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1457

[나폴레옹이 워털루 전투에서 패하는 데 일조한 장군]미셸 네(Michel Ney)

미셸 네(Michel Ney) 1769년 1월 10일 - 1815년 12월 7일)는 나폴레옹 전쟁기에 활약한 프랑스의 군인, 원수이다. 지방 변호사 밑에서 일하다가 1788년에 경비병 연대에 들어갔다. 프랑스 혁명 전쟁이 일어나자 기회를 얻어 1792년에 발미 전투와 제마프 전투를 시작으로 1800년 제1공화국에 치른 마지막 전투인 호엔린덴 전투까지 두루 참전했다. 미샬 네는 1801년 5월 튈르리 궁에서 제1통령을 만나라는 명령 때 나폴레옹을 만나 부하가 되었다. 그 뒤 1804년 초에 프랑스의 장 빅토르 마리 모로 장군이 나폴레옹 암살설에 의심되자 나폴레옹은 모로를 추방하고 네를 그 자리에 앉혔다. 1805년 10월에 엘힝겔 전투에서 승리했으며, 두달도 되지 않아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를 무..

[고종을 독살하려고 한 인물]김홍륙(金鴻陸)

김홍륙(金鴻陸)(미상~1898(고종 35)한말의 역관. 천민출신이었으나 블라디보스토크를 내왕하면서 러시아어를 익혀 역관으로 특채되었다. 1894년(고종 31)과 1895년 이범진(李範晉)이 러시아 공사 베베르와 조약을 체결할 때 통역관으로 활약했다. 1895년 임최수(林最洙)·안경수 등과 모의하여 친일정권에 포위된 고종을 대궐 밖으로 빼내려는 춘생문사건(春生門事件)을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1896년에는 이범진·이완용(李完用) 등 친러파와 연결하여 비서원승으로 아관파천에 협조했다. 아관파천 후에는 고종과 베베르 사이의 통역을 담당했다. 윤용선(尹容善) 내각에서 학부협판(學部協瓣)이 되었으나, 1898년 친러파의 몰락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고종의 총애를 받고 궁궐을 출입하면서 개화파에 반대해서 독립..

[고트족과의 전투에서 전사한 황제]발렌스[Flavius Valens]

발렌스(라틴어: IMPERATOR CAESAR FLAVIVS IVLIVS VALENS AVGVSTVS; 328년 – 378년 8월 9일)는 로마 황제(재위기간 : 364년-378년)이다. 형인 발렌티니아누스 1세에게 로마 제국의 동부의 통치권을 넘겨받았기 때문에 발렌스는 비잔티움 (동로마) 제국의 황제로 볼 수 도 있다. 그는 로마 제국의 쇠퇴를 시작하는 분수령이 된 아드리아노폴리스 전투에서 패하고 죽었다.[Flavius Valens (328 – 9 August 378) was Roman emperor from 364 to 378. He was the younger brother of the emperor Valentinian I, who gave Valens the eastern half of the ..

[로마제국 멸망의 단초가 된 전투]아드리아노플 전투[Battle of Adrianople]

아드리아노플 전투[Battle of Adrianople] 378년에 트라키아 아드리아노플에서 서고트 족과 동로마 제국 사이에서 벌어진 전투. 376년에 서고트 족 대부분은 동로마 황제 발렌스와 맹약을 맺고 로마의 영토 안으로 이주하였으나, 로마 관리의 압정으로 반란을 일으켜 트라키아를 침략하였다. 이 전투에서 발렌스 황제가 전사하였고, 뒤를 이은 테오도시우스 일세는 친(親)고트 정책을 취하여 서고트 인의 트라키아 정주를 인정하였다. --------------------------------------------------------------------------------------------------- 현재의 유럽 터키에 있는 에디르네에서 벌어진 전투(378. 8. 9).Adrianople은 Had..

[페르시아-다리우스 3세를 독살하려다가 실패하고 오히려 죽임을 당한 인물]바고아스

바고아스(고대 페르시아어: ??? Bagoi, 고대 그리스어: Βαγώας Bagōas; ? - 기원전 336년)는 고대 페르시아 제국 아케메네스 왕조의 뛰어난 재상이었다.[died 336 BC. was a prominent Persian official who served as the vizier (Chief Minister) of the Achaemenid Empire until his death.] 생애 바고아스는 환관으로 시작하여 이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의 재상이 된 뛰어난 인물이었다. 그는 로디아 용병 장군 멘토르와 손을 잡고, 이집트를 (기원전 342년부터) 페르시아 영토로 병합한다. 멘토르는 바다와 접한 지방의 장군이 되어, 이집트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였고, 바고아스가 사트라프를 관리..

[청나라의 조기유학 프로젝트]유미유동(留美幼童)

조기유학 프로젝트 '유미유동'(留美幼童) 그때 미국에서는 청나라 학생들이 서양 기술을 배우고 있었다. 열두 살부터 열다섯 살까지 아이들이다. 이름은 '유미유동(留美幼童)'이다. 모두 120명이다. 1860년 2차 아편전쟁 때 북경까지 서양 연합군에 털리고 난 뒤, 청에서는 이홍장 주도로 '양무(洋務) 운동'이 벌어지고 있었다. 제도는 그대로 두고(중체·中體) 기술만 수입하면(서용·西用) 부강해진다는 중체서용 논리였다. 1872년 청 정부는 일찌감치 자비로 미국 예일대 유학을 다녀온 용굉(容?)의 상소를 받아들여 청소년 120명을 선발해 미국으로 보냈다. 이들에게 주어진 임무는 군사, 철도, 전신 같은 중국 근대화에 필요한 기술 습득이었다. '총명하고 예의 바르고 용모 단정한' 소년 120명이 뽑혔다. 이..

[메이지유신의 핵심 역할을 한 사쓰마 번을 부강하게 만든 번주]시마즈 나리아키라

이치키 시로에 의해 찍힌 시마즈 나리아키라의 다게레오타이프 (1857년) Shimazu Nariakira 시마즈 나리아키라(일본어: 島津斉彬, 분카 6년 ~ 안세이 5년)는 에도 시대 후기부터 막말까지의 도자마 다이묘이자 사쓰마번(현 일본 가고시마현)의 제11대 번주 (재임:1851년 ~ 1858년))이다. 시마즈 가문의 제28대 당주. 사쓰마 번의 부국강병을 성공시킨 명군으로 평가받았다. 막말사현후 중 한명. 사이고 다카모리를 비롯한 막말의 인재를 길러낸 인물이기도 하다. [April 28, 1809 – August 24, 1858) was a Japanese feudal lord (daimyō) of the Edo period, the 28th in the line of Shimazu clan lor..

[병자호란 관련-삼전도 비문을 쓴 인물]이경석(李景奭)

이경석(李景奭, 1595년 12월 18일(음력 11월 18일) ~ 1671년 10월 26일(음력 9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성리학자이자 서예가로, 자는 상보(尙輔), 호는 백헌(白軒)이다. 본관은 전주(全州). 시호는 문충(文忠), 충청도 제천 출신이다. 송시열을 발탁하여 천거하였으나, 후일 그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1623년의 알성문과와 1626년의 중시문과에 급제하여 영중추부사에 이르렀다. 1637년 12월 당시 도승지 겸 예문관 제학으로 삼전도비문을 짓는다.[1][2] 인조 반정 공신들의 전횡에 맞서 산림학자들을 적극 천거하여 등용하게 했다. 1628년(인조 5) 9월 17일에는 소무원종공신 1등(昭武元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글을 잘 지었고, 삼전도비외 여러 작품을 남겼다. ..

중일전쟁 발발(1937. 7. 7) 이전 주요 사건

중일전쟁 발발(1937. 7. 7) 이전 주요 사건 제1차 초공작전(1930.12.19~1931.1.3) 탕산 사건(1931.2.28) 제2차 초공작전(1931.4.1~1931.5.31) 1차 양광사변(1931.5.27~1932.1.1) 나카무라 사건(1931.6.27) 만보산 사건(1931.7.1) 제3차 초공작전(1931.7.1~1931.9.20) 류탸오후 사건(1931.9.18) 만주사변(1931.9.18~1932.3.1) 3차 장왕합작(1932.1) 마옥산 사건(1932.1.18) 제1차 상하이 사변(1932.1.28~1932.5.5) 송호정전협정(1932.5.5) 제4차 초공작전(1932~1933) 열하사변(1933) 당고정전협정(1933.5.31) 폐량개원(1933.4.5) 제5차 초공작전(1..

조선조 청백리 218인

조선조 청백리 218인 태조조 5인 태종조 8인 세종조 15인 세조조 7인 성종조 15인 중종조 45인 명종조 45인 선조조 23인 인조조 13인 숙종조 22인경종조 6인 영조조 9인 정조조 2인 순조조 15인 1 참찬 안성 2 찬성사 우현보 3 제학 류구 4 고려주서 길재 5 고려장령 서견 6 절도사 경의 7 참의 이지직 8 대사성 김약항 9 관찰사 이백지 10 참찬 최유경 11 좌의정 이원 12 대사헌 박서생 13 판돈녕 최사의 14 판윤 정척 15 부제학 최만리 16 영의정 황희 17 영의정 류관 18 좌의정 맹사성 19 좌참찬 류겸 20 익평군 이석근 21 주부 민불탐 22 참의 홍계방 23 승지 박팽년 24 관찰사 이정보 25 판관 이지 26 좌찬성 황효원 27 이조판서 류염 28 장령 김장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