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1457

[대한제국기- 덕유산을 중심으로 활동한 의병들의 무덤 및 의병장]칠연의총(七淵義塚), 신명선(申明善)

칠연의총 위치, 문화재 지정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칠연로 608 (안성면) [칠연의총] 전라북도 기념물 제27호(1976.04.02 지정) 칠연의총은 한 말에 일본군과 싸우다 목숨을 잃은 의병장 신명선(申明善)과 그의 부하들이 잠든 곳이다. 시위대 소속 군인이었던 신명선은 순종 융희 원년(1907) 정미칠조약이 체결되어 우리의 군대가 해산 당하자 무주에 들어와 덕유산을 거점으로 의병을 모집, 무주·장수·순창·용담·거창 등지에서 일본군과 싸우면서 많은 공을 세웠다. 융희 2년(1908) 4월 신명선은, 계속된 전투로 인해 피로에 지친 부하들과 함께 이곳 칠연계곡 송정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가 일본군에게 기습을 당하였다. 이에 마지막까지 목숨을 걸고 싸웠으나, 숫적인 열세로 150여 명의 대원과 함께 장렬..

[내가 모르고 있었던 항일 독립운동가들(1)]최운산(崔雲山) 외

최운산 - 나무위키2020.12.22.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최운산 崔雲山 출생 1885년 12월 7일 함경북도 온성군 영충면 북창평동 사망 1945년 7월 5일 평안남도 평양부 본관 진산 최씨 본명 최명길(崔明吉) 이명 최풍(崔豊), 최만익(崔萬益), 최빈... namu.wiki/w/최운산 나무위키 ----------------------------------------------------- 최진동 - 나무위키2020.12.21. 성명 최진동(崔振東, 崔鎭東) 본명 최명록(崔明祿) 아명 최희(崔熹) 이명 최명록(崔明錄)·최희(崔喜) 본관 진산 최씨# 생몰 1882년 7월 17일 ~ 1941년 11월 25일 출생지 함경북도 온성군 영충면 북창평동... namu.wiki/w/최진동 나무위키 -------..

[백인(K.K.K단]들이 흑인 주민을 공격, 살해한 사건]멤피스 인종폭동(Memphis Race Riot)

Memphis Riot of 1866 Part of the Reconstruction Era Illustration of an attack on black Memphians. Harper's Weekly, 26 May 1866 멤피스 인종폭동[Memphis Race Riot] [요약] 미국 남북전쟁이 끝난 뒤 테네시의 멤피스에서 다수 백인들이 흑인 주민들을 공격한 사건(1866. 5). 패전에 아랑곳하지 않는 남부인들의 비타협적 태도뿐 아니라 새로 자유를 얻은 흑인들과 시민적·사회적 권리를 함께 나눌 생각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애퍼매턱스에서 남군이 항복한(1865. 4. 9) 지 약 1년이 지난 뒤 벌어진 이 사건으로 46명의 흑인들(이들 중 대부분은 북군 제대병들이었음)이 살해당하고, 7..

[미국 소설 "날개의 발명"의 실제 주인공]Sarah Moore Grimké and Angelina Grimké

Sarah Moore Grimké and Angelina Grimké - Sarah Moore Grimké Angelina Emily Grimké Moore Grimké (1792–1873) and Angelina Emily Grimké[1] (1805–1879), known as the Grimké sisters, were the first nationally-known white American female advocates of abolition of slavery and women's rights.[2][page needed] They were speakers, writers, and educators. They grew up in a slave-owning family in South Carol..

[임진왜란 - 조선군이 최초로 승리한 전투]해유령 전투(蟹踰嶺戰鬪)

해유령 전투(蟹踰嶺戰鬪) 임진왜란 초기 조선의 부원수 신각이 경기도 양주에서 조선 육군 최초로 승리를 거둔 전투였으나 작은 전투이고 이치 전투에 밀려 잘 조명되지 않고 있다. 전투가 벌어진 지명의 이름을 따서 양주 전투(楊州戰鬪)라고도 불린다. 배경:임진왜란 초기 일본군에게 크게 밀린 조선군은 충주 탄금대 전투에서 조선의 마지막 정규군이 전멸하자 조선 왕 선조는 도원수 김명원에게 한강 방어를 맡긴다. 신각은 자신의 군사만 이끌고 도성 안으로 들어가 유도 대장 이양원과 합류해 양주로 후퇴했다. 양주에 진을 친 신각은 함경남병사 이혼과도 합류하여 적의 동태를 살피기 시작했다. 전투 과정 해유령 접전 한편 한양을 점령한 일본군 제2진 가토 기요마사는 개성으로 피란가던 선조의 어가를 쫓기 위해 선발대 70명을 ..

[게르만족에게 3개 군단을 잃은 장군]바루스[ Publius Quintilius Varus]

바루스 [Publius Quintilius Varus] (기원전 46년 ~ 기원후 9년, near Kalkriese, Germany) Varus receiving German leaders 로마의 장군. 토이토부르거발트 전투에서 게르만 부족들에게 패해 3레기온(군단)을 잃음으로써 로마에 커다란 타격을 주었으며 로마는 라인 강 너머 영토확장에 실패했다.[Roman general and politician under the first Roman emperor Augustus. Varus is generally remembered for having lost three Roman legions when ambushed by Germanic tribes led by Arminius in the Battle of..

[서로마 제국이 훈족-아틸라-의 서진을 저지한 전투]카탈라우눔 전투[Battle of the Catalaunian Plains] 또는 샬롱 전투

카탈라우눔 전투 훈족의 갈리아 침공의 일부 The Huns at the Battle of Chalons by Alphonse de Neuville (1836–85) 날짜: 451년 6월 20일 장소: 대략적으로, 오늘날 프랑스 북동부의 샹파뉴아르덴 지역 결과: 훈족의 갈리아 철수 [교전국] 서로마 제국 서고트족 살리족 부르군트족 작센족 아르모리카인 알란족 올리보르네스족 [지휘관] 훈족 제국 아말계 고트족 루기이족 스키리이족 튀링겐족 프랑크족 게피다이족 부르군트족 에룰리족 플라비우스 아이티우스 테오도리크 1세 † 산기반 토리스문트 테오도리크 2세[1] 메로베우스 1세[2] 군디오크 아비투스[3] 아틸라 발라미르 티우디메르[4] 비디메르[5] 아르다리크 킬데리쿠스 1세[6] 오도아케르[7] 안다그 라우다리쿠..

[노르만 왕조가 시작되는 계기가 된 전투]스탬퍼드교 전투(Battle of Stamford Bridge)

스탬퍼드브리지 전투 Battle of Stamford Bridge, 1870, by Peter Nicolai Arbo 스탬퍼드교 전투(Battle of Stamford Bridge)는 1066년 9월 25일에 잉글랜드 북부에 있는 스탬퍼드브리지에서 이루어진 전투이다. 잉글랜드의 해럴드와 그의 동생 토스티그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나 실질적으로는 노르웨이의 하랄 3세가 토스티그 편의 군사들을 지휘했다. 이 전투의 계기는 참회왕 에드워드가 사망하자 잉글랜드 왕국의 왕위를 노린 노르웨이의 하랄 3세가 1066년 9월 8일, 침략군을 이끌고 잉글랜드 북부에 상륙했고, 형을 향한 복수의 칼을 갈고 있던 토스티그 고드윈슨과 손을 잡았다. 이들은 지역 저항군을 무찌르며 거침없이 진격했고, 소식을 들은 머시아의 에드윈 백..

인류 역사에서 벌어진 역대 전투 목록: 나무위키

1. 개요 2. 기원전 2.1. ~기원전 2002.2. 기원전 200~기원후 3. 제1천년기 3.1. 기원후~5003.2. 500~1000 4. 제2천년기 4.1. 1001~16004.2. 1601~19144.3.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4.4. 전간기(1919~1939)4.5. 제2차 세계 대전(1939~1945)4.6. 냉전기(1945~1991)4.7. 현대전(1991~2000) 5. 제3천년기 5.1. 현대전(2001~) 전투 목록 - 나무위키2021.03.22. 전투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 대불동맹군의 결전. 1854 발라클라바 전투 크림 전쟁에서 영국군과 러시아군이 충돌한 전투. 1862 앤티텀 전투 남북전쟁 중 로버트 E. 리가 이끄는 남군과 북군 사이의 전투. 1863... nam..

[남북전쟁-링컨이 노예해방 선언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준 전투]앤티텀 전투[Battle of Antietam]

The Battle of Antietam, by Kurz & Allison (1878), depicting the scene of action at Burnside's Bridge Maj. Gen. George B. McClellan, Army of the Potomac (USA) Gen. Robert E. Lee, Army of Northern Virginia (CSA) 앤티텀 전투(Battle of Antietam) 혹은 샤프스버그 전투(Battle of Sharpsburg;남부에서 부르는 명칭)는 미국 남북 전쟁 중반 1862년 9월 17일 메릴랜드 전역의 일환으로 메릴랜드주 샤프스버그 근처와 앤티텀 클리크(Antietam Creek; 포토맥 강의 지류다)에서 벌어진 전투이며, 이 전투는 북부 지역..