깃을 단단히 여미고 외출해야 한다”는 표현이 등장하곤 한다. 그런데..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4.12.16
[우리말 바루기] 일상화했다? 일상화됐다? 많이 받는 질문 가운데 하나가 ‘~화하다’ ‘~화되다’ 둘 중 어느 것을 써야 하느냐는 것이다. 며칠 전에도 블랙프라이데이와 관련해 “온라인 해외직접구매가 일상화됐다” “온라인 해외직접구매가 일상화했다” 어느 것이 맞느냐고 독자께서 질문해 오셨다. 문제는 ‘화’자에..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4.12.12
[우리말 바루기] 보고도 못 본 체 눈 감는 사회 회사를 위해 밤낮없이 일했지만 영문도 모른 체 하루아침에 거리로 내몰린 이들, 다시 일터로 돌아가기 위해 바위를 뚫는 낙숫물의 심정으로 싸웠으나 어떤 해결책도 안 보이는 상황-. 비정규직 문제를 다룬 영화 ‘카트’에서 주인공은 외친다. “그저 얘기를 들어 달란 거다. 모른 채 ..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4.11.18
[우리말 바루기] 하늘이 정말 파라네 겨울을 앞두고 핏기를 잃어 가는 계절, 가을-. 그래서일까? 마지막 자태가 더욱 눈부시다. 청명한 가을날, 고개를 들면 “바다처럼 파랗네”란 말이 절로 나오는 하늘이 펼쳐지고, 옷을 갈아입은 은행나무 아래 서면 “세상이 온통 노랗네”라며 감탄하게 된다. 단풍으로 물든 산을 오를 ..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4.10.28
[우리말 바루기] '듯' 붙여 쓸까, 띄어 쓸까 우리말의 맞춤법 가운데 어려운 부분의 하나가 띄어쓰기다. 특히 같은 단어를 어떤 때는 붙여 쓰고 어떤 때는 띄어 써야 하니 어렵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듯’이 그런 경우다. ‘듯’을 붙여 써야 할지 띄어 써야 할지 알기 위해서는 먼저 ‘듯’이 의존명사로 쓰였는지, 어미로 쓰..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4.10.25
[우리말 바루기] 무대포(?) 정신 “신에게는 아직도 12척의 배가 있사옵니다.” 이순신 장군이 명량대첩을 앞두고 선조에게 올린 장계(狀啓)다. 전투에 임하는 비장한 각오를 담고 있다. 그는 고작 12척의 배로 133척의 일본 전선을 무찔렀다. 어찌 보면 무모하다시피 한 전투였다. 냉정한 현실 인식과 치밀한 전략이 있었..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4.10.21
[우리말 바루기] 옳으니 그르니 다투는 소리 ‘첩첩 바위 사이를 내달려 겹겹 봉우리 울리니, 지척의 말소리도 분간키 어려워라. 늘 옳니 그르니 다투는 소리 귀에 들릴세라, 흐르는 물로 온 산을 둘렀다네’. 통일신라 말기 학자 최치원의 한시 일부를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시대상에 절망해 가야산에 은거할 수밖에 없었던 그의 .. ♣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2014.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