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1457

[인도] 벵골 대기근(1943년)[Bengal famine of 1943]

Bengal famine of 1943 From the photo spread in The Statesman on 22 August 1943 showing famine conditions in Calcutta. These photographs made world headlines and spurred government action, saving many lives 벵골 대기근 개요 1942년 말부터 1944년까지 인도 제국에서 진행된 대기근. 약 200~300만명의 인도인이 아사한 사건으로 원인과 경과, 그리고 대처 과정에서 논란이 있는 대기근이다.[The Bengal famine of 1943 was a famine in the Bengal province of British India (now Ba..

[2차 대전시 파리 점령군 사령관으로 있으면서 파리 황폐화를 막은 인물]디트리히 후고 헤르만 폰 콜티츠(Dietrich Hugo Hermann von Choltitz)

디트리히 후고 헤르만 폰 콜티츠(독일어: Dietrich Hugo Hermann von Choltitz,1894년 11월 9일 - 1966년 11월 5일),는 독일의 군인이다. 최종계급은 보병 대장까지 진급했다. 그는 1944년 파리 방위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그후 파리 전투에서 지휘를 했으나 호전적으로 나가지않고 프랑스 국내군과 강화를 추진하여 전투로 폐허가된 스탈린그라드나 바르샤바와 달리 파리는 황폐화를 막을수있었다. 별명으로 파리를 구한 인물[Popularly known as the Saviour of Paris]이라고도 한다.[ [초기 생애] 독일 제국의 실레지아지방에 태어났다. 유년기 드레스덴주 학교를 다녔고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징집되어 서부 전선에 보병으로 활약하여 최종 소위계급까지 진급..

[제임스 1세를 암살하려다가 실패하고 처형당한 인물]가이 포크스(Guy Fawkes)

Guy Fawkes 가이 포크스는 1605년 가톨릭 탄압에 대항해 영국 국회의 사당을 폭파시키고자 ‘화약 음모 사건’을 일으킨 주동자이다. 후대 영국인들은 거사를 단행하려 했던 11월 5일을 ‘가이 포크스 데이(Guy Fawkes Day)’로 지정해 기념하고, 짙은 콧수염이 그려진 가이 포크스 가면을 쓰고 불꽃놀이를 즐겼다. 현대 대중문화에서 가이 포크스는 저항과 무정부주의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에듀윌 시사상식] 가이 포크스(영어: Guy Fawkes, 1570년 4월 13일 - 1606년 1월 31일[* 1])는 잉글랜드 가톨릭 신자로서 1605년 화약 음모 사건을 주동한 인물이다. 스페인을 위해 일했기 때문에 스페인식 이름인 기도 포크스(Guido Fawkes)로도 불렸다. 포크스는 요크에서 ..

[그리스] 내전(Greek Civil War)

QF 25 pounder gun of the Hellenic Army during the Civil War 그리스 내전(그리스어: ο Eμφύλιος [Πόλεμος])은 1946년 3월 30일부터 1949년 10월 16일까지 그리스에서 발발한 내전이다. 미국 및 영국의 지원을 받는 그리스 정부군과 알바니아, 유고슬라비아, 불가리아의 지원을 받은 그리스 공산당의 무장조직 그리스 민주군이 대립하였다. 지분 협정에 따라 소련은 그리스 민주군에 물자 지원을 하지 않았다. 내전은 그리스 정부군의 승리로 끝났다.[1] 그리스 내전은 제2차 세계 대전 때인 1943년 좌파 레지스탕스와 우파 레지스탕스의 권력 다툼에서 비롯되었다. 추축국의 그리스 점령 이후 권력에 공백이 생겼고, 좌파와 우파 모두 이것을 노리고 19..

[유고슬라비아 -대독 투쟁을 하다가 나중엔 협력했다는 혐의로 종전 후 처형당한 인물 ]드라자 미하일로비치(Draža Mihailović)

Draža Mihailović in 1943 드라골류브 "드라자" 미하일로비치(세르비아어: Драгољуб "Дража" Михаиловић, 1893년 4월 26일 ~ 1946년 7월 17일)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활동한 세르비아계 유고슬라비아 장군이다. 그 추종자들에게는 드라자 삼촌(Чича Дража, Uncle Draža)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완고한 군주주의자 왕당파였던 그는 독일군이 1941년 4월 유고슬라비아를 점령하자 유고슬라비아 육군 체트니크 분견대라는 유격대 조직을 조직하여 베오그라드 근교의 산 중에서 싸웠다. 미하일로비치의 체트니크는 유고슬라비아 최초의 반독 투쟁이었으며, 그 뒤를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공산주의 파르티잔이 뒤따랐다. 체트니크와 파르티잔은 처음에는 협력했으나 194..

[크로아티아-발칸의 도살자라 불린 인물] Ante Pavelić(안테 파벨리치)

Pavelić in Ustaše uniform in 1942 안테 파벨리치(크로아티아어: Ante Pavelić [ǎːnte pǎʋelit͡ɕ], 1889년 7월 14일 ~ 1959년 12월 28일)는 크로아티아의 정치인·변호사·군인이다. 크로아티아의 극우 민족주의 단체 우스타샤의 지도자로, 나치 독일의 괴뢰 정권인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국가 원수이자 독재자로 유고슬라비아에서 75만명 이상의 정교회 신자 등을 학살한 주범이다.[1] 안테 파벨리치는 크로아티아의 파시스트[2] 지도자 및 정치가로 수령(크로아티아어: Poglavnik 포글라브니크)이라는 칭호가 있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3][4][5]의 괴뢰 국가[6][7][8] 인 크로아티아 독립국을 통치하였다. 1930년대에 그는 크로아..

암태도 소작쟁의 [巖泰島 小作爭議]사건

암태도소작쟁의 [巖泰島小作爭議]사건 1923년 9월, 암태도에서 생존권에 위협을 느낀 소작인들이 1년 동안 친일 대지주를 상대로 소작료 인하를 요구하며 쟁의를 벌여 마침내 소작료 인하 요구를 관철시켰다. 이것이 암태도 소작 쟁의 사건이다. 일제의 식민지 농업 정책에 편승한 대지주와 그를 비호하는 일제의 통치 권력에 항거한 1920년대 초반 대표적인 농민운동으로 꼽힌다. 암태도의 대지주 문재철은 소작인들로부터 7~8할의 고율소작료를 징수했다. 이에 소작농들은 암태소작인회를 조직하고 소작료를 4할로 내릴 것 등을 요구했다.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이들은 불납동맹을 결성했다. 그러자 지주는 소작료 강제징수를 감행했고, 목포경찰서는 수십 명의 경찰을 보냈다. 소작회는 쟁의를 강화했고, 일경은 소작인 50여 ..

[숙종 시기- 남인 숙청을 주도한 인물]김익훈(金益勳)

김익훈[金益勳, 1619년(광해군 11) ~ 1689년 3월 11일(숙종 15)]은 충청도 병마절도사 등을 지낸 조선의 외척이며 문신이다. 숙종의 정비 인경왕후의 종조부이다. 본관은 광산, 자(字)는 무숙(懋叔)이고 호는 광남(光南)이다. 음보(蔭補)로 출사하여 부총관 등을 거쳐 병마절도사 등을 지내고 보사공신 2등으로 광남군(光南君)에 봉군되었다. 서인 중진이자 척신 계열의 정치인으로 남인을 공격하였으며, 1680년(숙종 6) 복창군·복선군(福善君)·복평군(福平君) 등이 허견(許堅)과 모역을 꾀한다는 고변으로 경신대출척을 일으켜 김석주와 더불어 남인들을 몰아내는 데 적극 가담하였다. 허견의 비리와 부패행위 정보를 입수하여 사건을 확대, 숙종의 외당숙 김석주와 함께 역모 사건을 날조하여 남인들을 일망 타..

[이슬람 군대의 알프스 북쪽 지역 진출을 최종적으로 저지한 인물]카를 마르텔(Charles Martel)

Charles Martel 카롤루스 마르텔루스(라틴어: Carolus Martellus, 독일어: Karl Martell 카를 마르텔[*], 프랑스어: Charles Martel 샤를 마르텔[*], 영어: Charles Martel 찰스 마텔[*], 스페인어: Carlos Martel 카를로스 마리텔[*], 680년[1] 8월 23일 – 741년 10월 22일)은 카롤링거 왕조 출신 프랑크 왕국의 군주이자 정치, 군사 지도자로, 718년 이후 프랑크 왕국의 동쪽 지방인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로 사실상 아우스트라시아, 네우스트리아, 부르군트 3개로 나뉜 프랑크 왕국 전체를 지배했으며 프랑크 공작이자 프린스의 호칭을 획득하였다. 사라센의 침략을 격퇴하여 신망을 얻었으며, 로마 교회는 이슬람 세력을 물리치는 데..

[일본이 세계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는 데 기여한 품질관리방식의 주창자]W. Edwards Deming

W. Edwards Deming (October 14, 1900 – December 20, 1993) was an American engineer, statistician, professor, author, lecturer, and management consultant. Educated initially as an electrical engineer and later specializing in mathematical physics, he helped develop the sampling techniques still used by the U.S. Department of the Census and the Bureau of Labor Statistics. In his book The New Econ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