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종 시기-영월 군수 재직시 제문을 지어 단종(端宗)의 묘에 제사를 지낸 뒤 무탈하게 되었다는 일화가 있는 인물]박충원(朴忠元)
박충원(朴忠元, 1507년 윤1월 16일[1] ~ 1581년 2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중초(仲初), 호는 낙촌(駱村)·정관재(靜觀齋)[1],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박광영(朴光榮)의 손자이자 박계현(朴啓賢)의 아버지이다. 일찍이 외숙부 기준(奇遵)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1528년(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장원으로, 진사시(進士試)에 부장원으로 합격했으며, 1531년(중종 26) 문과에 급제했다.[1] 1533년(중종 28) 주서(注書)로서 무과 실시 방법에 대해 아뢰었으며[2], 이듬해 봉교(奉敎), 전적(典籍), 정언(正言), 또 그 이듬해 이조좌랑(吏曹佐郞)을 거쳤다.[1] 1536년(중종 31) 4월 다시 정언으로 임명되었다가 11월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로 옮겼으며, 12월 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