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1457

[일본의 대표적 우익, 일진회 후원자, 흑룡회 창설자] 우치다 료헤이(일본어: 内田良平

우치다 료헤이 우치다 료헤이(일본어: 内田良平, 1874년 2월 11일 ~ 1937년 7월 26일)는 일본의 국가주의자, 우익운동가, 아시아주의자이다. 1901년 대아시아주의와 천황주의를 표방하고, 흑룡회를 설립하였고, 천우협을 통해 이용구와 결탁하여 일진회를 움직여 한일합방청원운동을 일으켰다...

[일제 강점기 창설된 신흥종교]보천교[普天敎]

普天敎(보천교) 1. 개요월곡(月谷) 차경석(車京石, 1880-1936)이 창립한 증산계통의 신흥종교. 이후 증산계통 종교에 무시 못할 영향을 주었다. 2. 창립1880년 전라북도 고창에서 태어난 차경석은 동학농민운동 당시 동학 접주接主 중의 한 명으로 관군에 의해 처형당한 차지구車致久의 장남으..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 해방 후 북한 공산당원]정달헌(鄭達憲) 일명- 정나기 (鄭羅基)

정달헌(鄭達憲) 일명- 정나기 (鄭羅基) (1897~ 미상) 개설 1930년대 조선질소비료주식회사 흥남공장 노동자들에게 사회주의 이론을 가르쳤다. 평양적색노동조합을 결성하고, 동맹파업을 주도하다가 수감되었으며, 광복 후에는 조선공산당함경남도 책임비서와 평안북도 인민위원회 위원장..

[대한제국 -한성부 판윤 재직 중 암살 당한 인물]이채연(李采淵)

본명이채연(李采淵, Ye Cha Yun)출생 대한민국 경상북도 칠곡국적조선본관광주(廣州) 이(李)학력갑오(甲午) 전시(殿試) 갑과(甲科) 3위직업한성부 판윤, 한성전기 회사 사장, 농상공무 협판부모이이봉(부), 김녕김씨(모)배우자안동장씨, 성주배씨 이채연(李采淵, Ye Cha Yun, 1861년 ~ 1900년 8월 15..

[박종인의 땅의 歷史] 함께 앉아 있었으나, 그 끝은 너무도 달랐다

[박종인의 땅의 歷史] 함께 앉아 있었으나, 그 끝은 너무도 달랐다 입력 2019.09.25 03:00 [182] 초대 주미 조선공사관 단체 사진 속 사내들 1888년에 촬영된 초대 주미 공사관 기념사진 개화를 꿈꾼 그 시대 엘리트들… 이상재…이완용…박정양…이하영…이채연…수행원들 박정양은 청나라 무..

[일제 강점기- 항일운동가, 노동운동가] 강주룡[姜周龍]

강주룡[姜周龍] 1901년(고종 38) ~1931년 8월 13일 개설 평양 소재 평원(平元)고무공장의 여공으로 1931년 동맹파업을 벌였다. 을밀대(乙密台) 고공투쟁으로 여론을 환기하려다,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단식 투쟁 끝에 30세에 요절하였다. 생애 1901년 평안북도 강계에서 태어난 강주룡은 14세 때 ..

[동학혁명 관련- 동학군과 내통한 혐의로 초토사 홍계훈에게 참형당한 인물]김시풍[金始豊]

김시풍[金始豊](? ~1894, 고종 31년): 개항기 전주감영영장을 역임한 무신. 목차접기 생애 및 활동사항 [생애 및 활동사항] 전라북도 전주 출신. 전주감영(全州監營)의 장교로 일찍이 동학교도 탄압에 공을 세웠으며, 1894년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을 때에는 60세 가량의 기골이 장대한 노인으로 전주감영의 영장(營將)으로 있었다.동학농민군을 막아 내라는 임무를 띠고 양호초토사(兩湖招討使)에 임명된 홍계훈(洪啓薰)이 5월 11일 전주성에 입성하여, 동학농민군의 승승장구로 사기가 땅에 떨어진 관군의 기강을 확립하기 위하여 전라감사 김문현(金文鉉)과 의논, 전주성내에 동학농민군과 내통한 혐의가 있는 사람 60여 명을 체포하였다.이때 전주감영 수교(首校) 정석희(鄭錫禧) 등과 같이 체포되었다. 같은 달 15..

[동학 혁명 시기 대원군과 손자 이준용에게 살해당한 친일 개화파]김학우(金鶴羽)

김학우(金鶴羽, 1862년 ~ 1894년 10월 3일)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자고(子皐), 함경북도 경흥의 토반 출신. 어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작은아버지 김인승(金麟昇)을 따라 러시아령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주한 뒤 그 곳에서 성장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76년에 일본에 건너가 약 1년반 동안 동경에서 우치무라[內村直義]의 무급(無給) 어학교사 자격으로 머무른 일이 있었다. 또 만주의 길림(吉林)과 중국 북경에도 드나든 적이 있어 비교적 해외사정에 밝았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어·일본어·중국어에 능통하였다.1878년과 1880년 두 차례에 걸쳐 변경 사무로 블라디보스토크에 파견되었던 함경도 경성(鏡城) 출신 관리 장박(張博)의 주선으로 서울에서 정계에 진출하였다. 1884년부터 1886년까지 기기국..

[동학 혁명 당시 전라감사로 동학군에 협조 , 일제 강점기엔 작위를 받는 등 친일반민족 행위자]김학진[金鶴鎭 ]

김학진 [金鶴鎭]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천(聖天), 호는 후몽(後夢). 병자호란 때 청과 끝까지 싸울 것을 주장한 예조 판서 김상헌(金尙憲)[1570~1652]의 11세손으로, 아버지는 김병교(金炳喬)이다. 1887년(고종 24) 이조 참의, 한성부 소윤, 성균관 대사성을 지냈고, 1892년(고종 29) 외무아문 협판, 1893년(고종 30) 이조 참판, 1894년(고종 31) 승정원 도승지, 형조 판서와 공조 판서를 역임하였다. 같은 해 전라도에서 동학 농민군이 봉기하자 김문현(金文鉉)의 뒤를 이어 전라 감사로 내려갔다. 1894년 4월 27일~5월 8일 관군과 동학군이 전주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인 끝에 ‘전주 화약’이 체결되었다. 이후 김학진은 동학 농민군 대표인 전봉준(全琫準)과 전주 회담을..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최초의 러시아인]니콜라이 무라비요프 아무르르스키[Nikolay Muravyov-Amursky

Nikolay Muravyov-AmurskyNikolay Muravyov-Amursky (1863); portrait by Konstantin MakovskyBorn(1809-08-23)August 23, 1809 St. Petersburg, Russian EmpireDiedNovember 30, 1881(1881-11-30) (aged 72) Paris, FranceBuriedParis, France (before 1992) Vladivostok, Russia (after 1992)Allegiance Russian EmpireService/branchImperial Russian ArmyYears of service1827–1861RankGeneral of th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