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시장>과열되는 금융시장, 투자자가 위험하다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 미국의 유명한 경제학자 존 갤브레이스는 『불확실성의 시대』에서 1974년 국제유가 폭등 이후의 세계 경제를 전망하면서 미래의 변화를 짐작하기 어렵다고 했다. 2007년 금융위기가 시작된 지 8년이 지난 지금도 과거 어느 때 못지않게 불확실성이 크..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5.24
<우리 경제> 경제를 위한 좋은 규제의 조건 묘하게도 교통과 경제는 서로 닮았다. 운전하다보면 가장 짜증나는 것이 꽉 막힌 도로다. 속도를 잃으면 교통으로서의 의미를 잃는 것과 마찬가지로, 경제에서 속도의 상실은 소득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친다. 경제학원론에 나오는 피셔의 교환방정식(M*V=P*Y)이 그것이다. 돈의 공급(M)과..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5.19
<우리 증시>증시는 바뀐 게 없다 한국 증권시장의 전형적인 패턴은 이렇다. 지루하게 횡보하던 주가가 꿈틀거린다. 거래도 활발해진다. ‘어어’ 하는 사이 주가가 제법 오른다. 주도주가 먼저 치솟는다. 조금 지나면 상대적으로 덜 오른 종목에 매수세가 뻗친다. 시장에 갑자기 낙관적 전망이 넘친다. 증시 전문가들이 ..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5.18
<우리경제>가계경제 없는 나라경제가 무슨 소용인가 나라경제를 먼저 걱정하는 애국심은 지도자의 몫이지만 서민들은 당장 내 살림이 나아져야 나라 걱정도 할 수 있다. 나라경제가 걱정인가? 적어도 성적표만 보자면 괜찮은 편이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성장률이 줄곧 최상위권이었고, 2008년 세계를 휩쓴 금융위기 이..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5.12
<인간사회>[The New York Times] 정치건 예술이건 ‘세습’이 잘나가는 이유 미국인들은 당혹스럽다. 지난 35년간 부시나 클린턴의 이름이 대통령 투표용지에 오르지 않은 선거는 두 번밖에 없었다. 그런데 내년 대선엔 두 이름 다 투표용지에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 이를 두고 ‘볼썽 사납다’고 응답한 유권자가 ‘괜찮다’는 이보다 8배나 많은 것으로 여론조사 ..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5.12
<경제>돈을 벌려면 알아야 하는 4가지 돈의 법칙 품위 있게 살아가는데 돈은 필수지만 돈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사회에 내던져지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다. 부자가 되고, 안 되고를 떠나 돈을 어떻게 모아 어떻게 써야 하는지 아는 것은 안정적으로 살아 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하다. 시중에 수많은 재테크 책들이 많이 ..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5.10
<경제> 주식투자자의 의무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경제학자로는 드물게 주식 투자에서도 대단한 성공을 거둔 인물로 손꼽힌다. 그런 케인스지만 하루는 자신이 포트폴리오 운용을 자문해주던 보험회사와 기금의 투자위원회에 불려나가 수익률이 왜 그리 형편없는지 해명해야 했다. 세계적인 대공황이 막바지로 치..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5.10
<우리 사회>국가지배구조 개편 이뤄내야 광복 70년-대한민국은 극적인 성공과 미래 실패를 가져올 독소를 함께 안게 됐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한 식민국가 중 한국만큼 성공의 역사를 써 온 나라는 없다. 전후 유일하게 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이 됐으며, 가히 혁명이라고 부를 만한 압축적 근대화를 이뤄 냈다. 세계사에서..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5.02
<세계경제>공급과잉에 세계 경제 디플레 위험 고조 원자재·자본·노동력 과잉 세계 경제 위협…공급과잉 문제 해결에 10년 걸릴 수도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와 자본, 노동력의 과잉이 세계 경제의 디플레이션 위험을 자극하는 악재로 부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5일(현지시간) 원자재, 자본, 노동력 등 거의 모든 게 넘칠 정도로 많아..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4.28
강세장과 거품 사이 #강세장은 강세장인데 아직은 좀 이른 것 같다. 코스피지수가 연중 최고치 행진을 이어가고 코스닥시장으로 뭉칫돈이 몰려들고 있다고는 하지만 흥청거리는 분위기와는 거리가 멀다. 강세장이 시작됐다고 하면 서점가에서 투자 관련 서적의 판매부수가 늘어나고, 무슨 모임이나 식사자..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