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1457

[삼국시대 - 조위의 장수]만총(滿寵)

만총(滿寵, ? ~ 242년 음력 3월)은 중국 후한 말기 ~ 삼국시대 조위의 군인으로, 자는 백녕(伯寧)이며, 연주 산양군 창읍현(昌邑縣) 사람이다. 18세에 군의 독우(督郵)에 임명되었다가 고평령(高平令)을 대행하였다. 192년, 유엽의 천거로 조조에게 발탁되었다. 196년, 조조의 보호를 받은 헌제가 허로 천도한 이후에는 허령(許令)에 임명되었다. 조홍의 빈객이 죄를 범하자 투옥시켰다. 조홍이 사정하는 것을 만총이 들어주지 않았고 조홍은 조조에게 다시 탄원하게 된다. 이를 알아챈 만총은 식객을 즉각 사형시켰다. 199년, 여남태수에 임명되자 친 원소 일파를 모조리 숙청하였다. 208년, 형주를 정벌하고 당양에 주둔했으나 손권이 계속 국경을 침범해오자 여남태수에 임명되었다. 관우가 양양성(襄陽城)을 ..

[학문의 신이라 불리운 인물]스가와라노 미치자네(菅原道真, 조와(承和)

공부의 신 ,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菅原道眞) 일본에서는 고등학교나 대학교 입학 시험을 보기 전에 학생들이 교토의 기타노텐만 궁에 가서 "간코(菅原)님, 시험에 합격시켜 주세요."라고 소원을 빌곤 한다. 간코는 헤이안 시대의 대문인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애칭으로, 기타노텐만 궁은 학문의 신으...[일본사를 움직인 100인] ----------------------------------------------------------------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Sugawara no Michizane, 菅原道真)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조와(承和) 12년 음력 6월 25일(845년 8월 1일) ~ 엔기(延喜) 3년 음력 2월 25일(903년 3월 26일))는 헤이안 시대의 귀족이자 학자, 한시인(漢詩人), 정..

[사랑하는 사람을 보기 위하여 절에 불을 질러 화형에 처해진 여인]야오야 오시치

분류 유리가면/연극 八百屋お七 - 야오야오시치 일본에서는 가부키나 노가쿠에서 주로 볼 수 있는 듯하다. 대략적인 줄거리는 1682년경 에도에 큰 화재가 발생하여 사람들이 절로 피난을 갔는데, 야채장수의 딸 오시치는 그곳에서 키치자라는 동자승을 만나게 된다. 그리고 갈 곳 없게 된 사람들을 돌봐주는 키치자에게 첫눈에 반해 버리고 만다. 오시치는 화재가 진압된 에도로 돌아와서도 키치자가 보고 싶어서 잠을 설치게 되고, 그 전처럼 절에 피난을 가면 다시 한번 키치자를 볼 수 있겠다고 생각하여 에도 시내에 방화를 저질러버리고 결국 사형을 당하게 된다.. 라는 다소 충공깽스러운 이야기이다.[1] 유리가면에서는 홍천녀 에튀드 편에서, 기타지마 마야가 불의 연기의 과제로서 선택하는 역극으로서 등장한다. 기타지마 마야..

[조선 전기 - 미투 사건을 일으키고도 승승장구한 인물]최한경[崔漢卿]

조선전기 첨지중추부사, 이조참의, 대사성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언보(彦甫). 최계운(崔繼雲)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최첨로(崔添老)이고, 아버지는 최문손(崔文孫)이며, 어머니는 이은(李垠)의 딸이다. 장인은 조육(趙育)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44년(세종 26) 진사로서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출사하였다. 1452년(단종 즉위) 형조도관정랑(刑曹都官正郞)을 거쳐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이 되고, 1454년(단종 2) 직강으로서 기주관(記注官)이 되어 『세종실록』의 수찬에 참여하였다. 이듬해 4월 호조정랑(戶曹正郞) 재직 중에 몰수한 최습(崔濕)의 가산을 월권으로 나눠 지급한 일로 자자(刺字)한 후 장리안(藏吏案)에 올리고 태장(笞杖)에 처해야 한다고 논죄되었으나 집정인..

[만주사변 관련 인물]아마카스 마사히코(일본어: 甘粕正彦)

아마카스 마사히코 아마카스 마사히코(일본어: 甘粕正彦, 1891년 1월 26일 ~ 1945년 8월 20일)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이었다. 1912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18년부터 헌병대에서 복무했다. 헌병 대위 시절인 1923년 관동대지진 직후 좌익활동에 가담하던 오스기 사카에 등 3명을 헌병대 본부로 끌고가 살해한 아마카스 사건을 일으키고 징역 10년을 선고받았다. 1926년 가석방되어 프랑스에 유학하였다가 1930년 오카와 슈메이를 통해 만주로 건너가 만주 사변과 만주국 건국에 관여했다. 이후 만주영화협회 이사장, 만주작곡가협회 고문 등을 맡으며 문화예술 공작에 참여하였다. 1945년 일본이 패전에 가까워지고 소련이 만주국을 침공해오자 청산가리를 먹고 목숨을 끊었다.[위키백과] [아마카..

[고려 말- 처제를 강간해 아이를 낳게한 패륜아]이승로[李承老 ]

본관은 합천(陜川)이다. 충목왕 때 밀직사사(密直司使)로서 과거를 관장하였고, 뇌물사건에 관련되어 영해의 수령으로 좌천되었다. 1348년(충정왕 즉위년) 충목왕이 죽자 우대언 윤택(尹澤) 등과 함께 공민왕을 추대하는 글을 원나라 중서성에 올려, 충정왕의 미움을 받고 다음해 선주로 좌천되었다. 1354년(공민왕 3) 지밀직사사에 이어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승진, 사소한 사건으로 한때 태안에 유배되었다가 뒤에 강양백(江陽伯)에 봉해지고 1360년 축성감독사로서 수안·곡주 등지에서 활약하였다. 일찍이, 처제와 간통(강간)하여 아들을 낳은 사실이 발각되어 중모(中牟: 경상북도 상주)에 유배되고 적몰당하였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A채널

[조선- 정조 시해 미수 사건] 정유역변(丁酉逆變)

정유역변은 1777년 정유년에 있었던 반역 사건을 일컫는다. '정조 시해 미수사건'으로도 알려져 있다. 당시 아버지 홍지해를 귀양 보낸 정조에게 불만을 가진 홍상범 등이 주축이 되어 장조의 서자인 은전군 이찬을 추대하려고 했다는 역모 사건이다. 정유년 7월 28일 밤 11시 무렵 정조가 있던 경희궁 존현각에 자객이 침입한 흔적이 발견됐다. 정조는 바로 금위대장 홍국영을 불러 대궐을 수색하게 했고 자객이 지붕 위까지 침투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러나 범인은 잡히지 않았다. 이후 정조는 거처를 경희궁에서 창덕궁으로 옮겼다. 이후 정조는 범인을 잡는 데 소극적인 우포도대장 이주국을 파면하고 구선복을 책임자로 임명했다. 구선복은 8월 9일 밤 임금을 암살하기 위해 서쪽 담장을 넘던 범인을 붙잡았다. 이 사건으..

[조선 후기- 29년 긴 유배생활보다 순애보로 더 유명한 인물]조정철 (趙貞喆)

조정철(趙貞喆)1751년(영조 27) ~ 1831년(순조 31) 조선 후기 충청감사를 역임한 문신. | [가계]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성경(成卿)·태성(台城), 호는 정헌(靜軒)·대릉(大陵). 증조할아버지는 우의정을 지낸 조태채(趙泰采), 할아버지는 조겸빈(趙謙彬), 아버지는 이조참판 조영순(趙榮順)이며, 어머니는 김시눌(金時訥)의 딸이다. 부인은 홍지해(洪趾海)의 딸이다. [활동사항] 1775년(영조 51) 별시 문과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여 별검(別檢)이 되었다. 1777년(정조 1) 강용휘(姜龍輝) 등이 정조를 시해하고 그의 이복동생을 옹립하려는 음모에 연루되어 죄가 참형에 해당되었으나 우의정 조태채의 증손임이 참작되어 제주도에 유배되었다. 1781년(정조 5) 할아버지 때부터 원수지간이던 소..

[비시 괴뢰정권 총리]피에르 라발(프랑스어: Pierre Laval)

피에르 라발 피에르 라발(프랑스어: Pierre Laval, 1883년 6월 28일 ~ 1945년 10월 15일)은 프랑스의 정치인이다. 4번에 걸쳐 프랑스의 총리를 지냈다. 2차 대전 때 프랑스가 독일에 점령당했을 때에는 비시 정권의 내각 수반을 2차례 지냈다. 프랑스의 해방이후 반역죄로 체포되었으며, 총살당했다.[위키백과] --------------------------------------------------------------------------------- 1. 생애 1883년 프랑스 오베르뉴론알프 지방의 샤텔톤에서 카페 주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한 때 자연과학에 흥미를 가졌으나 법학으로 진로를 바꿔 변호사가 되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라발은 사회주의자였지만, 1차대전의 참상과 볼셰비키의 발..

[청- 마지막 황태후]융유황태후(隆裕皇太后)

효정경황후 - 나무위키 2020.07.05. 황실은 자금성에 남을 수 있게 되어 계속 기거한다. 이것이 바로 청나라 소조정이다. 2.2. 사망[편집] 융유태후는 그 이듬해에 자금성에서 숨을 거두는데 다음과 같은 유언을 선통제에게 남긴다. "그대는 제왕의... namu.wiki/w/효정경황후 나무위키 1. 개요[편집] "내 어찌 일개 성씨의 존영을 위하여 억조 인민의 호오를 저버리겠는가." 선통제의 퇴위조서를 발표하면서. 청나라 제11대 황제인 광서제의 황후이자 청나라, 더 나아가 중국사의 마지막 황태후. 이름은 정분(靜芬). 일반적으로 융유황후(隆裕皇后)로 알려져 있으며 시호는 효정륭유관혜신철협천보성경황후(孝定隆裕寬惠慎哲協天保聖景皇后)이다. 서태후의 조카이기도 하다. 효정경황후의 아버지인 예허나라 구이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