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경제>위기설은 왜 반복되는가 1997년 외환위기는 필자에게 남다른 트라우마로 남아 있다. 당시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재정경제원을 담당하면서 한동안 자괴감에 시달렸다. 국가경제 상황을 시시각각 지켜보고 위기 징후를 포착해 경고음을 울려야 할 경제기자의 책임을 방기했다는…. 외환위기가 닥치기 전에 태국 밧..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8.18
<중국경제>중국 경제, 모르핀보다 수술이 우선 최근 중국 관리가 몰래 금융위원회를 방문했다. 1989년 한국의 참담한 증시 부양 실패의 교훈을 얻기 위해서다. 자료도 한 보따리 받아갔다. 지난주 중국은 사흘 연속 위안화 가치를 4.65% 떨어뜨렸다. 중국은 “시장 환율로의 접근”이라고 하지만 두 가지 사실은 감출 수 없다. 우선 환율..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8.18
<우리 사회>중진국의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지금 대부분의 나라들은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 사이에 영국, 프랑스, 미국 등에서 일어난 시민혁명의 결과로 형성된 틀로 되어 있다. 아직도 시민계급을 위주로 한 국가 운영이 이루어지지 않은 나라들도 없지 않지만, 그런 나라들도 대부분 ‘민주(民主)’라는 용어를 국명에 포함시..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8.02
한국의 국운은 한계에 왔나 최근 ‘아버지의 나라’ 케냐를 방문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나이로비에서의 마지막 연설에서 한국을 언급했다. 1961년생인 오바마는 “내가 태어났을 때만 해도 케냐의 국민총생산이 한국보다 많았지만 지금은 한국이 훨씬 잘사는 나라”라며 케냐의 분발을 촉구했다. 그가 언급..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7.29
[송호근 칼럼] 애국했다 치고 … 세계 일등 기업을 갖고 있는 것은 흐뭇한 일이다. 외국의 낯선 도시에서 마주치는 한국 대기업 광고판이 그리 반가울 수가 없다. 10년 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사민주의 정책의 정교함에 한참 주눅 든 나를 일으켜 세운 건 삼성 TV 광고판이었다. 모스크바 ‘붉은광장’을 난쟁이처럼 걷던..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7.18
<사회>C학점 학생이 A학점보다 더 크게 성공하는 이유 아이를 키우면서 배운 가장 큰 교훈은 세상에 내 마음대로 되는 일이 거의 없다는 거다. 물론 아이를 키우지 않아도 세상에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게 많다는 것은 배운다. 그러나 아이만큼 마음대로, 뜻대로 안 되는 일도 없다. 아이 문제로 고민할 때 명문대를 나온 한 분이 이런 말을 해..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7.18
<경제>주식시장의 마력 #태풍과 허리케인에 여성 이름만 붙이는 건 잘못이라며 1979년부터 남성 이름도 쓰게 됐지만 투자의 세계에서는 여전히 알 수 없는 시장의 마력을 여성에 비유하고 있다. 가령 요즘도 선물옵션 만기일이면 어김없이 ‘세 마녀의 날’이니 “네 마녀가 심술을 부렸다”는 말이 들려오곤 하..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7.18
<우리경제>저성장 탈출을 위한 진짜 승부수 우리 경제가 저성장의 늪에 빠져들어가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위기감이 생겨나고 있다. 정부는 예산편성 시 3.8%로 예상한 올해 성장률이 2%대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고 이를 3% 선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11조8000억원 규모의 추경예산을 필두로 하여 총 22조원 규모의 경기대책을 ..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7.15
한국경제를 되살리려면 한국경제는 경기침체가 심화되면서 저성장국면으로 들어가고 있다. 현재 3%대에 있는 잠재성장률은 2020년이면 2%대로 하락하게 된다. 여기에 15세∼64세 생산가능인구가 2년 뒤인 2017년이면 감소세로 돌아서게 된다. 우리의 주력산업인 조선, 철강, 석유화학 등은 이미 중국으로 산업이전..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7.06
독일과 손잡은 중국 혁신, 한국기업을 시장에서 내몰다 차이훙핑(蔡洪平) 도이체방크 아시아·태평양 기업 금융 사장. ‘아시아 최고의 딜 메이커’라는 찬사를 받는 인물이다(유로머니). 지난 2월 그가 돌연 사퇴를 선언했다. 새로운 선택은 ‘한더(漢德)펀드’. 아직 출범조차 하지 않은 투자 회사였다. 왜? 업계의 궁금증은 수면 속 ‘한더펀.. ♣ 좋은 글 모음♣ /경제, 사회 201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