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1457

[김종직 선생의 조카- 점필재집 편찬]강중진( 康仲珍)

강중진( 康仲珍)1459년(세조 5) ~ 1520년(중종 15) 본관은 신천(信川). 자는 자도(子鞱)·자일(子逸), 호는 죽은(竹隱). 강윤리(康允釐)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강거례(康居禮)이고, 아버지는 교위(校尉) 강상(康愓)이며, 어머니는 성균관사예 김숙자(金淑滋)의 딸이다. 김종직(金宗直)의 생질이..

[중종 시기-영월 군수 재직시 제문을 지어 단종(端宗)의 묘에 제사를 지낸 뒤 무탈하게 되었다는 일화가 있는 인물]박충원(朴忠元)

박충원(朴忠元, 1507년 윤1월 16일[1] ~ 1581년 2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중초(仲初), 호는 낙촌(駱村)·정관재(靜觀齋)[1],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박광영(朴光榮)의 손자이자 박계현(朴啓賢)의 아버지이다. 일찍이 외숙부 기준(奇遵)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1528년(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장원으로, 진사시(進士試)에 부장원으로 합격했으며, 1531년(중종 26) 문과에 급제했다.[1] 1533년(중종 28) 주서(注書)로서 무과 실시 방법에 대해 아뢰었으며[2], 이듬해 봉교(奉敎), 전적(典籍), 정언(正言), 또 그 이듬해 이조좌랑(吏曹佐郞)을 거쳤다.[1] 1536년(중종 31) 4월 다시 정언으로 임명되었다가 11월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로 옮겼으며, 12월 병이..

[독일 최초의 여성 화학박사]클라라 임머바르(Clara Immerwahr)

[1] 클라라 임머바르(Clara Immerwahr, 1870년 6월 21일 ~ 1915년 5월 2일)는 독일의 물리학자이다. 1 생애 클라라는 독일의 폴켄도르프 농장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Miss Knittel의 신학교에서 공부를 마친 뒤, 가정교사로 일하면서 브레슬라우 대학 입학 자격을 얻기위하여 투쟁하였다. 1896년에 ..

[암모니아와 독가스를 발명한 두 얼굴의 화학자]프리츠 하버(Fritz Haber)

프리츠 하버(1918년) 프리츠 하버(독일어: Fritz Haber, 1868년 12월 9일 ~ 1934년 1월 29일)는 비료와 폭발물의 주원료인 암모니아의 합성법을 개발하여 191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화학자이다. 그는 또한 제1차 세계대전 중 클로린(chlorine)을 비롯한 여러 독가스를 개발 및 합성했던 일로 ..

[아메리카 원주민의 강제 이주] 눈물의 길(Trail of Tears)

눈물의 길 경로 눈물의 길(Trail of Tears)은 1830년 미국에서 제정된 《인디언 이주법》에 의해 미국 내의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이 겪었던 일련의 강제 이주를 말한다. 체로키 족, 머스코지 족, 세미놀 족, 치카소 족, 촉토 족이 조상 대대로 살아오던 미국 남동부의 고향 지역을 떠나 인디언..

[1504년 갑자사화 때 효수형 당한 태종의 증손]이총 [李摠]

이총 [李摠] ?~1504년(연산군 10) 조선전기 무오사화, 갑자사화 등에 연루되어 등에 연루된 왕족. 종실. 개설:자는 백원(百源), 호는 서호주인(西湖主人)·구로주인(鷗鷺主人)·월창(月牕). 태종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우산군(牛山君) 이종(李踵)이다. 이종은 온령군(溫寧君) 이정(李裎)[원문은..

'광복군 투신' 중국인 독립유공자 쑤징허 별세..문대통령 조화(종합)

'광복군 투신' 중국인 독립유공자 쑤징허 별세..문대통령 조화(종합) The copyright belongs to the original writer of the content, and there may be errors in machine translation results. 版权归内容原作者所有。机器翻译结果可能存在错误。 原文の著作権は原著著作者にあり、機械翻訳の結果にエラーが含まれる..

[박종인의 땅의 歷史] 일본 해군은 왜 이순신을 군신으로 존경했는가

[186] 이순신, 도고 헤이하치로 그리고 세계 4대 해전 거제시청 창고에 있는 러일전쟁 전승기념비에 친필 남긴 도고 헤이하치로 그가 이순신을 존경했다는 '기분 좋은 이야기' 육군에 대해 위상 높이려는 초기 일본 해군 의도와 민족 영웅 위상 높이려는 한국인의 희망이 만든 근거 없는 신..

[독립운동가, 국군의 마지막 기병대장]장철부(張哲夫) 중령

1921년 3월 10일 ~ 1950년 8월 4일 한국사 최후의 기병대장 본명은 김병원. 그래서 김병원으로 쳐도 리다이렉트되어 들어올 수 있다. 1944년 일본에서 대학 재학 중 학병으로 강제 징집되었다가 탈출, 광복군에 투신하였다. 사실 이전에 한번 탈출하다 걸려 체포되어 군법 회의에서 사형을 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