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 반정으로 처형된 대북파 중심 인물, 최명길과 급제 동기] 한찬남[韓纘男]
한찬남[韓纘男](1560년 ~ 1623년)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경서(景緖). 한탁(韓倬)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수성(韓守性)이고, 아버지는 한기(韓箕)이며, 어머니는 유보정(柳寶鼎)의 딸이다.조선 중기,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경서, 이이첨의 측근이었으며 광해군 때 형조판서를 지냈다. 이이첨의 명을 받아서 계축옥사 당시 영창대군 축출에 관여했고 그 이후 인목대비 폐모론에도 깊숙이 관여하는 등 대북파 권력의 핵심으로 활약했다. 하지만 인조반정으로 권력을 잃고 처형되었다. 생애선조 말기인 1605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1607년에 성균관박사가 되면서 관직으로 진출을 했다. 이후 광해군이 즉위하자 사간원정언이 되어서 대북 파벌의 일원으로써 유영경 일파를 축출하는 데 가담했으며 임해군의 옥사에도 앞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