蓼花白露(요화백로) 여뀌꽃과 백로
- 李奎報(이규보)
前灘富魚蝦(전탄부어하) : 앞개울에 고기 새우 많기에
有意劈波入(유의벽파입) : 생각 있어 물결 가르고 들어갔는데
見人忽驚起(견인홀경기) : 사람 보고 깜짝 놀라 날아서
蓼岸還飛集(요안환비집) : 여뀌 꽃 언덕에 다시 모였네.
翹頸待人歸(교경대인귀) : 목을 빼고 사람 가길 기다리자니
細雨毛衣濕(세우모의습) : 가랑비에 깃털은 다 젖어가고
心猶在灘魚(심유재탄어) : 마음은 오로지 개울 물고기에 가 있건만
人道忘機立(인도망기립) : 사람들은 세상 잊고 서 있다고 하는구나.
劈 :쪼갤 벽/① 쪼개다 ② 천둥 ③ 가름 ④ 깨뜨림
翹 :꼬리 긴 깃털 교 /① 꼬리의 긴 깃털 ② 꼬리 ③ 날개 ④ 들다
[서예 습작]
1168(의종 22)∼1241(고종 28). 고려 후기의 문신·학자·문인 | 개설 본관은 황려(黃驪). 초명은 인저(仁氐), 자는 춘경(春卿), 호는 백운거사(白雲居士). 만년(晩年)에는 시·거문고·술을 좋아해 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이라고 불렸다. 아버지는 호부시랑(戶部侍郎)을 지낸 윤수(允綏)이다.
'♣ 한시(漢詩) 마당 ♣ > - 우리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교마상연아체(東郊馬上演雅體)- 곽예(郭預) (0) | 2017.02.09 |
---|---|
過洛東江上流 - 李奎報 (0) | 2017.02.08 |
夏 - 金克己 (0) | 2017.02.06 |
雜興 (잡흥) - 崔惟淸 (최유청) (0) | 2017.02.05 |
宿金壤縣 - 高兆基 (0) | 2017.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