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1457

[러일전쟁시 일본 국채를 사들여 일본이 승리하는데 기여한 인물]제이콥 헨리 쉬프[Jacob Henry Schiff]

제이콥 헨리 쉬프[Jacob Henry Schiff] 제이콥 쉬프의 초상화, 에임 듀폰 1847년 1월 10일(1847-01-10) 독일 프랑크푸르트 1920년 9월 25일(1920-09-25) (73세) 미국 뉴욕 시 남성 미국 은행가, 사업가 테레세 뢰브 제이컵 헨리 쉬프(Jacob Henry Schiff, 1847년 1월 10일 - 1920년 9월 25일)는 독일 태생의 유대계 미국인 은행가이자 자선 사업가였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났을 때의 독일어 이름은 야코프 하인리히 쉬프(Jacob Heinrich Schiff)로 이후 미국 남북전쟁이 끝난 후에 미국으로 건너갔고, 이후 쿤 로브 사에 들어갔다.[1] 월스트리트에서의 탄탄한 기반을 바탕으로 그는 당대의 모든 주요한 유대인 이슈와 문제를 쥐..

[조선 후기-인동 장씨 수난 사건]인동작변(仁同作變)

[이도국의 영남좌도 역사산책] 인동장씨와 인동작변 [이도국의 영남좌도 역사산책] 인동장씨와 인동작변 1800년 6월 정조가 갑자기 승하해 나라가 어수선할 무렵, 경상도 인동고을(현 구미시 인동)에서는 부사 이갑회가 부친 생일잔치를 벌이면서 지역 유력 사족인 인동장씨 장윤혁을 초대.. www.yeongnam.com 인동작변(仁同作變) 1800년 6월 28일에 정조가 갑자기 승하하고 인산(因山)이 이루어지지도 않았으나 당시 인동 부사였던 노론 무관 출신 이갑회(李甲會)는 풍악을 울리며 부친의 생일 잔치를 마련하였다. 이에 분개한 장윤종의 동생 장윤혁(張胤爀, 1734~1800)이 생일 잔치의 초청을 거절하자 부사 이갑회는 추석날 장윤혁의 후원에 소머리를 던져놓고는 인산 전에 소를 도축하였다는 혐의로 장윤혁의..

[고려말 - 흥왕사의 변을 일으킨 간신]김용(金鏞)

? ~1363(공민왕 2년)1363년에 흥왕사의 변을 일으킨 주범 고려후기 순군만호, 찬성사, 순군제조 등을 역임한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안성(安城). 공민왕이 원자(元子)로서 원나라에 들어가 숙위할 때, 시종한 공로로 여러 차례 승진해 대호군이 되었다. 공민왕이 즉위하자 응양군상호군이 되었으며, 원나라로부터 행성원외랑(行省員外郎)의 관직을 받았다. 권신 조일신(趙日新)과는 반목했으나 왕의 비호로 무사하였다. 1352년(공민왕 1) 연저수종공신(燕邸隨從功臣) 일등에 봉해졌고, 밀직부사(密直副使)가 된 뒤 수충분의공신(輸忠奮義功臣)의 호를 받았다. 조일신의 난 때, 궁중에서 숙직하면서도 적을 막지 않고 홀로 무사하여 해도(海島)에 유배되었다. 그러나 1354년 원나라의 요청으로 장사성(張士誠..

[명나라 선덕제의 후궁]공신부인 한씨(恭愼夫人 韓氏)

공신부인 한씨(恭愼夫人 韓氏, 1410년 음력 4월 9일 ~ 1483년 음력 5월 18일)는 조선 출신의 명나라 후궁이다. 조선에서 명나라에 바친 공녀로, 선덕제의 후궁이 되었다. 한확의 누이이며 소혜왕후(인수대비)의 고모이다. 이름은 계란(桂蘭)이다. 생애 1410년(태종 10년) 음력 4월 9일 청주 한씨 한영정(韓永矴)과 그 부인 김씨의 3남 2녀 중 차녀로 태어났다.[1] 공신부인의 어머니 김씨는 좌명공신(佐命功臣) 승녕부사(承寧府事)를 지내고 양소공(襄昭公)의 시호를 받은 의성 김씨 김영렬(金英烈)의 딸이다. 한편 한확은 공신부인의 오빠이며, 한확의 딸로 의경세자(덕종)의 부인이자 성종의 모후인 소혜왕후는 공신부인의 친조카이다. 또 공신부인의 친언니도 일찍이 명나라에 공녀로 바쳐져 영락제의 후궁..

[조선- 송시열과 윤증 사이의 사상적 갈등] 회니시비[懷尼是非]

개설 회니시비(懷尼是非)는 숙종 때 사제 관계에 있었던 송시열(宋時烈)과 윤증(尹拯)의 불화 때문에 그들의 제자들 사이에서 벌어진 일련의 분쟁으로, 서인이 노론(老論)과 소론(少論)으로 갈라지게 한 사건이다. 숙종조에 충청도 회덕(懷德)에 살았던 저명한 우암(尤庵) 송시열과 그의 제자로서 이산(尼山)에 살았던 명재(明齋) 윤증은 여러 가지 일로 불화를 빚었다. 그들의 사사로운 불화는 1684년(숙종 10) 4월에 송시열의 제자 최신(崔愼)이 조정에 윤증을 고발하고 처벌을 요구함으로써 국가 차원의 정치적 분쟁이 되었다. 두 사람의 제자들은 각기 스승을 변호하고 상대방을 비판하는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정이 시끄러워지고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갈라지게 한 요인이 되었다. 연원 및 변천 윤증의 아버지 윤선거(尹宣..

[조선- 명재상으로 불리운 "황희"의 사위 살인 은폐사건]서달(徐達)사건

태종, 세종조 명재상으로 불리운 황희(黃喜, 1363 ~ 1452)가 사위 서달(徐達)이 사람을 죽이자 이를 은폐하려고 역시 청백리로 불리운 맹사성(孟思誠, 1360~1438)및 서달의 아버지인 서선(徐選) -당시 형조판서-과 공모한 사건. 대표적인 권력형 비리이나 왕조시대인지라 당시 임금인 세종의 배려(?)로 형식적인 파직 뒤에 세 사람 모두 복직되어 승승장구했다. 요즘 같으면 어림도 없을 이야기. [내용] 서달이 어머니를 모시고 충남 온양 온천에 갔다 돌아오는 길에 신창현(충남 아산)을 지날때 이 지역 아전 2명이 서달을 지나쳐 갔다. 이들이 인사를 하지 않아 건방지다며 잡아서 때리자, 동료 아전인 표운평이 항의하자 이번엔 표운평에게 곤장 50대를 때려 다음날 사망했다. 소식을 들은 서선과 황희는 진..

[백제 -의자왕을 체포하여 당나라에 투항했다고 추정되는 인물]예식(진)[禰寔(進)]

예식진(禰寔進, 615년 ~ 672년)은 남부여 의자왕 때의 대장군이자 당나라의 '좌위위대장군(左威衞大將軍)'이다. 2006년에 그의 묘지명이 낙양의 시장에 나타났으며, 2007년 길림성의 격월간 역사잡지인 에 기존의 다른 남부여 유민들의 묘지명과 함께 처음 소개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고 더불어 예식진의 존재도 확인되었다. 개요 처음 묘지석이 발견되었을 때 그것이 시안(西安, 당나라 시기 수도)서 발굴되었다는 것만 알려졌을 뿐 정확한 발굴 시기와 지점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묘지석은 가로 세로가 각각 57cm에 두께가 15cm인 개석(蓋石)과, 가로 세로가 각각 58.5cm에 두께 13cm인 지석(志石)으로 나뉘어 있는데, 겉면에는 '대당고좌위위대장군예식진묘지지명'이라는 제액이 4행으로 새겨져..

[서애와 학봉 선생의 위패 자리를 놓고 다툰 향전(鄕戰) ]병호시비(屛虎是非)

병호시비(屛虎是非)는 호계서원에서 퇴계 이황의 좌측에 김성일과 류성룡 중 누구의 위패를 둘 것이냐, 즉 김성일과 류성룡 중 누가 더 퇴계의 제자로서 서열이 높으냐를 두고 병산서원과 호계서원 사이에 다툰 갈등이다. 1620년 처음 시작되었으며,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고 김성일과 류성룡의 후학들이 서로 절교하는 등 수백년 동안 지속되었다. 2009년 안동시에서 호계서원을 복원하면서 좌측에 류성룡을, 우측에 김성일과 이상정의 위패를 배치하기로 하면서 389년만에 종료되었다.[위키백과] ------------------------------------------ 1620년(광해군 12) 이후에 안동을 비롯한 영남 지역 유림들이 병파와 호파로 나뉘어 전개된 분쟁. 개설 1620년(광해군 12) 여강서원을 건립하면서..

[중일전쟁 - 난징 대학살]100인 참수 경쟁

. 당시 신문 기사 난징 대학살일본의 전쟁 범죄난징 대학살의 역사 서술영화서적 난징 대학살 관련 문서 둘러보기 난징 전투 (1937년) 난징 안전지대 난징 안전지대 국제위원회 100인 참수 경쟁 극동국제군사재판 난징 전범 재판 난징 대학살의 사망자수 난징 대학살 부인론 난징 대학살 위령비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 The Battle of China Black Sun: The Nanking Massacre City of Life and Death Don't Cry, Nanking 진링의 13소녀 존 라베 난징 난징의 진실 American Goddess at the Rape of Nanking The Good Man of Nanking 난징의 강간 도쿄 v t e 100인 참수 경쟁(한국 한자: 100人斬首競..

[네델란드령 동인도(현 인도네시아)]방카섬 대학살(Bangka Island massacre)

싱가포르에 위치한 오스트레일리아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단체사진(1941년 9월) 사진 속 인원중 6명이 학살로 희생되었다. 1942년 2월 16일 인도네시아 방카섬 일본군 제229연대 군인과 간호사, 민간인의 사망 일본군 연대 대대장의 자살로 재판 종결 영국군과 오스트레일리아군 포로 민간인과 오스트레일리아 육군부대 소속 간호사 100명 이상 60여명의 영국-오스트레일리아군 포로 및 민간인 오스트레일리아 육군부대 소속 간호사 21인 기타 인원수 불명의 민간인 비비안 블린켈(Vivian Bullwinkel) 및 2명 방카섬 대학살(Bangka Island massacre)은 1942년 2월 16일, 네덜란드령 동인도(현재의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동쪽에 위치한 방카섬에서 일어난 일본군에 의한 대량 학살 사건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