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 장기침체의 원인과 처방 과거같은 정부 재정지원 줄고 노동력 증가율-투자 수익률 하락 中-선진국 사이 샌드위치 신세 리먼사태 이후 성장률 3%대…향후 몇년간 더 하락할 위험 이민-여성 노동력 활용 늘리고 불확실성과 규제 과감히 혁파 잠재성장률 높이기 총력 펼쳐야 단기적인 성장 둔화는 글로벌 경제 문제..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4.24
<우리경제>한 달간 39원 … 너무 뛴 원화 값 아시아 주요 통화 중 가장 많이 올라 수출 기업엔 직격탄 돈벌어 이자도 못낼 판 수출에 켜진 ‘빨간불’이 심상찮다. 원화 값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한국산 물건’이 비싸진 탓이다. 나라 밖 복병이라 다루기도 쉽지 않아 더욱 골칫덩이다. 삼성전기는 7조원 넘는 매출의 92%를 해외에..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4.22
<세계경제>세계경제 화두 '긴축 경련'(Tantrum) 풀린 돈 9조 달러 어쩌나 미 '금리 인상' 놓고 옐런·라가르드 신경전 재닛 옐런 Fed 의장(左),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右) 글로벌시장이 긴장 모드다. ‘9조 달러(약 9900조원) 퍼즐(Puzzle)’ 탓이다. 미국의 양적완화(QE) 시대에 미국을 뺀 나머지 국가와 일반 기업이 채권을 팔아 조달한 ..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4.17
,우리경제>구조개혁으로 소득분배 개선해야 지난 20여 년간 빠르게 진행돼 온 우리나라 소득분배 악화는 근본적으로 우리 경제의 산업, 고용구조 변화와 연결돼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 변화는 세계화, 기술 발전, 중국의 부상 등과 같은 세계적 환경 변화와 고령화, 노동 부문의 경직성 등과 같은 국내적 요인들이 맞물려 일어난 현..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4.12
<우리사회>차두리의 눈물 청년 백수 100만 명 시대, 썰렁한 농담이 떠돈다. 백수청년에게 “네 꿈이 뭐냐”고 물었다. “재벌 2세요!” 그런데 뭐가 문제니? 답은 명료했다. “아버지가 노력을 안 해요.” 잘난 아버지를 만났으면 꿈처럼 물결처럼 살 수 있었을 텐데 고시원 독방에서 라면으로 끼니를 때우면서 슬며..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4.07
<우리경제> [오늘의 데이터 뉴스]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눈앞 … 작년 증가분 절반은 환율 효과 Tweet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한국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8180달러(약 2968만원)를 기록했다. 2013년 2만6179달러보다 2001달러(7.6%) 늘었다. 여기에서 조세와 연금지출을 뺀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지난해 1만5786달러로 전년(1만4704달러)보다 1082달러(7.4%) ..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3.26
<우리경제> 1% 금리시대 '미니 호황'과 그 이후 우리 경제에 모처럼 온기가 돌고 있다. 봄기운을 타고 온 반가운 소식이다. 1% 금리시대를 맞아 주택 거래가 크게 늘고, 아파트·오피스텔 분양 현장은 청약 열기로 뜨겁다. 올봄 이사 행렬은 10년 만에 최대가 될 전망이다. 덩달아 부동산중개업소, 이삿짐센터, 집수리·인테리어업체, 가..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3.26
통화정책, 세계화, 민주주의 달러는 미국 통화지만 국제 통화이기도 하다. 미국은 이에 따른 엄청난 특권을 누리고 미국의 통화정책은 전 세계경제에 지대한 파장을 미친다. 반면 미국의 통화정책은 늘 자국의 경제 상황에 입각해 결정돼 왔다. 1970년대 초 코널리 미 재무장관은 유럽의 재무장관들에게, “달러는 우..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3.21
<우리경제> 삼성전자·현대차는 잊어야 한다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일본 아베 총리의 따라쟁이다. 재정 확대와 금리 인하에 이어 “임금이 올라야 내수가 회복된다”고 했다. 야당의 문재인 대표도 최저임금 인상과 ‘소득 주도 경제성장’에 맞장구친다. 문제는 실현 가능성이다. 월급을 올려줄 만한 대기업·공기업의 정규직은 전..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3.10
지식인은 틀을 깨고 나와야 한다 나라를 포함하여 어느 조직이나 붕괴 혹은 쇠락의 기운이 감돌 때 가장 분명하게 등장하는 조짐 가운데 하나는 구성원들의 이탈이다. 그런데 이 이탈은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구성원들이 표면적으로는 자기가 속한 조직을 매우 절절하게 걱정하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